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통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Ⅱ. 본 론
1. 통합교육의 정의와 개념
2. 통합교육의 배경
3. 통합교육의 목적
4. 통합교육의 당위성
5. 통합교육의 운영목표
6. 통합교육의 효과
7. 통합교육의 유형 및 방법
8.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현황
9. 통합교육에서의 장애영역별 교수방법
10. 통합교육의 사회적 상호작용 방법
11. 통합교육의 조건
12.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역할
13. 학급 내 통합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사례
14. 통합교육의 문제점
Ⅲ. 결 론
통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Ⅱ. 본 론
1. 통합교육의 정의와 개념
2. 통합교육의 배경
3. 통합교육의 목적
4. 통합교육의 당위성
5. 통합교육의 운영목표
6. 통합교육의 효과
7. 통합교육의 유형 및 방법
8.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현황
9. 통합교육에서의 장애영역별 교수방법
10. 통합교육의 사회적 상호작용 방법
11. 통합교육의 조건
12.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역할
13. 학급 내 통합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사례
14. 통합교육의 문제점
Ⅲ. 결 론
본문내용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낮고 그 전문성에 있어서 제대로 준비되지 않아 통합교육의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 이소현의 견해와 상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애인도 한 개인이고 내 이웃이고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인식을 갖도록 학교차원에서 체계적인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2) 통합교육을 할 때 학급에서 가장 큰 문제점
통합교육을 실시할 때 학급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학부모에게 질문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통합교육을 할 때 학급에서 가장 큰 문제점 N(%)
응답
구분
①
②
③
④
⑤
계
전 체
88(29.3)
79(26.3)
14(4.7)
109(36.3)
10(3.3)
300(100)
학
부
모
장애학생
35(23.3)
30(20.0)
2(1.3)
77(51.3)
6(4.0)
150(100)
비 장 애
학 생
53(35.3)
49(32.7)
12(8.0)
32(21.3)
4(2.7)
150(100)
과
정
별
유 치 부
34(34.0)
25(25.0)
3(3.0)
38(38.0)
-
100(100)
초 등 부
30(30.0)
24(24.0)
3(3.0)
36(36.0)
7(7.0)
100(100)
중 등 부
24(24.0)
30(30.0)
8(8.0)
35(35.0)
3(3.0)
100(100)
① 통합교육을 하기엔 일반학급의 학생 수가 너무 많아 교사의 업무가 과중하다
② 일반학생의 인식 부족으로 장애학생의 대인관계 형성이 어렵다
③ 교사가 장애학생에게 시간을 뺏겨 일반학생들에게 소홀해진다
④ 장애학생을 위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아 방치되기 쉽다
⑤ 교실 분위기가 산만해 진다
<표 2>에 의하면 통합교육을 할 때 학급에서 가장 큰 문제점에 대해 전체 응답자 중 36.3%가 ‘장애학생을 위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아 방치되기 쉽다’고 응답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을 분석한 결과, 자녀의 장애 유무에 따른 학부모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과정별 집단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교육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이소연박은혜(1999)의 의견과 일치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의 질적인 면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 작업과 새로운 방법론적 모형의 개발이 뒤따라야만 통합교육에서 장애학생들이 방치되지 않고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 질 것이다.
Ⅲ. 결 론
통합교육은 지금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실행이나 양적 확장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진정한 의미에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해결해야 할 점들이 있다.
첫째로 일반인들의 장애인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다. 장애인을 정상인과 다를 바 없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는 선진 외국의 경우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장애인을 부족하고 결함이 많은 사람으로 배척하거나 또는 동정이나 수혜의 대상으로만 보려는 이원화된 관점이 주를 이끌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장애를 가진 사람이나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 모두 한 시민으로서 평등하다. 장애인도 정상인과 똑같은 한 시민으로서 정상인과 함께 한 지역사회 안에서 교회, 식당, 영화관, 체육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정상인과 함께 일하고 놀면서 살아가야 한다는 인식이 하루 빨리 조성되어야 한다.
