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상대 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Ⅲ. 중고 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Ⅳ. 중세 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Ⅴ. 근세 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Ⅵ. 극문학 (노, 조루리, 가부키)의 특징
Ⅶ. 결 론
Ⅱ. 상대 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Ⅲ. 중고 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Ⅳ. 중세 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Ⅴ. 근세 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Ⅵ. 극문학 (노, 조루리, 가부키)의 특징
Ⅶ. 결 론
본문내용
금지 당했을 때는 교겐[狂言:노가 상연될 때 삽입되었던 희극적인 막간극]을 개작 또는 희화화함으로써 다시 활로를 찾게 되었다. 이 시기에 여자역을 하는 남자배우들인 온나가타[女形]들이 등장했으며 이들은 최고의 인기를 누리기도 했다.
가부키는 내용면에서 역사극인 지다이모노[時代物]와 서민을 주인공으로 해 당시의 세태를 묘사한 세와모노[世話物]로 나누어진다. 공연은 일반적으로 지다이모노 세와모노의 순서대로 진행되는데 중간에 귀신이나 게이샤[芸者], 색다른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무용극이 1~2개 삽입되며 연기자들이 총출연하는 활기찬 무용 오기리쇼사고토[大切所作事]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된다.
Ⅶ. 결 론
일본문학 가운데, 단가(短歌)라는 일정한 형식의 서정시로서 일본어의 특성읕 잘 표현하는 와카[和歌]가 일찍이 발달하였다. 와카는 본디 일본 고유의 구두(口頭)문예로 시작해, 일상생활 속에서 발달하였다. 또한 풍족한 자연조건하에서 생겨난 자연감정 미의식의 표현으로서 일본의 감성과 사유(思惟)의 표현양식으로 자리잡았다. 대표적 와카집 만요슈[萬葉集]의 만요와카는 고킨슈[古今集]을 비롯한 칙찬(勅撰) 와카집[和歌集]시대의 단가로 계승되었으며, 한시(漢詩)에 대한 야마토우타[倭歌]로 자각되어 천황신앙과 표리를 이루는 궁정문학으로서 이른바 미야비[優美] 문학의 전통을 형성했다. 또한 와카를 통하여, 10세기 이후 발달한 산문문학에 내면적 정취를 가져다주었다. 11세기 초에 완성된 장편소설 겐지[源氏]이야기도 다채로운 와카문학을 창작방법론으로 하고 있다. 칙찬 와카집은 무로마치[室町]시대까지 21집이 편찬되었고, 그 준비과정에서 우타아와세[歌合;좌우로 나뉘어 와카를 읊어 우열을 가리는 놀이]와 가카이[歌會;와카를 짓는 모임]가 성행하여 많은 작가가 나왔다. 시대가 바뀌면서 그 본질적 의미가 많이 바뀌었으나 이른바 자유풍영적(自由諷詠的)인 서정영탄(敍情詠嘆)의 형태는 계속 유지되었다. 메이지[明治]시대 이후 전통적 와카는 배척되었고 근세에 이르러 단가의 문학적 가치도 쇠퇴하였으나 31음(音)의 정형(定型)은 계속 이어져 왔다. 단가와 함께 전해져 내려온 하이쿠[俳句;5 7 5의 3句 17音으로 되는 短型詩]도 와카를 모태로 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단시형(短詩型)은 와카의 전통 속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일본문학은 이러한 단시형의 토착적 문학을 생활 속에서 육성시켜 온 미의식이 그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가부키는 내용면에서 역사극인 지다이모노[時代物]와 서민을 주인공으로 해 당시의 세태를 묘사한 세와모노[世話物]로 나누어진다. 공연은 일반적으로 지다이모노 세와모노의 순서대로 진행되는데 중간에 귀신이나 게이샤[芸者], 색다른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무용극이 1~2개 삽입되며 연기자들이 총출연하는 활기찬 무용 오기리쇼사고토[大切所作事]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된다.
Ⅶ. 결 론
일본문학 가운데, 단가(短歌)라는 일정한 형식의 서정시로서 일본어의 특성읕 잘 표현하는 와카[和歌]가 일찍이 발달하였다. 와카는 본디 일본 고유의 구두(口頭)문예로 시작해, 일상생활 속에서 발달하였다. 또한 풍족한 자연조건하에서 생겨난 자연감정 미의식의 표현으로서 일본의 감성과 사유(思惟)의 표현양식으로 자리잡았다. 대표적 와카집 만요슈[萬葉集]의 만요와카는 고킨슈[古今集]을 비롯한 칙찬(勅撰) 와카집[和歌集]시대의 단가로 계승되었으며, 한시(漢詩)에 대한 야마토우타[倭歌]로 자각되어 천황신앙과 표리를 이루는 궁정문학으로서 이른바 미야비[優美] 문학의 전통을 형성했다. 또한 와카를 통하여, 10세기 이후 발달한 산문문학에 내면적 정취를 가져다주었다. 11세기 초에 완성된 장편소설 겐지[源氏]이야기도 다채로운 와카문학을 창작방법론으로 하고 있다. 칙찬 와카집은 무로마치[室町]시대까지 21집이 편찬되었고, 그 준비과정에서 우타아와세[歌合;좌우로 나뉘어 와카를 읊어 우열을 가리는 놀이]와 가카이[歌會;와카를 짓는 모임]가 성행하여 많은 작가가 나왔다. 시대가 바뀌면서 그 본질적 의미가 많이 바뀌었으나 이른바 자유풍영적(自由諷詠的)인 서정영탄(敍情詠嘆)의 형태는 계속 유지되었다. 메이지[明治]시대 이후 전통적 와카는 배척되었고 근세에 이르러 단가의 문학적 가치도 쇠퇴하였으나 31음(音)의 정형(定型)은 계속 이어져 왔다. 단가와 함께 전해져 내려온 하이쿠[俳句;5 7 5의 3句 17音으로 되는 短型詩]도 와카를 모태로 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단시형(短詩型)은 와카의 전통 속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일본문학은 이러한 단시형의 토착적 문학을 생활 속에서 육성시켜 온 미의식이 그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일본의 가부키
일본 문학속의 신화와 상상력
각 시대별 일본 문학 흐름
일본중세문학속의 무상
(일본문학) 쇼트쇼트 스토리 또는 원페이지 스타일의 소설-도둑회사를 중심으로
[가부키]일본전통고전연극 가부키의 역사, 발전, 양식과 일본전통고전연극 가부키의 분장, 무...
[일본전통가면극][노][교겐][광언][일본전통인형극][조루리][분라쿠][일본전통고전연극][가부...
[가부키]일본전통고전연극 가부키의 정의와 특색, 일본전통고전연극 가부키의 목적, 일본전통...
1Q84 독후감 - 무라카미 하루키, 일본문학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H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D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B
[A+] 일본 겐로쿠시대(元禄時代) 서민문화 - 스모, 가부키, 풍기문란, 유학의 부흥...
한국과 일본 전통 문화의 비교, 남사당패와 가부키 중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