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군을 거느리고 여전히 군대에 의존하는 동방적인 전제군주가 군림하는 경직된 사회였다. 로매제국은 내부로부터 무너지고 있었으며, 개혁의 결과도 얼마가지 못했다.
5. 동·서 로마의 분열
콘스탄티누스 이후 여러 황제가 즉위되고 테오도시우스(Theodosius; 379~395)까지 연결된다. 그는 무너져가고있는 로마제국의 유지에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사후 제국을 나누어 동로마를 장자 아르카디우스에게 서로마를 차남 호노리우스로 하여금 통치하게 하여 동서로마의 분리는 결정적 사실이 되었다. 서로마제국은 그리 오래가지 못하고 476년 게르만족의 침입에 의해 멸망하고 말았다. 동로마는 비잔틴 제국으로 계승되어 오랬동안 유지되었다.
6. 로마제국의 멸망
정치
경제
사회
① 양자지명제의 폐지
② 전제정 폐단(신분고정)
③ 군대의 질적 저하
④ 황제권의 미약(귀족, 평민, 속주민의 반발이 거세짐)
① 노예제 폐지로 노예에 의존하던 로마 경제의 쇠퇴
② 기술상의 정체
③ 콜로누스제의 성행 -> 중상계층의 몰락 -> 사회 혼란으로 까지 이어짐
① 노동천시사상으로 농·수공업이 쇠퇴
② 이베리아 반도의 과수재배 -> 식량위기가 옴
③ 전쟁으로 인한 국력 소모
④ 빈부차가 심화->사회혼란
⑤ 소비·향락·사치의 도시문화 -> 로마를 부패·타락시킴
Ⅶ. 로마의 문화
- 오리엔스 + 그리스 문화 + 헬레니즘 = 로마의 문화 : 로마의 문화는 아라비아와 이슬람으로 전파 -> 이 문화가 또다시 유럽으로 전파되었고, 이는 근세 유럽에까지 영향을 미침.
- 실제적, 실용적 문화(토목·건축·법률의 발달)
① 법률 : 관습법→시민법(12표법)→만민법 제국 내 모든 민족의 자유민에게 로마인과 같은 권리를 부여한 법.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으로 발달
- 자연법 현실적은 법을 초월한, 현실의 법을 가능하게 하는 보편적인 법의 기본원리를 상정,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그럼으로써 현실의 모든 법의 토대가 되는 정의와 형평의 원리에 입각한 법.
사상으로 발전
② 건축 : 로마의 정복지 주요 도시의 도로와 공공 건축물을 공사, 코린트식의 열주와 에트루리아의 원형 아치(arch)를 도입, 독자적인 것으로 돔(dome)형식의 지붕이 있다. - 콜로세움, 수도교, 도로, 공중 목욕탕, 판테온 신전.
③ 학문 : 라틴문학(키케로), 철학은 기존 그리스의 철학을 계승(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 학파)
④ 역사 : 리비우스의 ‘로마사’, 플루타르크의 ‘비교영웅전’
그리스 문화
헬레니즘 문화
로마문화
특징
인간 중심적, 합리적
폴리스 중심의 공동체적 성격
동+서, 세계시민주의(코스모폴리타니즘), 개인주의
실용적, 그리스 문화를 모방
내용
미술 : 조화와 균형미
역사 : 헤로도토스
문학 :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오딧세이’
철학 : 자연→인간→철학
문화 : 연극, 서사시의 발달
미술 : 관능미 →간다라 미술
철학 : 스토아와 에피쿠로스
자연과학이 특히 발달
법률, 건축이 특히 발달
법률 : 시민법→만민법→‘유스티니아누스 법전’→ 근대법
건축 : 콜로세움, 대욕장, 도로, 판테온-아치, 돔, 에트루리아의 영향
철학 : 스토아 철학 모방
영향
① 다음 세대로 이전의 문화를 연결해주는 교량역할
② 자신의 문화와 융합하여 세계문화를 창출 ex) 법률과 기독교문화
③ 기독교는 유럽 문명의 정신적 기초가 됨
④ 로마법, 권리, 법의 체계화를 이룸
Ⅷ. 크리스트교의 성립과 발전
1. 로마의 종교 : 자연 종교적 전통 유지, 황제 숭배,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숭배 동방의 종교(키벨레, 이시스, 미트라) 유입
2. 크리스트교의 성립 : 제정초기에 성립, 유대교의 배타성·율법주의를 배격, 배드로 바울 등이 로마제국에 전파시킴.
3. 로마제국의 박해 : 황제숭배를 거부, 비밀집회 의혹 등에 기인
4. 크리스트교 공인 : 밀라노 칙령, 313, 콘스탄티누스
5. 국교화 : 392년, 테오도시우스 황제 ->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
6. 의의 : 그리스-로마 문화와 함께 서양 문명의 근원을 이룸.
