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이론적 고찰
▶ 캐러멜화 (Carmelization)
4. 재료 및 분량
5. 기구 및 기기
6. 실험방법
7. 실험 시 유의사항
8. 실험결과 및 고찰
9. 이론에 의해 예상해본 실험결과와 오차가 발생한 부분
10. 오차의 이유
11. 참고문헌
2. 실험목적
3. 이론적 고찰
▶ 캐러멜화 (Carmelization)
4. 재료 및 분량
5. 기구 및 기기
6. 실험방법
7. 실험 시 유의사항
8. 실험결과 및 고찰
9. 이론에 의해 예상해본 실험결과와 오차가 발생한 부분
10. 오차의 이유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 단단함을 비교하기에는 실험 시간이 매우 부족했다. 일단 가장 먼저 실험을 했던 기본재료로 만든 캐러멜이 가장 딱딱했으나, 나머지 재료들도 시간이 흐를수록 단단해지는 것으로 보아, 만약 실험 시간이 더 있었더라면 여러 종류의 캐러멜을 충분히 냉각시킨 후, 단단함의 정도를 정확히 비교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촉감 : 촉감의 비교에 대해서는 잘 하지 못했다. 일단, 각 캐러멜의 냉각 시간이 부족하여, 완전히 완성된 캐러멜을 만들지 못하였고, 캐러멜이 접시에서 잘 떼어지기 위해 발라놓은 버터 때문인지, 모든 캐러멜이 미끈한 느낌을 가지고 있었다.
9. 이론에 의해 예상해본 실험결과와 오차가 발생한 부분
이론에 의하면 캐러멜화가 발생되는 온도는 119℃라고 하였으나, 실제의 실험에서는 119℃까지 올라가는 경우는 드물었고, 대체로 110℃ 전 후반의 온도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캐러멜화가 되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10. 오차의 이유
재료를 끓이는 과정에서 발생한 기포에 의해 핵이 형성될 수 있다.
냄비의 뚜껑을 열고 가열을 하였기 때문에 캐러멜화의 온도가 정확히 나오지 않았다.
11. 참고문헌
새로운 조리과학, 정현숙정외숙, 지구문화사, 1998
촉감 : 촉감의 비교에 대해서는 잘 하지 못했다. 일단, 각 캐러멜의 냉각 시간이 부족하여, 완전히 완성된 캐러멜을 만들지 못하였고, 캐러멜이 접시에서 잘 떼어지기 위해 발라놓은 버터 때문인지, 모든 캐러멜이 미끈한 느낌을 가지고 있었다.
9. 이론에 의해 예상해본 실험결과와 오차가 발생한 부분
이론에 의하면 캐러멜화가 발생되는 온도는 119℃라고 하였으나, 실제의 실험에서는 119℃까지 올라가는 경우는 드물었고, 대체로 110℃ 전 후반의 온도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캐러멜화가 되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10. 오차의 이유
재료를 끓이는 과정에서 발생한 기포에 의해 핵이 형성될 수 있다.
냄비의 뚜껑을 열고 가열을 하였기 때문에 캐러멜화의 온도가 정확히 나오지 않았다.
11. 참고문헌
새로운 조리과학, 정현숙정외숙, 지구문화사,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