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리더십의 개념
Ⅲ. 성경적 리더십의 동기
Ⅳ. 성경적 리더십의 방법
Ⅴ. 성경적 리더십의 목표
Ⅵ. 성경적 리더십의 특성
Ⅶ. 리더십의 유형
1. 단순분류 (전제형, 민주형, 자유방임형)
2. 성향분류
1) 전략가형(Strategist-Plan)
2) 전문가형(Expert-Program)
3) 관리자형(Manager-Process)
4) 개혁자형(Reformer-Purpose)
5) 성취가형(Accomplisher-Production)
6) 구비자형(Equipper-People)
7) 최고경영자형(CEO-Power)
Ⅷ. 성경에 나타난 리더십
1. 구약성경에 나타난 리더십
2. 신약성경에 나타난 리더십
Ⅸ. 성경에 나타난 성경적리더십의 사례 분석
1. 모세
2. 느헤미야
3. 아론 - 그릇된 리더십
Ⅹ. 결 론
[참고 자료]
Ⅱ. 리더십의 개념
Ⅲ. 성경적 리더십의 동기
Ⅳ. 성경적 리더십의 방법
Ⅴ. 성경적 리더십의 목표
Ⅵ. 성경적 리더십의 특성
Ⅶ. 리더십의 유형
1. 단순분류 (전제형, 민주형, 자유방임형)
2. 성향분류
1) 전략가형(Strategist-Plan)
2) 전문가형(Expert-Program)
3) 관리자형(Manager-Process)
4) 개혁자형(Reformer-Purpose)
5) 성취가형(Accomplisher-Production)
6) 구비자형(Equipper-People)
7) 최고경영자형(CEO-Power)
Ⅷ. 성경에 나타난 리더십
1. 구약성경에 나타난 리더십
2. 신약성경에 나타난 리더십
Ⅸ. 성경에 나타난 성경적리더십의 사례 분석
1. 모세
2. 느헤미야
3. 아론 - 그릇된 리더십
Ⅹ.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현재 하고 있는 일이 옳다는 것을 확신시켜 줌
- 대적들과 타협하지 않고 단호한 자세를 보여 줌
- 난관이 닥쳐왔을 때, 낙심치 않고 하나님을 의뢰했음
-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는 때까지 참고 기다렸음
3. 아론 - 그릇된 리더십
출애굽기 32장 1절에서 8절.
<<1 백성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옴이 더딤을 보고 모여 아론에게 이르러 가로되 일어나라 우리를 인도할 신을 우리를 위하여 만들라 이 모세 곧 우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사람은 어찌 되었는지 알지 못함이니라
2 아론이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 아내와 자녀의 귀의 금고리를 빼어 내게로 가져오라
3 모든 백성이 그 귀에서 금고리를 빼어 아론에게로 가져오매
4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그 고리를 받아 부어서 각도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그들이 말하되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로다 하는지라
5 아론이 보고 그 앞에 단을 쌓고 이에 공포하여 가로되 내일은 여호와의 절일이니라 하니
6 이튿날에 그들이 일찌기 일어나 번제를 드리며 화목제를 드리고 앉아서 먹고 마시며 일어나서 뛰놀더라
7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내려가라 네가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네 백성이 부패하였도다
8 그들이 내가 그들에게 명한 길을 속히 떠나 자기를 위하여 송아지를 부어 만들고 그것을 숭배하며 그것에게 희생을 드리며 말하기를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라 하였도다 >>
아론은 모세가 십계명을 받으러 산에 오른 후 백성들을 이끌어야하는 리더였다. 모세가 더디 오자 백성들은 아론에게 나아와 이전처럼 조각한 상을 만들어 그를 믿고 의지하자고 하였다.
우상을 만들어서 그것을 숭배한다는 것은 하나님을 믿는 것이라기보다는, 이전에 자신들이 믿고 의지하던 그 우상이기가 쉬웠을 것이다.
여기에서 아론의 리더십을 한번 고려해 보면 우유부단함을 엿볼 수 있다.
