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논문 주제 및 저자
2. 연구 문제
3. 연구 대상
4. 연구 방법
1) 연구 도구
2) 연구 절차
5. 연구 결과
6. 유아 교육에 주는 시사점
1. 논문 주제 및 저자
2. 연구 문제
3. 연구 대상
4. 연구 방법
1) 연구 도구
2) 연구 절차
5. 연구 결과
6. 유아 교육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남아
12
4.11
.41
1.61
여아
8
3.68
.55
위안감
남아
12
4.29
.42
.11
여아
8
4.26
.53
성취동기
남아
12
3.77
.31
-.19
여아
8
3.81
.56
호기심
남아
12
3.77
.39
1.07
여아
8
3.45
.57
전체
남아
12
4.01
.21
.44
여아
8
3.96
.44
<표Ⅳ-3>에서 보는 것처럼 실험집단의 사회·정서발달에 대한 사전 검사 결과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가 사후 검사에서는 어떻게 나타났는지<표Ⅳ-4>에 제시하였다.
<표Ⅳ-4>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그룹 게임 효과에서 성별 차이
성별
N
M
SD
t
의존성
남아
12
4.07
.47
.33
여아
8
3.94
.61
내적봉제
남아
12
4.01
.62
1.28
여아
8
4.33
.40
상호관계
남아
12
4.12
.41
1.53
여아
8
3.79
.55
위안감
남아
12
4.28
.44
.11
여아
8
4.25
.55
성취동기
남아
12
3.76
.32
.16
여아
8
3.79
.50
호기심
남아
12
3.74
.37
.87
여아
8
3.55
.62
전체
남아
12
3.99
.19
.37
여아
8
3.94
.37
<표Ⅳ-4>에서 볼 수 있듯이 그룹 게임 효과의 성별 차이 분석 결과 내적 통제에서만 남아가 여아에 비해 높았으며 나머지 모든 영역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그룹 게임의 효과는 성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Ⅴ. 유아 교육에 주는 시사점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혀보고 이러한 영향에는 성 차가 있는지 알아 보았다. 두 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 났다. 내적 통제와 성취동기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유아의 점수가 조금의 차이로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룹 게임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돕는데 중요한 경험이 될 수 있는 있는 이 그룹게임은 교사나 성인이 가르쳐서가 아니라, 아동 스스로가 탐구와 활동을 하면서 얻어진다는 관점이다.
그룹 게임은 논리 수학적 지식과 물리적 지식 및 사회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다. 특히 자율성 발달과 인지적 발달을 함께 증진시켜 아동의 자기조절은 물론 더 높은 단계의 지적 추론을 가능케 한다고 하였다.
그룹 게임을 통하여 유아들은 집단 속에서 서로 협력하고 교섭함으로써 의견이나 생가을 교환하여 지적으로 발달하도록 배려하며, 권위적인 얼느의 개입을 최대한 배제하고 유아들간의 상호작용과 자기 선택의 여건을 조방해 주도록 하면 사회·정서도 함께 발달시킬 수 있다.
유아들은 그룹게임을 통하여 유아 스스로 또는 교사의 도움으로 규칙을 만들기도 하고 규칙을 만들기 위하여 상호 의견을 나누고, 그 규칙에 따르고, 공정석의 문제를 결정하는 일 등을 통해 동등한 참가자들 속에서 상호존중과 협동을 연습한다. 그러므로 아동은 타인의 관점을 인식하고 게임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역할이행과 탈 중심화를 경험하게 된다.
그룹 게임의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남아에 비해 여아의 점수가 높았으나 통RP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아니어서 성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그룹게임의 효과가 성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치다고 볼 수 있다. 성 차이가 없기 때문에 그룹게임은 남녀 모든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활동으로 볼 수 있다.
즉 유치원에서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그룹 게임은 남녀 모두에게 효과가 있다.
12
4.11
.41
1.61
여아
8
3.68
.55
위안감
남아
12
4.29
.42
.11
여아
8
4.26
.53
성취동기
남아
12
3.77
.31
-.19
여아
8
3.81
.56
호기심
남아
12
3.77
.39
1.07
여아
8
3.45
.57
전체
남아
12
4.01
.21
.44
여아
8
3.96
.44
<표Ⅳ-3>에서 보는 것처럼 실험집단의 사회·정서발달에 대한 사전 검사 결과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가 사후 검사에서는 어떻게 나타났는지<표Ⅳ-4>에 제시하였다.
