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 병리학-발육이상 치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크기의 이상
1. 왜소치 (Microdontia)
2. 거대치 (Macrodontia)

Ⅱ. 형태의 이상
1. 쌍생치 (Germination)
2. 융합치 (Fusion)
3. 유착치 (Concrescence)
4. 치내치 ( Dens in dente)
5. 치외치 ( Dens evaginatus)
6. 탈론 교두 (Talon cusp)
7. 장수치 (Taurodontism)
8. 만곡치 (Dilaceration)
9. 백악질 증식((Hypercementosis)

Ⅲ. 수의이상
1. 무치증 (Anodontia)
2. 과잉치 (Supernumerary teeth)

Ⅳ. 구조의 이상
1. 법랑질의 구조 이상
(1) 법랑질형성부전증 (Amelogenesis imperfecta)
(2) 법랑질 저형성증 (enamel hypoplasia)
2. 상아질 구조이상
(1) 상아질 형성부전증 (Dentinogenesis imperfecta)

Ⅴ. 맹출의 이상
1. 조기맹출 (Premature eruption)
2. 맹출지연(Delayed eruption)
3. 매복치 (Impacted teeth)

Ⅵ. 위치의 이상
1. 전위(Displacement)
2. 염전(Torsiversion)
3. 경사(Axiversion)
4. 고위 (Supraversion), 저위 (Infraversion)
5. 이전 (Transversion 또는 transposition)
6. 역생치 (Inversed teeth)
7. 정중이개 (Median diastema)
8. 총생 (Crowding)

Ⅶ. 교합의 이상
1. 상악전돌 (Maxillary Protrusion)
2. 하악전돌 (Mandibular protrusion)
3. 상악후퇴 (Maxillary retrusion)
4. 양악전돌 (Bimaxillary protrusion)
5. 절단교합 (Edge to edge occlusion)
6. 개교 (Open bite)
7. 과개교합 (Deep overbite)
8.교차교합 (Posterior crossbite)