아론도 백성들처럼 금송아지를 하나님으로 생각하고 그것을 조각하게 하기는 했지만, 거룩하신 하나님과 금송아지를 언뜻 생각해 보아도 전혀 일치하지 않는 속성의 대상들인데 하나님을 금송아지로 받들었다.
그는 분명 모세와 함께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어온 지도자이기 때문에 그것이 가당치 않은 일이었음을 알고도 "금송아지를 하나님으로 믿어도 상관없겠지"하는 자신과 타협한 상태에 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것은 믿음에 굳게 서지 못한 결과이자, 아직 지도자의 자격이 없는 상태임을 알게 해주는 부분이다.
반대로 모세는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께 범죄했을 때 자신의 이름이 생명책에서 끊어져도 좋으니 백성들을 용서해 달라고 호소하는 결단력과 책임감이 있었다.
두 번째로 아론의 당시 인품은 "소신"이 없는 모습이었음도 알 수 있다.
모세가 아론을 다그칠 때 아론은 "백성들이 요구해서 금붙이들을 불에 던졌더니 금송아지가 나오더라"고 유치찬란한 거짓말을 했다.
이처럼 유치한 변명이 나올 정도라면 자신의 소신이 거의 없는 행위였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라 할수 있다.
물론 아론이 이후에도 항상 소신이 없었다거나, 우유부단한 성격이었다고 할수는 없지만 모세와의 비교를 통해서 멋진 리더십을 배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지금의 우리들과 비교해서 마지막으로 한마디 한다면,소신이나 믿음에 입각한 확실한 가치관은 고난을 통해서 얻어진다고 할수 있습니다. 모세의 경우 40년 미디안에서의 생활을 통해 자신의 자아는 죽어지고, 선을 향한 소신은 견고해졌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참된 리더십은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생기는 선한 마음이 가장 큰 재료라고 생각한다.
Ⅹ. 결 론
리더십이란 어떤 집단의 활동을 역동적이고 진취적으로 이끌어 소정의 목표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리더십의 유형 구분법에는 일반적으로 전제형과 민주형, 자유방임형으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이것들 중에서 어느 것이 가장 우월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각각 장단점이 있고, 주어진 상황하에서 효과 있는 리더십 유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리더십의 유형은 집단 내 구성원들의 성숙도에 따라 상황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지도자는 구성원들의 성숙을 강화시켜가야 한다.
성경에는 "머리"라는 구약적 리더십의 개념과 "종"이라는 신약적 리더십의 개념이 나타나 있다. 그리스도는 교회와 세상의 머리(왕)이시지만 세속적인 왕이나 통치자들과는 다르게 종으로서 왕권을 수행하셨다. 그러므로 성경적 리더십의 표준적인 모델은 왕-종이신 예수님에게서 찾아 볼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시다는 이러한 모델을 지칭하여 "섬기는 지도자(Servant Leader)"라고 불렀다. 그의 주장은 섬기는 지도자 상은 가장 성경적이며, 이상적이며, 현실적인 모델이라는 것이다. 머리이지만 군림하는 계급적 머리가 아니라 십자가의 사랑의 정신으로 종으로서 섬기는 지도자 상이 예수님이 몸소 보여 주신 성경적인 지도자 상이며, 금일의 한국 교회에도 요청되는 영적 지도자 상이라고 할 수 있다. "머리-종" 지도자상의 궁극적 목표는 구원이다. 바울은 이러한 영적 지도자의 사역을 에베소서 4:12에서 잘 표현하였다 : 이는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 교회 지도자는 복음으로 영혼을 구원하며 교회를 든든히 세우고 하늘나라를 확장하는 사역을 위하여 성령 충만을 얻어 헌신하여야 한다.