둘째로 장애아동을 단순히 일반학급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통합교육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그에 따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아동에 따라서 일반학급에 계속 있을 수 있기도 하고, 또는 전일제, 특수학급, 시간제 특수학급, 특별지도실 등에서 지도를 받아야 하는 아동도 있다. 아동의 장애의 정도 및 특성에 따른 적절한 배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일반학급에 배치된 아동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적절한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이 마련되지 않으면 아동은 오히려 분리교육을 받는 것에도 못 미칠 수도 있다. 통합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효과와 함께 관련된 변인들을 연구함으로써 통합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향상은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꼭 필요한 전제조건이다. 일반학교의 대부분의 교사들은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서 모두가 인식하고 있으나, 장애아동이 일반학급에 배치되었을 경우 이들에 대한 지식이나 교수방법 등을 몰라 이를 거부하거나 매우 부담스러워 한다. 교사양성을 하는 대학에서 특수교육에 대한 과목을 반드시 개설해야 할뿐더러 이미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에게도 지속적인 연수과정을 통해 장애아동교육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넓혀가야 한다. 또 특수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도 일반학교 내에서 일반아동과 상호작용을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강좌, 또는 일반학급의 담임교사와 협력하여 장애아동을 교육하는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해야 한다.
넷째, 장애아동 중에서도 특히 지체장애아동이 일반학급에 배치된 후, 학교교육을 받는 동안 내내 부모가 큰 희생을 치르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계단이나 화장실, 책상이나 의자 등은 장애학생이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 계속해서 어려움을 갖게 하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지체장애학생과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시설,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수화통역자 고용 등, 단 한 명의 장애학생을 위한 배려는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발전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이소현박은혜(1998). 특수아동교육
조용태(2001).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교육인적자원부(2005).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구본권외(1999).특수교육학
전영숙(1999).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비교조사
참고 Site
국립특수교육원 http://www.kise.go.kr/index.jsp
한국통합교육연구회 http://www.inclusion.co.kr/
손오공의 특수교육 http://special.new21.org/
2) 통합교육을 할 때 학급에서 가장 큰 문제점
통합교육을 실시할 때 학급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학부모에게 질문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통합교육을 할 때 학급에서 가장 큰 문제점 N(%)
응답
구분
①
②
③
④
⑤
계
전 체
88(29.3)
79(26.3)
14(4.7)
109(36.3)
10(3.3)
300(100)
학
부
모
장애학생
35(23.3)
30(20.0)
2(1.3)
77(51.3)
6(4.0)
150(100)
비 장 애
학 생
53(35.3)
49(32.7)
12(8.0)
32(21.3)
4(2.7)
150(100)
과
정
별
유 치 부
34(34.0)
25(25.0)
3(3.0)
38(38.0)
-
100(100)
초 등 부
30(30.0)
24(24.0)
3(3.0)
36(36.0)
7(7.0)
100(100)
중 등 부
24(24.0)
30(30.0)
8(8.0)
35(35.0)
3(3.0)
100(100)
① 통합교육을 하기엔 일반학급의 학생 수가 너무 많아 교사의 업무가 과중하다
② 일반학생의 인식 부족으로 장애학생의 대인관계 형성이 어렵다
③ 교사가 장애학생에게 시간을 뺏겨 일반학생들에게 소홀해진다
④ 장애학생을 위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아 방치되기 쉽다
⑤ 교실 분위기가 산만해 진다
<표 2>에 의하면 통합교육을 할 때 학급에서 가장 큰 문제점에 대해 전체 응답자 중 36.3%가 ‘장애학생을 위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아 방치되기 쉽다’고 응답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을 분석한 결과, 자녀의 장애 유무에 따른 학부모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과정별 집단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교육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이소연박은혜(1999)의 의견과 일치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의 질적인 면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 작업과 새로운 방법론적 모형의 개발이 뒤따라야만 통합교육에서 장애학생들이 방치되지 않고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 질 것이다.
