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여해 EAS(ASEAN+한국, 일본, 중국, 호주, 쥬질랜드. 인도) 출범
- 동아시아 지역 협력의 최종 목표는 EAC라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있다.
6. 남아시아 자유무역협정
- 인도 파키스탄 네팔 부탄 스리랑카 몰디브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7개 국이 합의한 남아시아 자유무역협정 (SAFTA)이 2006년 1월1일 발효
- 세계 최대의 자유무역권이 탄생
- SAFTA의 핵심은 관세 인하를 통한 5500여 공산품 농산물의 무역자유화다.
7. 중남미경제협력체
현재 중남미지역의 대표적인 경제협력업체로는 남미공동시장(MERCOSUR), 중미공동시장 (CACM), 안데스공동시장(ANCOM)등을 들 수 있다.
1) 안데스공동시장(ANCOM)
- 안데안 협정(Andean Pact)혹은 안데안공동시장(ANCOM)은 1969년 칠례, 보리비아, 폐 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등 안데스산맥에 위치하고 있는 5개국이 참여한 자유무역협정 (Cartagena Agree - ment)
- 1973년에 베네수엘라가 추가로 가입
2) 남미공동시장(MERCOSUR)
- 남미공동시장은 중남미지역 경제기구 중 가장 활발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경제기구
3) 중미공동시장(CACM : Central American Common Market)
- 1961년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리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 등 중미 5개국이 공동시장을 목표로 창설
- CACM는 역내관세의 철폐와 역외공동관세 뿐만 아니라 재정정책의 통일, 역내공업정책의 통일 노동 교육 교통 농업정책의 조정 도모
8. 중동 아프리카
1)걸프협력회의(GCC)
- 아라비아 걸프지역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연합, 오만 의 6개국이 1981년 5월 아랍에미리트 연합(UAE)에서 개최된 정사회담에서 GCC현장에 서명함으로써 출범
- 경제 정보 사업 등 분야에서 협력하고 집단안보 보장 체제를 갖추기 위해 결성
2) 아랍마그레브연합(AMU)
- 아람마그레브연합은 알제리, 리비아, 모리타니아, 모로코, 튀지니 등 마그레브 5개국이 1989년 2월 결성한 아프리카의 지역경제협력기구
3)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 1975년 5월 나이지리아의 라고스에서 협정에 조인함으로써 설립된 서부아프리카의 대표 적인 경제협력기구
4) 중부아프리카 관세동맹(CACEU)
- 콩고, 가봉, 차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카메룬 등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5개국이 1964년 12월에 창설, 1966년 1월1일부터 공식출범
- 적도기니 가 추가로 가입함으로 현재 회원국은 6개국
5) 남부아프리카 경제공동체(SADC)
- 최초 앙골라, 탄자니아, 잠비아 등 남아프리카 9개국이 198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대 한 경제의존도를 축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남부아프리카 개발조정회의(SADCC)를 발족 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 1990년에 나미아 가 참여함으로 10개국으로 증가
- 1994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추가로 가입하면서 현재 SADC의 회원국은 11개국이다.
- 동아시아 지역 협력의 최종 목표는 EAC라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있다.
6. 남아시아 자유무역협정
- 인도 파키스탄 네팔 부탄 스리랑카 몰디브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7개 국이 합의한 남아시아 자유무역협정 (SAFTA)이 2006년 1월1일 발효
- 세계 최대의 자유무역권이 탄생
- SAFTA의 핵심은 관세 인하를 통한 5500여 공산품 농산물의 무역자유화다.
7. 중남미경제협력체
현재 중남미지역의 대표적인 경제협력업체로는 남미공동시장(MERCOSUR), 중미공동시장 (CACM), 안데스공동시장(ANCOM)등을 들 수 있다.
1) 안데스공동시장(ANCOM)
- 안데안 협정(Andean Pact)혹은 안데안공동시장(ANCOM)은 1969년 칠례, 보리비아, 폐 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등 안데스산맥에 위치하고 있는 5개국이 참여한 자유무역협정 (Cartagena Agree - ment)
- 1973년에 베네수엘라가 추가로 가입
2) 남미공동시장(MERCOSUR)
- 남미공동시장은 중남미지역 경제기구 중 가장 활발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경제기구
3) 중미공동시장(CACM : Central American Common Market)
- 1961년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리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 등 중미 5개국이 공동시장을 목표로 창설
- CACM는 역내관세의 철폐와 역외공동관세 뿐만 아니라 재정정책의 통일, 역내공업정책의 통일 노동 교육 교통 농업정책의 조정 도모
8. 중동 아프리카
1)걸프협력회의(GCC)
- 아라비아 걸프지역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연합, 오만 의 6개국이 1981년 5월 아랍에미리트 연합(UAE)에서 개최된 정사회담에서 GCC현장에 서명함으로써 출범
- 경제 정보 사업 등 분야에서 협력하고 집단안보 보장 체제를 갖추기 위해 결성
2) 아랍마그레브연합(AMU)
- 아람마그레브연합은 알제리, 리비아, 모리타니아, 모로코, 튀지니 등 마그레브 5개국이 1989년 2월 결성한 아프리카의 지역경제협력기구
3)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 1975년 5월 나이지리아의 라고스에서 협정에 조인함으로써 설립된 서부아프리카의 대표 적인 경제협력기구
4) 중부아프리카 관세동맹(CACEU)
- 콩고, 가봉, 차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카메룬 등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5개국이 1964년 12월에 창설, 1966년 1월1일부터 공식출범
- 적도기니 가 추가로 가입함으로 현재 회원국은 6개국
5) 남부아프리카 경제공동체(SADC)
- 최초 앙골라, 탄자니아, 잠비아 등 남아프리카 9개국이 198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대 한 경제의존도를 축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남부아프리카 개발조정회의(SADCC)를 발족 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 1990년에 나미아 가 참여함으로 10개국으로 증가
- 1994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추가로 가입하면서 현재 SADC의 회원국은 11개국이다.
추천자료
신자유주의 경제질서와 한국의 경제
10년 후 세계를 읽고나서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제(APEC)
DDA에 대하여
한/일의 문화관광산업의 발전방향 모색
[경제]한미FTA로 인한 국내금융산업별 영향 및 대응방안
[APEC][아펙][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아펙,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의 개념, 특징, 주...
한국과 칠레의 FTA의 5년간 성과와 거시적 대응전략
지역경제통합의 단계별 특징을 요약하고 경제통합으로 인하여 관세가 철폐되었을 경우의 경제...
미국의 통상정책과 대책방안
대외무역법 - 미국
지역경제통합의 단계별 특징을 요약하고 경제통합으로 인하여 관세가 철폐되었을 경우의 경제...
[지역주의의 확산과 대응] 지역무역협정의 확산배경, 최근 지역주의의 특징, WTO의 지역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