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목록의 역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에서 목록의 정의
1. 목록의 어의(語意)
2. 목록의 성격
3. 용어설명

Ⅲ. 한국의 목록의 발달사
1. 고려시대
1) 대장목록(大藏目錄)
2)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目錄)
3) 대장경 목록(판각목록)

2. 조선(전기)
1) 고사촬요책판목록(考事撮要冊板目錄)
2) 고책판소재고(古冊板所在考)

3. 조선(후기)
1)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2) 고책판소재고(판각목록)
3) 완영책판목록(판각목록)
4) 규장총목(奎章總目)(장서목록 - 관장목록)
5) 규장각서목(장서목록 - 관장목록)
6) 교남책록(장서목록 - 사장목록)
7) 누판고(판각목록)
8) 해동역사 예문지(문헌서목)
9) 홍재전서 군서표기(관찬서목 - 관장목록)
10) 기타

4. 조선(개화기)
1) 증보문헌비고예문고(增補文獻備考藝文考)
2) 한국서지(문헌서목)
3) 한적목록고본(장서목록 - 가장목록)
4)『고선책보』·『선책명제』
5) 제실도서목록(장서목록 - 관장목록)
6) 영남각읍교원서책록(嶺南各邑校院冊錄)(장서목록 - 사장목록)

5. 근대 이후(1910년 이후)
1) 조선고서목록(주제서목)
2) 조선서적목록
3) 조선도서해제
4) 조선총독부고서목록보유

6. 근대 이후(1923년 이후)
1) 고선책보(문헌서목)
2) 조선의 서지
3) 청분실서목

7. 근대 이후(1954년 이후)
1) 조선동서편목규칙
2) 한은도서편목법
3) 동서편목규정
4) 한국목록규칙(KCR)
5) 한국고서종합목록 (韓國古書綜合目錄)

8. 근대 이후(1980년 이후)
1) KCR3
2) KCR3.1

Ⅳ. 나오는 말

본문내용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3.27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