[참고 자료]
데이비드 코트렐. 송경근 역. 성경에서 배우는 크리스천 리더십, 한언출판사. 2006
김광건, 하나님 나라와 리더십, 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6
김승곤, 성경적 리더십 모델, 잠언, 2005
Cedar, P. 섬기는 지도자, 김성웅 역. 서울 : 횃불, 1993
Eims, L. 당신도 영적 지도자가 될 수 있다, 네비게이토, 1990
Sanders, J. O. 이동원 역. 영적 지도력, 요단출판사, 1996
Koontz, H. and O'Donnell, C. Management. A Systems and Contingency Analysis of Managerial Functions, New York, Megrow-Hill, 1986
- 대적들과 타협하지 않고 단호한 자세를 보여 줌
- 난관이 닥쳐왔을 때, 낙심치 않고 하나님을 의뢰했음
-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는 때까지 참고 기다렸음
3. 아론 - 그릇된 리더십
출애굽기 32장 1절에서 8절.
<<1 백성이 모세가 산에서 내려옴이 더딤을 보고 모여 아론에게 이르러 가로되 일어나라 우리를 인도할 신을 우리를 위하여 만들라 이 모세 곧 우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사람은 어찌 되었는지 알지 못함이니라
2 아론이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 아내와 자녀의 귀의 금고리를 빼어 내게로 가져오라
3 모든 백성이 그 귀에서 금고리를 빼어 아론에게로 가져오매
4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그 고리를 받아 부어서 각도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그들이 말하되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로다 하는지라
5 아론이 보고 그 앞에 단을 쌓고 이에 공포하여 가로되 내일은 여호와의 절일이니라 하니
6 이튿날에 그들이 일찌기 일어나 번제를 드리며 화목제를 드리고 앉아서 먹고 마시며 일어나서 뛰놀더라
7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내려가라 네가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네 백성이 부패하였도다
8 그들이 내가 그들에게 명한 길을 속히 떠나 자기를 위하여 송아지를 부어 만들고 그것을 숭배하며 그것에게 희생을 드리며 말하기를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라 하였도다 >>
아론은 모세가 십계명을 받으러 산에 오른 후 백성들을 이끌어야하는 리더였다. 모세가 더디 오자 백성들은 아론에게 나아와 이전처럼 조각한 상을 만들어 그를 믿고 의지하자고 하였다.
우상을 만들어서 그것을 숭배한다는 것은 하나님을 믿는 것이라기보다는, 이전에 자신들이 믿고 의지하던 그 우상이기가 쉬웠을 것이다.
여기에서 아론의 리더십을 한번 고려해 보면 우유부단함을 엿볼 수 있다.
아론도 백성들처럼 금송아지를 하나님으로 생각하고 그것을 조각하게 하기는 했지만, 거룩하신 하나님과 금송아지를 언뜻 생각해 보아도 전혀 일치하지 않는 속성의 대상들인데 하나님을 금송아지로 받들었다.
그는 분명 모세와 함께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어온 지도자이기 때문에 그것이 가당치 않은 일이었음을 알고도 "금송아지를 하나님으로 믿어도 상관없겠지"하는 자신과 타협한 상태에 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것은 믿음에 굳게 서지 못한 결과이자, 아직 지도자의 자격이 없는 상태임을 알게 해주는 부분이다.
반대로 모세는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께 범죄했을 때 자신의 이름이 생명책에서 끊어져도 좋으니 백성들을 용서해 달라고 호소하는 결단력과 책임감이 있었다.
두 번째로 아론의 당시 인품은 "소신"이 없는 모습이었음도 알 수 있다.
모세가 아론을 다그칠 때 아론은 "백성들이 요구해서 금붙이들을 불에 던졌더니 금송아지가 나오더라"고 유치찬란한 거짓말을 했다.
이처럼 유치한 변명이 나올 정도라면 자신의 소신이 거의 없는 행위였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라 할수 있다.
물론 아론이 이후에도 항상 소신이 없었다거나, 우유부단한 성격이었다고 할수는 없지만 모세와의 비교를 통해서 멋진 리더십을 배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지금의 우리들과 비교해서 마지막으로 한마디 한다면,소신이나 믿음에 입각한 확실한 가치관은 고난을 통해서 얻어진다고 할수 있습니다. 모세의 경우 40년 미디안에서의 생활을 통해 자신의 자아는 죽어지고, 선을 향한 소신은 견고해졌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참된 리더십은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생기는 선한 마음이 가장 큰 재료라고 생각한다.