형 성 평 가
1. 도표는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 사회의 변화를 보여준다.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크리스트 교의 공인
② 로마 제국의 동·서 분열
③ 왕의 추방과 공화정의 수립
④ 12표법의 제정과 호민관의 설치
⑤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시도와 실패
2.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로마의 황제는 ?
<보기>
그는 로마의 제정시기 황제로 꺼져가는 불꽃이던 로마를 다시 일으키기 위해 각종 개혁을 실행한 황제였다. 유능한 군인이기도한 그는 동방의 전제군주에 대한 동경으로 로마를 동방화 하는 경향을 보인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황제체제인 4帝制를 실시하고, 자신은 동방의 로마를 맡았다.
① 아우구스투스 ② 콘스탄티누스 ③ 디오클레티아누스 ④ 카라칼라 ⑤ 네로
3. 다음 중 옳은 것은 ?
<제 1차 삼두정치>
<제 2차 삼두정치>
① (가)는 로마의 최초의 황제로 로마를 제정으로 이끌었다.
② (가) 악티움 해전에서 승리하면서 로마의 종신 독제관으로 올랐다.
③ (나)는 포에니 전쟁을 승리로 이끌면서 로마를 세계제국으로 만들었다.
④ (나)는 아우구스투스라고도 하며, 그 의미는 ‘존엄한 자’ 이다.
⑤ (가),(나)는 모두 원로원의 후원을 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았다.
4. 다음 빈칸에 들어가는 말을 써 넣으시오.
( 가 )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알프스를 넘어 북이탈리아로 로마를 침공해 들어간다. 초전의 로마는 패전을 거듭하고, 유명한 칸네(Cannae)의 대전에서는 큰 피해를 입고, 카르타고의 승리로 돌아간다. 로마의 명장 ( 나 )는 ( 가 )의 근거지인 이베리아 반도를 완전히 평정하고 카르타고의 본거지를 직접 공격하였다. 이탈리아에서 급히 귀국한 ( 가 )은 자마(Zama)의 결전에서 패함으로써 2차 포에니 전쟁은 막을 내리게 된다.
(가) - (나) -
5. 로마의 역사적 사실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제정의 수립 ㉡ 공화정의 수립 ㉢ 포에니 전쟁
㉣ 로물루스 ㉤ 네르바 ㉥동·서로마의 분리
① ㉠-㉡-㉢-㉣-㉤-㉥
② ㉣-㉡-㉢-㉠-㉤-㉥
③ ㉣-㉢-㉤-㉥-㉠-㉡
④ ㉥-㉤-㉣-㉢-㉡-㉠
⑤ ㉥-㉠-㉤-㉡-㉣-㉢
5. 동·서 로마의 분열
콘스탄티누스 이후 여러 황제가 즉위되고 테오도시우스(Theodosius; 379~395)까지 연결된다. 그는 무너져가고있는 로마제국의 유지에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사후 제국을 나누어 동로마를 장자 아르카디우스에게 서로마를 차남 호노리우스로 하여금 통치하게 하여 동서로마의 분리는 결정적 사실이 되었다. 서로마제국은 그리 오래가지 못하고 476년 게르만족의 침입에 의해 멸망하고 말았다. 동로마는 비잔틴 제국으로 계승되어 오랬동안 유지되었다.
6. 로마제국의 멸망
정치
경제
사회
① 양자지명제의 폐지
② 전제정 폐단(신분고정)
③ 군대의 질적 저하
④ 황제권의 미약(귀족, 평민, 속주민의 반발이 거세짐)
① 노예제 폐지로 노예에 의존하던 로마 경제의 쇠퇴
② 기술상의 정체
③ 콜로누스제의 성행 -> 중상계층의 몰락 -> 사회 혼란으로 까지 이어짐
① 노동천시사상으로 농·수공업이 쇠퇴
② 이베리아 반도의 과수재배 -> 식량위기가 옴
③ 전쟁으로 인한 국력 소모
④ 빈부차가 심화->사회혼란
⑤ 소비·향락·사치의 도시문화 -> 로마를 부패·타락시킴
Ⅶ. 로마의 문화
- 오리엔스 + 그리스 문화 + 헬레니즘 = 로마의 문화 : 로마의 문화는 아라비아와 이슬람으로 전파 -> 이 문화가 또다시 유럽으로 전파되었고, 이는 근세 유럽에까지 영향을 미침.
- 실제적, 실용적 문화(토목·건축·법률의 발달)
① 법률 : 관습법→시민법(12표법)→만민법 제국 내 모든 민족의 자유민에게 로마인과 같은 권리를 부여한 법.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으로 발달
- 자연법 현실적은 법을 초월한, 현실의 법을 가능하게 하는 보편적인 법의 기본원리를 상정,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그럼으로써 현실의 모든 법의 토대가 되는 정의와 형평의 원리에 입각한 법.