<표Ⅳ-4>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그룹 게임 효과에서 성별 차이
성별
N
M
SD
t
의존성
남아
12
4.07
.47
.33
여아
8
3.94
.61
내적봉제
남아
12
4.01
.62
1.28
여아
8
4.33
.40
상호관계
남아
12
4.12
.41
1.53
여아
8
3.79
.55
위안감
남아
12
4.28
.44
.11
여아
8
4.25
.55
성취동기
남아
12
3.76
.32
.16
여아
8
3.79
.50
호기심
남아
12
3.74
.37
.87
여아
8
3.55
.62
전체
남아
12
3.99
.19
.37
여아
8
3.94
.37
<표Ⅳ-4>에서 볼 수 있듯이 그룹 게임 효과의 성별 차이 분석 결과 내적 통제에서만 남아가 여아에 비해 높았으며 나머지 모든 영역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그룹 게임의 효과는 성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Ⅴ. 유아 교육에 주는 시사점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혀보고 이러한 영향에는 성 차가 있는지 알아 보았다. 두 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 났다. 내적 통제와 성취동기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유아의 점수가 조금의 차이로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룹 게임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돕는데 중요한 경험이 될 수 있는 있는 이 그룹게임은 교사나 성인이 가르쳐서가 아니라, 아동 스스로가 탐구와 활동을 하면서 얻어진다는 관점이다.
그룹 게임은 논리 수학적 지식과 물리적 지식 및 사회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다. 특히 자율성 발달과 인지적 발달을 함께 증진시켜 아동의 자기조절은 물론 더 높은 단계의 지적 추론을 가능케 한다고 하였다.
그룹 게임을 통하여 유아들은 집단 속에서 서로 협력하고 교섭함으로써 의견이나 생가을 교환하여 지적으로 발달하도록 배려하며, 권위적인 얼느의 개입을 최대한 배제하고 유아들간의 상호작용과 자기 선택의 여건을 조방해 주도록 하면 사회·정서도 함께 발달시킬 수 있다.
유아들은 그룹게임을 통하여 유아 스스로 또는 교사의 도움으로 규칙을 만들기도 하고 규칙을 만들기 위하여 상호 의견을 나누고, 그 규칙에 따르고, 공정석의 문제를 결정하는 일 등을 통해 동등한 참가자들 속에서 상호존중과 협동을 연습한다. 그러므로 아동은 타인의 관점을 인식하고 게임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역할이행과 탈 중심화를 경험하게 된다.
그룹 게임의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남아에 비해 여아의 점수가 높았으나 통RP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아니어서 성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그룹게임의 효과가 성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치다고 볼 수 있다. 성 차이가 없기 때문에 그룹게임은 남녀 모든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활동으로 볼 수 있다.
즉 유치원에서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그룹 게임은 남녀 모두에게 효과가 있다.
추천자료
[문화 사회학] 팬덤문화- 국내 대중가수팬들을 중심으로-
[일본 문화의 이해]오타쿠 문화의 이해
넷마블 거시환경분석
[경영학원론]기업의 사회적책임 사례분석 - SK의 행복경영 (A+리포트)
올데이수업계획안
2)수학-7.시간알아보기-5분, 1분 단위로 시각 읽기
심리학 과제 - 사이버심리학
현대 경영환경에서의 블루오션전략 체계화
[국가國家정책 분석] 의약분업 개념, 의약분업 목적, 의약분업 기대효과, 의약분업 정책 성공...
[보육평가 인증일지] (만3세 2015년 5월 15일 금) 주제 : 나와 가족 | 소주제 : 소중한 나 | ...
[보육평가 인증일지] (만3세 2015년 5월 19일 화) 주제 : 나와 가족 | 소주제 : 소중한 가족 ...
[보육평가 인증일지] (만3세 2015년 5월 6일 수) 주제 : 나와 가족 | 소주제 : 나의 몸과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