Ⅹ. 결 론
리더십이란 어떤 집단의 활동을 역동적이고 진취적으로 이끌어 소정의 목표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리더십의 유형 구분법에는 일반적으로 전제형과 민주형, 자유방임형으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이것들 중에서 어느 것이 가장 우월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각각 장단점이 있고, 주어진 상황하에서 효과 있는 리더십 유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리더십의 유형은 집단 내 구성원들의 성숙도에 따라 상황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지도자는 구성원들의 성숙을 강화시켜가야 한다.
성경에는 "머리"라는 구약적 리더십의 개념과 "종"이라는 신약적 리더십의 개념이 나타나 있다. 그리스도는 교회와 세상의 머리(왕)이시지만 세속적인 왕이나 통치자들과는 다르게 종으로서 왕권을 수행하셨다. 그러므로 성경적 리더십의 표준적인 모델은 왕-종이신 예수님에게서 찾아 볼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시다는 이러한 모델을 지칭하여 "섬기는 지도자(Servant Leader)"라고 불렀다. 그의 주장은 섬기는 지도자 상은 가장 성경적이며, 이상적이며, 현실적인 모델이라는 것이다. 머리이지만 군림하는 계급적 머리가 아니라 십자가의 사랑의 정신으로 종으로서 섬기는 지도자 상이 예수님이 몸소 보여 주신 성경적인 지도자 상이며, 금일의 한국 교회에도 요청되는 영적 지도자 상이라고 할 수 있다. "머리-종" 지도자상의 궁극적 목표는 구원이다. 바울은 이러한 영적 지도자의 사역을 에베소서 4:12에서 잘 표현하였다 : 이는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 교회 지도자는 복음으로 영혼을 구원하며 교회를 든든히 세우고 하늘나라를 확장하는 사역을 위하여 성령 충만을 얻어 헌신하여야 한다.
[참고 자료]
데이비드 코트렐. 송경근 역. 성경에서 배우는 크리스천 리더십, 한언출판사. 2006
김광건, 하나님 나라와 리더십, 웨스트민스터출판부, 2006
김승곤, 성경적 리더십 모델, 잠언, 2005
Cedar, P. 섬기는 지도자, 김성웅 역. 서울 : 횃불, 1993
Eims, L. 당신도 영적 지도자가 될 수 있다, 네비게이토, 1990
Sanders, J. O. 이동원 역. 영적 지도력, 요단출판사, 1996
Koontz, H. and O'Donnell, C. Management. A Systems and Contingency Analysis of Managerial Functions, New York, Megrow-Hill, 1986
추천자료
히딩크의 리더십 - 의미, 특징, 성공요인, 사례, 교훈, 시사점
[리더십분석] CEO 리더십의 정의와 중요성 및 한국 CEO 리더십의 사례 및 전망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의 의미와 여러 시각에서 보는 서번트 리더십의 사례
리더십 사례 분석
한국적 리더십 사례를 통한 시사점에 대해 논해봅시다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에 대하여 비교설명하고 각 리더십의 사례를 서술하시오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에 대하여 비교설명하고 각 리더십의 사례를 서술하시오
[조직행동론 02] 사례연구 18 ‘다국적기업 경영자의 리더십’ 토의질문 - 카르스텟트 사장의 ...
사이드 리더십 (사이드 리더십 정의, 주요내용, 효과, 철학, 실천과제, 인물사례).pptx
[리더십 사례연구] 성공한 한국 기업가의 리더십 사례
리더십 베이직,리더십의 인프라,효과적인리더십,리더십 행동,리더의 조건,브랜드마케팅,서비...
리더십의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고 각 유형별 대표적인 사례에 대해 이야기해보세요
위대한 지도자의 모습에 대해 구체적 사례를 들고 자신에게 보완되어야 할 리더십의 본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