사상으로 발전
② 건축 : 로마의 정복지 주요 도시의 도로와 공공 건축물을 공사, 코린트식의 열주와 에트루리아의 원형 아치(arch)를 도입, 독자적인 것으로 돔(dome)형식의 지붕이 있다. - 콜로세움, 수도교, 도로, 공중 목욕탕, 판테온 신전.
③ 학문 : 라틴문학(키케로), 철학은 기존 그리스의 철학을 계승(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 학파)
④ 역사 : 리비우스의 ‘로마사’, 플루타르크의 ‘비교영웅전’
그리스 문화
헬레니즘 문화
로마문화
특징
인간 중심적, 합리적
폴리스 중심의 공동체적 성격
동+서, 세계시민주의(코스모폴리타니즘), 개인주의
실용적, 그리스 문화를 모방
내용
미술 : 조화와 균형미
역사 : 헤로도토스
문학 :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오딧세이’
철학 : 자연→인간→철학
문화 : 연극, 서사시의 발달
미술 : 관능미 →간다라 미술
철학 : 스토아와 에피쿠로스
자연과학이 특히 발달
법률, 건축이 특히 발달
법률 : 시민법→만민법→‘유스티니아누스 법전’→ 근대법
건축 : 콜로세움, 대욕장, 도로, 판테온-아치, 돔, 에트루리아의 영향
철학 : 스토아 철학 모방
영향
① 다음 세대로 이전의 문화를 연결해주는 교량역할
② 자신의 문화와 융합하여 세계문화를 창출 ex) 법률과 기독교문화
③ 기독교는 유럽 문명의 정신적 기초가 됨
④ 로마법, 권리, 법의 체계화를 이룸
Ⅷ. 크리스트교의 성립과 발전
1. 로마의 종교 : 자연 종교적 전통 유지, 황제 숭배,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숭배 동방의 종교(키벨레, 이시스, 미트라) 유입
2. 크리스트교의 성립 : 제정초기에 성립, 유대교의 배타성·율법주의를 배격, 배드로 바울 등이 로마제국에 전파시킴.
3. 로마제국의 박해 : 황제숭배를 거부, 비밀집회 의혹 등에 기인
4. 크리스트교 공인 : 밀라노 칙령, 313, 콘스탄티누스
5. 국교화 : 392년, 테오도시우스 황제 ->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
6. 의의 : 그리스-로마 문화와 함께 서양 문명의 근원을 이룸.
형 성 평 가
1. 도표는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 사회의 변화를 보여준다.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크리스트 교의 공인
② 로마 제국의 동·서 분열
③ 왕의 추방과 공화정의 수립
④ 12표법의 제정과 호민관의 설치
⑤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시도와 실패
2.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로마의 황제는 ?
<보기>
그는 로마의 제정시기 황제로 꺼져가는 불꽃이던 로마를 다시 일으키기 위해 각종 개혁을 실행한 황제였다. 유능한 군인이기도한 그는 동방의 전제군주에 대한 동경으로 로마를 동방화 하는 경향을 보인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황제체제인 4帝制를 실시하고, 자신은 동방의 로마를 맡았다.
① 아우구스투스 ② 콘스탄티누스 ③ 디오클레티아누스 ④ 카라칼라 ⑤ 네로
3. 다음 중 옳은 것은 ?
<제 1차 삼두정치>
<제 2차 삼두정치>
① (가)는 로마의 최초의 황제로 로마를 제정으로 이끌었다.
② (가) 악티움 해전에서 승리하면서 로마의 종신 독제관으로 올랐다.
③ (나)는 포에니 전쟁을 승리로 이끌면서 로마를 세계제국으로 만들었다.
④ (나)는 아우구스투스라고도 하며, 그 의미는 ‘존엄한 자’ 이다.
⑤ (가),(나)는 모두 원로원의 후원을 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았다.
4. 다음 빈칸에 들어가는 말을 써 넣으시오.
( 가 )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알프스를 넘어 북이탈리아로 로마를 침공해 들어간다. 초전의 로마는 패전을 거듭하고, 유명한 칸네(Cannae)의 대전에서는 큰 피해를 입고, 카르타고의 승리로 돌아간다. 로마의 명장 ( 나 )는 ( 가 )의 근거지인 이베리아 반도를 완전히 평정하고 카르타고의 본거지를 직접 공격하였다. 이탈리아에서 급히 귀국한 ( 가 )은 자마(Zama)의 결전에서 패함으로써 2차 포에니 전쟁은 막을 내리게 된다.
(가) - (나) -
5. 로마의 역사적 사실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제정의 수립 ㉡ 공화정의 수립 ㉢ 포에니 전쟁
㉣ 로물루스 ㉤ 네르바 ㉥동·서로마의 분리
① ㉠-㉡-㉢-㉣-㉤-㉥
② ㉣-㉡-㉢-㉠-㉤-㉥
③ ㉣-㉢-㉤-㉥-㉠-㉡
④ ㉥-㉤-㉣-㉢-㉡-㉠
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