[자동차] 하이브리드카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하이브리드의 기술 자료(System)
<1>하이브리드카란?
<2>하이브리드카의 원리
1)직렬 하이브리드 시스템
2)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
3)복합 하이브리드 시스템
<3>하이브리드카 구동원리는?
<4>하이브리카의 장 ․ 단점

제2장 하이브리드의 개발 차량
<1>일본 혼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2>일본 도요타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3>일본 닛산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4>도요타, 닛산, 혼다 하이브리드 시스템 비교도

제3장 하이브리드 개발 방향 / 동향
<1>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1) 일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2) 미국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3) 유럽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4) 국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5) 세계 각 지역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동향
<2> 하이브리드도 임시 대안일 뿐...

본문내용

만 하는 형국입니다.
(2) 미국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미국의 Big 3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의 급속한 확대와 연료전지 자동차 상용화의 장기 지연으로 인해 최근 하이브리드 자동차 조기 상용화로 전략을 급히 수정했습니다. 그러나 핵심 기술 및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미국 업체는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그중 Ford의 경우 핵심 부품 중 배터리는 일본의 Sanyo, 변속기는 일본 도요타 계열의 Aisin에서 조달하며 도요타와는 전체적인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기술제휴를 맺고 있어 도요타의 기술에 종속되어 있는 실정입니다. GM, 포드, 다임러 크라이슬러 등 ‘빅3’로 대변되는 미국 자동차 업계도 양산체계를 갖추고 하이브리드카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3) 유럽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세계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은 최근의 고유가에 의해 수요가 급격히 확대되는 추세인데, 하드 타입 하이브리드 자동차 상용화에 성공한 도요타가 시장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이를 소프트 타입을 채택한 폭스바겐-아우디-포르쉐 연합으로 하이브리드 기술 공동 개발 착수하여 추격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무공해 자동차(특히 연료전지 자동차) 실용화 이전의 과도기 제품으로 생각했던 유럽 특히 독일 업체들의 경우 일본의 가솔린하이브리드를 따라잡기 힘들다고 판단하고 디젤하이브리드 모델에 기술개발을 하고있습니다
(4) 국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기술개발 동향
현대차는 1997년부터 하이브리드카 연구를 시작했지만, 적극적이지 않았습니다. 수소연료전지차 (자동차에 저장한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나온 전기에너지로 달리는 차세대 차량)로 가는 과도기 단계의 차량이라는 판단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일본 하이브리드카의 미국 내 판매가 증가하고, 미국·유럽의 자동차 배기가스 환경규제가 강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2004년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갔습니다.
현대차는 2004년에 소프트 타입 클릭 하이브리드 자동차 50대 보급을 시작으로 2005년과 2006년에는 정부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매년 350여 대 이상을 보급했으며, 하이브리드카 제조 기술은 일본 등에 비해 크게 뒤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문제는 아직 가격이 높다는 점입니다.
현재 현대의 경우 휘발유하이브리드를 개발하고 시판 이전 단계이지만 한국자동차업체들은 공통적 이am로 세계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휘발유모델이나 경유모델로는 선진업체에 10년 이상 기술격차가 있다고 보고 LPG 하이브리드에 올인 하는 것이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LPI하이브리드개발을 적극 추진 중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생산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핵심 부품 대부분(인버터, 배터리, 무단변속기 등)이 일본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어서 앞으로 국산 부품으로 조속히 대체되지 않으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견제에 무방비로 노출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5) 세계 각 지역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동향
일본
도요타, 혼다 : 차종 확대를 통한 적극적인 시장확보 전략 추구
→ 미국판매 : `04(88,000대), `05(205,749대), `06.6(116,871대)
닛산 : 도요타와 기술제휴→`06년 북미 판매 목표
북미
포드 : `04년 Escape(SUV)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 개시
→ 미국판매 : `04(3,051대), `05(16,683대), `06.6(11,790대)
: `07년까지 4개 차종 출시(도요타 시스템 장착)
GM : `07년 이후 12개 차종 투입 예정
GM-DCX-BMW : 차세대 하이브리드 기술 공동개발, `07년 투입 목표
유럽
하이브리드 자동차보다 디젤 자동차 개발에 집중
포르쉐 : 도요타 시스템 장착 예정
폭스바겐-아우디-포르쉐 : 하이브리드 기술 공동 개발 착수
국내
04년 본격적인 하이브리드 개발 착수
현대 2004년 클릭 하이브리드카를 정부에 납품
가솔린과 디젤의 기술격차를 판단 LPG 하이브리드에 개발 집중
<2> 하이브리드도 임시 대안일 뿐...
하이브리드기술이 원래 전기자동차에 대한 연구과정에 얻은 부산물이라고 보면 하이브리드 역시 최종목표가 아닙니다. 전기자동차나 연료전지자동차라는 최종목표의 중간단계로 하이브리드 기술의 확보가 필수적이어서 독자기술에 의한 하이브리드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도요타는 모든 자동차가 궁극적인 친환경차로 가는 길목을 하이브리드 기술이 장악하게 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결국 도요타도 하이브리드를 결코 최종 대안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임시 대안 중 하나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임시 대안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다른 대안들에 비해 여러 측면에서 볼 때 절대 우위를 갖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벤츠는 2005년 초에 미국 동해안에서 서해안까지 도요타 렉서스의 휘발유 하이브리드 모델인 RX400h와 디젤모델인 벤츠 ML320CDI로 장거리 비교테스트를 하게 해 ML이 RX보다 총 평균 연비에서 100km당 1리터의 이점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연비가 좋으면 공해 배출량도 적은데 하이브리드라는 복잡하고 비싼 자동차로도 단순한 디젤자동차보다 연비가 나쁜 것으로 나타나 매우 충격적이었습니다.
현재의 가솔린 내연기관을 대신 할 수 있는 바이오 디젤 등 친환경 디젤엔진, 에탄올연료HCCI, 수소전지차, 하이브리드차 등 다양한 기술개발이 현재 진행되고하이브리드 기술은 실상 이들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중에서 어느 기술하나도 차세대 친환경자동차를 대신 할 만큼 완벽히 구현된 것은 아직 없는 상태입니다. 여러 경로로 기술개발이 시도되고 있긴 하지만 상업적, 경제적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만한 단계는 아닙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배터리 및 부대장치가 많이 들어가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부피 무게도 많이 나가는 단점을 안고 있습니다.
수소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수소충전소 확보의 문제로 미래의 먼 이야기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곧 석유 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의 문제로 세계 자동차업계는 여러 방면으로 차세대 자동차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3.03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