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heme
2. Purpose
3. Principle
4. Reagent
5. Method
6. Result
7. Disccusion
8. Reference
2. Purpose
3. Principle
4. Reagent
5. Method
6. Result
7. Disccusion
8. Reference
본문내용
l정도 채워준다.
- marker를 11㎕ 가량 loading 한다.
- sample을 11㎕ 가량 씩 loading 한다.
④
전압 걸어주기
* 조건은 sample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 Tank와 Lid를 같은 색 끼리 맞춰서 닫아준다.
- Lid에 연결되어 있는 선을 power supply의 구멍에 역시 같은 색끼리 꽂아준다.
(supply에 꽂는 구멍이 4set가 있는데 동시에 사용이 가능 하다.)
- supply를 켜고 mA 버튼을 누른 뒤 V/A 버튼을 눌러 전압을 결정한다.
- ( + , - )버튼으로 알맞은 전압수를 맞춰준다.
- run 버튼을 눌러준다.⑥ loading된 sample 들이 밑에서 약 0.5cm정도까지 내려오면 pause 버튼으로 작동을 멈춰준다.
⑤
염색
- Gel 전체를 염색 시켜 준다.
① loading이 끝난 Gel을 유리판에서 떼어내 그릇에 담고 적당량의 Staining solution을 부어준 다.
② 교반기(plate mixer)로 교반 해주면서 약 20분가량 염색 시킨 후 따라 낸다.
⑥
탈색
* 염색 되어 나타난 밴드가 잘 보이도록 밴드(단백질 부분)을 제외한 그 외 Gel에 염색된 부분을 탈색시켜준다.
- Destaining solution을 Gel이 잠길 정도로 부어준다.(그릇 표면에 Gel이 붙어있을 경우 흔들어 띄어준다.)
- plate mixer로 교반 시켜준다.
- 교반 중간 중간 마다 Destaining solution을 갈아준다.
- 밴드 외의 Gel부분이 투명해 질 때까지 탈색 시켜준다.(약 40~1시간)
- 끝나면 사진을 찍어 밴드를 확인한다.
- Gel 보관은 5% acetic acid에 담가 냉장고에서 한다.
Result
band 1
band 2
시료의 종류
1. Marker
2. BSA + Cone 알부민
+ -galactosidase
3. BSA + -galactosidase
4. BSA
5. Cone 알부민
6. -galactosidase
7. Glycine
시 료
-galactosidase
BSA
Cone 알부민
Glycine
분자량
119kDa
99kDa
80kDa
75kDa
마 커
①
Myosin
②
-galac
tosidase
③
BSA
④ Ovalbumin
⑤
Carbonic anhydrrase
⑥ Soybeen
trypsin
inhibitor
⑦ Lysozyme
⑧
Aprotinin
분자량
208kDa
119kDa
99kDa
52kDa
37kDa
28kDa
19kDa
6kDa
Discussion
분 석
band 1
band 2
1. Marker
마커가 충분히 내려오지 못하고 위쪽으로 몰려있다.
2. BSA +
Cone 알부민 +
-galactosidase
세가지 물질을 섞어 로딩하였는데 두 번째로 나온 BSA가 번져 2개의 띠인 것처럼 나왔다. 순서는 -galactosidase, BSA, Cone 알부민 순이다.
3. BSA +
-galactosidase
시료의 손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약하게나마 마커의 3번째 위치에 BSA가 걸린 것이 확인 되었다.
4. BSA
한 가지 물질을 넣었는데 여러 가지 물질이 나온 것으로 보아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았나 의심이 된다.
5. Cone 알부민
Cone 알부민은 분자량이 80kDa인데 분자량이 99kDa인 BSA의 약간 아래쪽으로 나온 것이 확인되었다.
6.-galactosidase
6번 역시 시료의 오염이 의심된다. -galactosidase가 나와야 하는 자리에는 걸리지 않고 다른 물질이 다른 분자량에 걸려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7. Glycine
7번 역시 시료의 오염이 의심된다. 또한 시료의 손실 또한 일어난 것 같다. 그러나 분자량이 99kDa인 BSA와 분자량이 52kDa인 Ovalbumin 사이에 Glycine이 걸려 있는 것이 희미하게 보인다.
비 고
- 2개의 gel의 로딩은 같은 조건에서 동일하게 일어났으므로 밴
드 1과 2의 모양은 같게 나온다.
- 전체적으로 로딩 시간이 짧아 시료가 충분히 내려오지 못했다.
Reference
- http://rafael.ucsf.edu/2DPAGEhome.html
- http://donatello.ucsf.edu/
- http://board.cgiworld.net/view.cgi?id=molgene&now=4&jd=-1&ino=58&tmp_no=61
- 유기화학실험 박원규 저 형설출판사
- 유기화학실험 조철영 저 동화기술
- marker를 11㎕ 가량 loading 한다.
- sample을 11㎕ 가량 씩 loading 한다.
