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복제]인간복제에 관한 주요사건과 인간복제 문제점 및 인간복제에 관한 향후 과제 및 나의 생각(인간복제 주요사건, 인간복제에 관한 법률, 인간복제 문제점, 인간복제 윤리문제, 인간복제에 관한 생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복제]인간복제에 관한 주요사건과 인간복제 문제점 및 인간복제에 관한 향후 과제 및 나의 생각(인간복제 주요사건, 인간복제에 관한 법률, 인간복제 문제점, 인간복제 윤리문제, 인간복제에 관한 생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인간복제란 무엇인가

Ⅲ. 인간복제 주요사건

Ⅳ. 인간과 그 장기의 복제

Ⅴ. 인간복제에 관한 법률

Ⅵ. 인간복제의 문제점
1. 헌법적인 문제
2. 가족법상의 문제

Ⅶ. 인간복제의 윤리문제

Ⅷ.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향후 과제

Ⅸ. 인간복제에 관한 생각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종교적인 윤리문제에 대한 입장이 강경한 것은 아닙니다..
인간이 힘들 때를 위한 자기복제는 예금을 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저축과 같은 그런 의미는 아니지만 장기 복제같은 것들은 내가 아플 때에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 봅니다. 인간 자체를 복제하여 그곳에서 빼내어 쓴다면 생명존중이라는 것에 위배된다고 생각하지만 장기중 어느 일부분만 내가 필요하여 복제한다면 그것은 생명의 훼손이라기보다는 생명의 연장이라는 측면에서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복제양 돌리가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을 때 가장 크게 문제를 일고 일어난 곳이 종교측이지만 난 그때도 역시 이건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걸 더욱 발전시켜서 인간 생활에 공헌도를 높일거라는 생각은 왜 안한것일까?
종교적 입장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건 우물안의 개구리식의 발상인 것 같다.
지금 과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평균 수명의 연장이 얼마나 크게 다가왔는가 만 봐도 알수있을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것이 우물안 개구리식 발상일지 모르지만 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모든걸 받아들이는 입장이 한번 쯤은 되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정리해본다면
첫째. 인간의 존엄성 문제에서 본다면 인간복제는 그리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하지만 인간복제에 따른 이점은 생각할만하다.
둘째. 그 이점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장기만의 복제를 들 수 있다.
장기만 복제한다면 생명을 죽이는 그런 현상은 아니라고 본다.
셋째. 인간복제를 생각하는 사람들의 입장문제이다.
모든걸 부정적으로 보기 시작하면 부정적이 되듯이 한번쯤은 그것에 맘을 열고 다가가 려는 입장을 보이는 것이 중요 할 듯하다
이상 인간복제에 관한 저의 짧은 생각이었습니다..
Ⅹ. 결론
여러 가지 윤리학적 논점으로 가지고도, 곧 실현 가능성을 가진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를 인간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험의 결과로 야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철저하게 분석하여서 인류 멸종의 우려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준비가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특히 인간복제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평가는 다양하다. 긍정적 평가로서 불임부부에게 자녀출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과, 장기이식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불의의 사고나 혹은 불치의 병으로부터 완치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에 초래될 인간 존엄성 의 상실과 사회윤리의 붕괴, 더욱 개체인간이 선천적 독자성을 파괴 할 수 있다는 위험, 즉 인간이 목적 그 자체가 아닌 도구로 이용 될 수 있다는 부정적 평가까지 살펴볼 수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결국 이러한 두 가지 평가를 두 가지 윤리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해하고 인간복제 연구의 윤리적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즉 의무론적 윤리가 인간의 존엄성을 발견하고 이를 존중하는데 기여하고, 결과론적 윤리가 산술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가치들 중에서 인류사회에 더 큰 복지를 불러올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는 길을 열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인간의 존엄성 존중의 대전제를 바탕으로 한 윤리성 확립과 이에 따른 사회적 통제기능이 필요하다. 이렇게 생명윤리학적 관점에서 복제연구의 나가야 할 윤리적 지평을 논의하는 과정을 통해서, 여러 가지 물음들에 비로소 어느 정도 규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몇 가지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하나는 의무론적 윤리관에서 인간복제 반대논거만을 다루고 있고, 결과론적 윤리관에서 찬성논거만을 다루었다는 점이다. 특히, 결과론적 윤리관에서 오히려 반대하는 논거로서, 실험결과의 부정적 측면으로서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는 우생학적 새로운 인류탄생 문제, 그것에 따른 새로운 인간계급출현 문제가 있다. 더욱, 자본주의 논리에 따라서 인간복제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길도 결국에는 ‘가진 자’에게만 주어진 특혜가 되어 더욱더 심한 빈부의 차를 일으킬 수 있다는 부분까지 다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윤리적 관점에서 논의를 통해서 새로운 윤리적 규범을 정립하고 이에 따른 연구의 응용범위 제한과 실질적인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벌써 연구를 시작했다는 선진국들의 직접적인 예가 부족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해서 우리나라에서의 .연구결과를 전망하면서, 좀더 구체적으로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제도를 몇 가지라도 제시해 주었다면 이 논문의 현실적 접근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강종백 외 역, 1998, \'유전자 크로닝 입문\', 월드사이언스
2. 그래고리 E. 펜스, 이용혜 옮김,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하는가?(Who\'s Afraid of Human Cloning?) , ㈜양문
3. 김진수, 2005, 생명 공학 시대의 인간복제와 생명 윤리, pp28~29
4. 라엘, 정윤표 역, 2001, 『YES! 인간복제』, 서울 메신져
5. 안티노리 교수와의 대담, 인간복제를 시도하는 의사
6. 제임스 왓슨, 스티브제이굴드, \'인간복제 무엇이 문제인가\' , 울력
7. 이종원. 2004, 책임적 생명 윤리의 관점에서 본 인간복제, pp1~5
8. 임종식, 「인간복제 허용할 것인가」.
9. http://www.ksdn.or.kr/resource/eco/eco08/e080033.html
10. Kass, L. R.(1985), Toward a More Natural Science, New York: The Free Press.
______(1997), \'The Wisdom of Repugnanc..
11. Feinberg, J.(1980), \'The Child\'s Right to an Open Future,\' in W. Aiken and H.
12. LaFollette (ed.), Whose Child? Children\'s Rights, Parental Authority, and State
13. Power, Totowa, NJ: Rowman and Littlefield.
14. http://www.cityand.com/~gene/genomp.html
15. http://www.clonaid.co.kr
16. 국회 www.assembly.go.kr,
17. 보건복지부 www.most.go.kr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3.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