본문내용

구치에서보다 유치에서 많고 법랑질 형성부전보다 많이 본다.
골형성부전을 동반한 상아질형성부전을 가진 18가계의 임상적 관찰에서 유전성요인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유전성은 중배엽성 결손이지만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되므로 상호간의 전환이 뚜렷하지는 않다.
상아질형성부전증은 우성유전하고 남녀에서 같은 빈도로 나타나며, 유치, 영구치 모두에서 볼 수 있고 법랑질형성부전증 보다는 더 빈번히 나타난다.
Ⅴ. 맹출의 이상
1. 조기맹출 (Premature eruption)
유치의 맹출시기는 생후 6~8개월에 하악 유중철치부터 맹출 되나 이보다 먼저 대개 하악절치 부위에 태어날 때부터 맹출 된 치아의 구조물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선천치라 하고, 출생후 1개월 이내에 맹출 되는 것은 신생치라 한다. 이들은 각화 상피성 구조물로서 법랑질은 저석회화되고, 치근이 없으며 치은의 융기부에서 발생되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반면에 조기 맹출 된 유치는 쉽게 제거되지 않아 선천치나 신생치와는 구별되어야 하며, 또한 내분비장애로 인한 조기 맹출의 경우와도 감별하여야한다. 조기맹출 치아는 유치 치배에서 앞서 생긴 치제의 부가적 치배 또는 부가적 치제로부터 발생된다고 생각 되고 있다. 조기맹출 치아는 신생아의 치제낭종일 뿐이라고 했으며, 이 낭종은 보통 치은융기부에 돌출되어 나타나고 백색을 띠며 각질로 채워져 있어 각화된 상태로 보이고, 쉽게 제거될 수 있다고 하였다.
2. 맹출지연(Delayed eruption)
치아 맹출이 지연되는 경우가 잇는데 대개 전신질환이 있을 때 특히 구루병, 갑상선기능저하, 두개골 이형성증이 있을 때 지연되며 때로는 치은의 섬유증직이 있을 때나 장애물이 있을 때 치아별로 맹출이 지연될 때가 있다.
3. 매복치 (Impacted teeth)
치아별로 또는 부분적으로 치아가 매복 되는 경우가 있다. 치아별인 경우는 유치의 조기상실로 맹출 간격이 좁아 맹출 장애가 있는 경우가 많다. 매복치의 호발부위는 하악 제 3대구치, 상악 제 3대구치, 상악 견치, 소구치의 순으로 빈발한다.
유치 탈락 후 매우 드물게 영구치의 맹출이 안되는 가성무치증의 경우도 있어 X-선상에서 악골내에 많은 미 맹출 매복치를 볼 수 있다. 이 경우는 맹출력이 결여되었기 때문인데 내분비장애나 두개골 이형성증 때 볼 수 있다.
Ⅵ. 위치의 이상
1. 전위(Displacement)
(1) 근심 전위(Mesioversion) :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로부터 정중선에 가까운 것
(2) 원심 전위(Distoversion) :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보다 정중선에서 먼 것
(3) 순측 전위(Labioversion) ;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보다 순측(외측)에 있는 것
(4) 협측 전위(Buccoversion) :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보다 협측(외측)에 있는 것
(5) 설측 전위(Linguoversion) :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보다 설측에 있는 것
2. 염전(Torsiversion)
치아가 그 장축에 대하여 회전하고 있는 것
3. 경사(Axiversion)
치아가 정상의 치축보다 더 심하게 경사되든가 이상한 방향을 경사하는 것
4. 고위 (Supraversion) ; 교합선을 넘어 맹출 된 위치에 있는 것
저위 (Infraversion) ; 교합선에 도달하지 못한 위치에 있는 것
5. 이전 (Transversion 또는 transposition)
치열궁내에 인접하는 치아가 그 위치의 순서를 교환하고 있는 것
6. 역생치 (Inversed teeth)
치아가 본래의 방향과는 반대로 향해있는 경우이며 앞니나 송곳니가 비강이나 상악동 속으로 나는 것이다.
7. 정중이개 (Median diastema)
앞니가 벌어진 경우를 말하며 그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소, 측절치가 없는 경우, 중절치 사이에 치아가 있는 경우, 치아 위치에 변형이 온 경우, 치아 크기와 악골의 크기가 부조화를 이루는 경우, 입술 밴드(labial frenulum)가 치아 가까이 깊게 발달해 있는 경우, 습관에 의한 경우(입술을 깨물거나 손가락을 빠는 습관, 혀로 미는 습관 등), 치주염으로 인해 치아가 이동한 경우에 발생한다.
8. 총생 (Crowding)
일반적으로 전치부의 치아가 순측, 설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전위하고 이접 치아와의 접촉관계에 부조화가 일어나 상태를 말한다.
Ⅶ. 교합의 이상
1. 상악전돌 (Maxillary Protrusion)
상악골이 정상 위치보다 앞으로 튀어나온 상태를 말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악이 후퇴하여 상악 전돌이 된 것도 포함한다.
2. 하악전돌 (Mandibular protrusion)
하악골이 정상 위치보다 앞으로 튀어나온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상·하악 전치의 교합관계가 반대로 된 경우이다.
3. 상악후퇴 (Maxillary retrusion)
상악골이 정상보다 후퇴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대개 하악 전돌을 동반하여 나타난다.
4. 양악전돌 (Bimaxillary protrusion)
상·하악골의 전돌 내지는 상하의 전치가 순측 경사하고 있는 것과 같은 교합상태를 말한다.
5. 절단교합 (Edge to edge occlusion)
중심교합 위치에서 상하 전치가 절단연에서 접촉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절단면의 마모가 진행되기 쉽다.
6. 개교 (Open bite)
중심교합 위치에 있어서 상하악치 사이에 간격이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총칭으로서 전치부에만 국한되는 것, 견치 및 소구치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 또는 대구치에 국한되어 있는 것 등이 있다.
7. 과개교합 (Deep overbite)
상하 치열의 수직적 교합관계의 이상 중 하나로서 전치부의 수직 피개가 정상인 경우보다 큰 것에 대한 총칭이다. 하악 전돌에서도 볼 수 있다.
8.교차교합 (Posterior crossbite)
교차교합이란 상·하악 치열의 수평적 교합관계의 이상 중 하나이며, 전치군·견치 및 구치의 피개가 정상의 경우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총칭하는 것이다. 상하 정중선의 불일치, 구치부에서는 근·원심적으로 교합관계의 이상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견치 및 소구치만의 경우를 교차교합이라고 할 때도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3.2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