Ⅲ. 결 론
통합교육은 지금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실행이나 양적 확장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진정한 의미에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해결해야 할 점들이 있다.
첫째로 일반인들의 장애인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다. 장애인을 정상인과 다를 바 없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는 선진 외국의 경우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장애인을 부족하고 결함이 많은 사람으로 배척하거나 또는 동정이나 수혜의 대상으로만 보려는 이원화된 관점이 주를 이끌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장애를 가진 사람이나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 모두 한 시민으로서 평등하다. 장애인도 정상인과 똑같은 한 시민으로서 정상인과 함께 한 지역사회 안에서 교회, 식당, 영화관, 체육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정상인과 함께 일하고 놀면서 살아가야 한다는 인식이 하루 빨리 조성되어야 한다.
둘째로 장애아동을 단순히 일반학급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통합교육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그에 따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아동에 따라서 일반학급에 계속 있을 수 있기도 하고, 또는 전일제, 특수학급, 시간제 특수학급, 특별지도실 등에서 지도를 받아야 하는 아동도 있다. 아동의 장애의 정도 및 특성에 따른 적절한 배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일반학급에 배치된 아동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적절한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이 마련되지 않으면 아동은 오히려 분리교육을 받는 것에도 못 미칠 수도 있다. 통합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효과와 함께 관련된 변인들을 연구함으로써 통합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향상은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꼭 필요한 전제조건이다. 일반학교의 대부분의 교사들은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서 모두가 인식하고 있으나, 장애아동이 일반학급에 배치되었을 경우 이들에 대한 지식이나 교수방법 등을 몰라 이를 거부하거나 매우 부담스러워 한다. 교사양성을 하는 대학에서 특수교육에 대한 과목을 반드시 개설해야 할뿐더러 이미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에게도 지속적인 연수과정을 통해 장애아동교육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넓혀가야 한다. 또 특수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도 일반학교 내에서 일반아동과 상호작용을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강좌, 또는 일반학급의 담임교사와 협력하여 장애아동을 교육하는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해야 한다.
넷째, 장애아동 중에서도 특히 지체장애아동이 일반학급에 배치된 후, 학교교육을 받는 동안 내내 부모가 큰 희생을 치르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계단이나 화장실, 책상이나 의자 등은 장애학생이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 계속해서 어려움을 갖게 하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지체장애학생과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시설,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수화통역자 고용 등, 단 한 명의 장애학생을 위한 배려는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발전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이소현박은혜(1998). 특수아동교육
조용태(2001).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교육인적자원부(2005).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구본권외(1999).특수교육학
전영숙(1999).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비교조사
참고 Site
국립특수교육원 http://www.kise.go.kr/index.jsp
한국통합교육연구회 http://www.inclusion.co.kr/
손오공의 특수교육 http://special.new21.org/
추천자료
[장애아동 통합교육]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관한 보고서
[청각장애][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청각장애학생][청각장애인][청각장애아교육]청각장애(...
장애인통합교육의 가치, 장애인통합교육의 중요성, 장애인통합교육의 모형, 장애인통합교육의...
장애아동(특수아동)의 학교교육과 통합교육, 장애아동(특수아동)의 수학교육, 장애아동(특수...
[장애인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의의, 장애인통합교육의 필요성, 장애인통합교육의 배경, ...
[특수아교육]장애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필요성 및 효과 이해...
[특수교육][통합교육]장애와 장애인의 개념, 장애인의 교육권, 장애인의 교육법 및 장애인통...
[장애인통합교육][특수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정의, 장애인통합교육의 중요성, 장애인통합교...
유아교육기관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이해 - 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
특수아교육A형)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고찰
<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조기통합교육과 활성화 방안 >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조기통합교육...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을 위한 학부모의 요구수준과 통합교육 프로그램 적응효과
★ 사회복지학과 - 장애완전통합교육의 탄생을 역사적 배경에 근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에 근거한 통합프로그램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