④
전압 걸어주기
* 조건은 sample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 Tank와 Lid를 같은 색 끼리 맞춰서 닫아준다.
- Lid에 연결되어 있는 선을 power supply의 구멍에 역시 같은 색끼리 꽂아준다.
(supply에 꽂는 구멍이 4set가 있는데 동시에 사용이 가능 하다.)
- supply를 켜고 mA 버튼을 누른 뒤 V/A 버튼을 눌러 전압을 결정한다.
- ( + , - )버튼으로 알맞은 전압수를 맞춰준다.
- run 버튼을 눌러준다.⑥ loading된 sample 들이 밑에서 약 0.5cm정도까지 내려오면 pause 버튼으로 작동을 멈춰준다.
⑤
염색
- Gel 전체를 염색 시켜 준다.
① loading이 끝난 Gel을 유리판에서 떼어내 그릇에 담고 적당량의 Staining solution을 부어준 다.
② 교반기(plate mixer)로 교반 해주면서 약 20분가량 염색 시킨 후 따라 낸다.
⑥
탈색
* 염색 되어 나타난 밴드가 잘 보이도록 밴드(단백질 부분)을 제외한 그 외 Gel에 염색된 부분을 탈색시켜준다.
- Destaining solution을 Gel이 잠길 정도로 부어준다.(그릇 표면에 Gel이 붙어있을 경우 흔들어 띄어준다.)
- plate mixer로 교반 시켜준다.
- 교반 중간 중간 마다 Destaining solution을 갈아준다.
- 밴드 외의 Gel부분이 투명해 질 때까지 탈색 시켜준다.(약 40~1시간)
- 끝나면 사진을 찍어 밴드를 확인한다.
- Gel 보관은 5% acetic acid에 담가 냉장고에서 한다.
Result
band 1
band 2
시료의 종류
1. Marker
2. BSA + Cone 알부민
+ -galactosidase
3. BSA + -galactosidase
4. BSA
5. Cone 알부민
6. -galactosidase
7. Glycine
시 료
-galactosidase
BSA
Cone 알부민
Glycine
분자량
119kDa
99kDa
80kDa
75kDa
마 커
①
Myosin
②
-galac
tosidase
③
BSA
④ Ovalbumin
⑤
Carbonic anhydrrase
⑥ Soybeen
trypsin
inhibitor
⑦ Lysozyme
⑧
Aprotinin
분자량
208kDa
119kDa
99kDa
52kDa
37kDa
28kDa
19kDa
6kDa
Discussion
분 석
band 1
band 2
1. Marker
마커가 충분히 내려오지 못하고 위쪽으로 몰려있다.
2. BSA +
Cone 알부민 +
-galactosidase
세가지 물질을 섞어 로딩하였는데 두 번째로 나온 BSA가 번져 2개의 띠인 것처럼 나왔다. 순서는 -galactosidase, BSA, Cone 알부민 순이다.
3. BSA +
-galactosidase
시료의 손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약하게나마 마커의 3번째 위치에 BSA가 걸린 것이 확인 되었다.
4. BSA
한 가지 물질을 넣었는데 여러 가지 물질이 나온 것으로 보아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았나 의심이 된다.
5. Cone 알부민
Cone 알부민은 분자량이 80kDa인데 분자량이 99kDa인 BSA의 약간 아래쪽으로 나온 것이 확인되었다.
6.-galactosidase
6번 역시 시료의 오염이 의심된다. -galactosidase가 나와야 하는 자리에는 걸리지 않고 다른 물질이 다른 분자량에 걸려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7. Glycine
7번 역시 시료의 오염이 의심된다. 또한 시료의 손실 또한 일어난 것 같다. 그러나 분자량이 99kDa인 BSA와 분자량이 52kDa인 Ovalbumin 사이에 Glycine이 걸려 있는 것이 희미하게 보인다.
비 고
- 2개의 gel의 로딩은 같은 조건에서 동일하게 일어났으므로 밴
드 1과 2의 모양은 같게 나온다.
- 전체적으로 로딩 시간이 짧아 시료가 충분히 내려오지 못했다.
Reference
- http://rafael.ucsf.edu/2DPAGEhome.html
- http://donatello.ucsf.edu/
- http://board.cgiworld.net/view.cgi?id=molgene&now=4&jd=-1&ino=58&tmp_no=61
- 유기화학실험 박원규 저 형설출판사
- 유기화학실험 조철영 저 동화기술
추천자료
의과대학 학습목표 임상병리과학
유전자 재조합
Northern Blot
제한효소를 이용한 람다 DNA의 분석
핵산의 구조
DNA sample electrophoresis
누에 견사선 DNA정제
Plasmid DNA purification & Electrophoresis
세포생물학-Electrophoresis of DNA-1
생활 속의 분자 생물학
유전공학 정리
[세균학실험] Exp. 3 황색포도상구균의 coagulase 유전자 검출
PFGE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공학] 전자 디스플레이(RECENT ADVANCES IN DISPLAY TECHNOLOGIES) 장치의 모든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