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영지주의의 기본적 개념
-영지주의의 성격
-영지주의의 대표적 특징
-영지주의의 사상체계
-영지주의가 초대 기독교에 미친 영향
3.결론
2.본론
-영지주의의 기본적 개념
-영지주의의 성격
-영지주의의 대표적 특징
-영지주의의 사상체계
-영지주의가 초대 기독교에 미친 영향
3.결론
본문내용
수에게서 분리시켰으며, 또한 영지주의는 예수와는 다른 사람이 처녀 마리아에게서 나서 사람들의 구주로 보냄을 받았다고 가르쳤던 것이다. 이 견해들로 예수의 완전한 인성을 부인하여 기독교의 역사성을 약화시켰던 것이다. 그들은 이러한 원리에서 그들은 인간의 부활과 심판을 부인했으며, 신비의식이 성하였던 것이다. 또한 그들의 창조주 하나님을 배격하고 반유대주의로 나가던 저들의 사상은 기독교에 들어와서도 구약성서를 완전히 부인하였으며, 혹은 영지주의 체계를 위해서 성서를 우의적으로 해석 하였는데 대부분의 영지주의자들은 일체의 역사적 문학적 요소를 배제해 버리고 심리적인 경험으로 재해석하는 오류를 범하였던 것이다.
영지주의는 유대적 요소, 헬라적 요소, 이런 여러 근원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들을 모조리 이용해서 기독교적 요소를 가미하여 하나의 우주적인 종교가 되게 하려는 일련의 시도를 하였으며, 기독교를 당시의 종교 풍토에 적응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영지주의는 유대교에 깊이 뿌리박고 있으면서 나중에는 유대교적 요소와 기독교적 교리 그리고 이교 사상의 신비주의적인 것들을 혼합시킨 것으로 영지주의는 이 혼합을 시도하기 위해서 생략과 해석에 의해 적응을 시도하려다 복음을 왜곡시켰던 것이다.
Ⅲ. 결 론
본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라은성’교수의 『정통과 이단』이라는 책의 첫 페이지에 나온 이단에 대한 견해를 읽으면서 참 많은 생각을 하였다.
이단은 연못에 비쳐진 얼굴의 모양과 같습니다. 바람에 따라 얼굴 모습이 달라 보입니다.
본래의 모습은 연못에 비쳐진 모습과는 다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보다 분명한 자신의 본
래의 모습을 알려고 할 것입니다.라은성, 『정통과 이단』上, 16.
정통은 이단을 통해 자신의 정통성을 견고하게 한다. 예수의 인간성을 부인했던 영지주의나 신성을 부인했던 아리우스주의가 없었다면, 예수가 신이자 동시에 인간이라는 삼위일체 교리도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자신을 방어하려는 초대교회의 움직임들이 지금의 기독교 교리를 형성하는데 얼마나 큰일을 감당하였는지는 그 때 당시에는 몰랐을 것이다.
영지주의가 비밀전승을 주장하고, 자신들만의 무수한 복음서를 집필하고, 그럴듯한 교리로 순진한 신자들을 혼란케 했음은 분명하다. 기독교 신앙의 근본을 뿌리 채 흔들어 놓을 만큼 충격적인 교리들을 여러 차례 주장했고, 때로 어떤 영지주의자들은 신앙의 상징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도신조를 고백하지 않을 만큼 독선적이고, 제멋대로였다. 하지만 이 혼란 뒤에는 사도전승의 재확립과 신약성서 정경 작업의 착수, 사도신경의 확정이라고 하는 발전적인 교회의 반응이 뒤따랐다. 교회의 제도는 더욱 조직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고, 부활에 대한 영지주의자들의 주장으로 인해 다소 약화될 수 있었던 교회의 권위는 더욱 분명하게 다져질 수 있었다.
초대 교회사를 다룬 서적들을 중심으로 레포트를 준비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사상이 신약성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아보기 어려웠다. 앞으로의 수업을 통해 과연 신약성서에 나타난 영지주의의 영향력들에 대해 배워가기를 소망한다.
< 참 고 문 헌 >
Berkhof, Louis, 『기독교교리사』, 신복윤역, 서울 : 성광문화사, 1998,
Brown,. Harold O. J., 『교회사 안에 나타난 이단&정통』, 라은성역, 서울 : 도서출판 그리심, 2001.
Bultmann, Rudolf, 『기독교 초대교회 형성사』, 허역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3.
김영재, 『기독교교회사』, 수원 :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5.
김의환, 『기독교회사』, 서울 : 성광문화사, 1985,
라은성, 『정통과 이단』上, 서울 : 도서출판 그리심, 2006.
영지주의는 유대적 요소, 헬라적 요소, 이런 여러 근원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들을 모조리 이용해서 기독교적 요소를 가미하여 하나의 우주적인 종교가 되게 하려는 일련의 시도를 하였으며, 기독교를 당시의 종교 풍토에 적응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영지주의는 유대교에 깊이 뿌리박고 있으면서 나중에는 유대교적 요소와 기독교적 교리 그리고 이교 사상의 신비주의적인 것들을 혼합시킨 것으로 영지주의는 이 혼합을 시도하기 위해서 생략과 해석에 의해 적응을 시도하려다 복음을 왜곡시켰던 것이다.
Ⅲ. 결 론
본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라은성’교수의 『정통과 이단』이라는 책의 첫 페이지에 나온 이단에 대한 견해를 읽으면서 참 많은 생각을 하였다.
이단은 연못에 비쳐진 얼굴의 모양과 같습니다. 바람에 따라 얼굴 모습이 달라 보입니다.
본래의 모습은 연못에 비쳐진 모습과는 다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보다 분명한 자신의 본
래의 모습을 알려고 할 것입니다.라은성, 『정통과 이단』上, 16.
정통은 이단을 통해 자신의 정통성을 견고하게 한다. 예수의 인간성을 부인했던 영지주의나 신성을 부인했던 아리우스주의가 없었다면, 예수가 신이자 동시에 인간이라는 삼위일체 교리도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자신을 방어하려는 초대교회의 움직임들이 지금의 기독교 교리를 형성하는데 얼마나 큰일을 감당하였는지는 그 때 당시에는 몰랐을 것이다.
영지주의가 비밀전승을 주장하고, 자신들만의 무수한 복음서를 집필하고, 그럴듯한 교리로 순진한 신자들을 혼란케 했음은 분명하다. 기독교 신앙의 근본을 뿌리 채 흔들어 놓을 만큼 충격적인 교리들을 여러 차례 주장했고, 때로 어떤 영지주의자들은 신앙의 상징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도신조를 고백하지 않을 만큼 독선적이고, 제멋대로였다. 하지만 이 혼란 뒤에는 사도전승의 재확립과 신약성서 정경 작업의 착수, 사도신경의 확정이라고 하는 발전적인 교회의 반응이 뒤따랐다. 교회의 제도는 더욱 조직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고, 부활에 대한 영지주의자들의 주장으로 인해 다소 약화될 수 있었던 교회의 권위는 더욱 분명하게 다져질 수 있었다.
초대 교회사를 다룬 서적들을 중심으로 레포트를 준비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사상이 신약성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아보기 어려웠다. 앞으로의 수업을 통해 과연 신약성서에 나타난 영지주의의 영향력들에 대해 배워가기를 소망한다.
< 참 고 문 헌 >
Berkhof, Louis, 『기독교교리사』, 신복윤역, 서울 : 성광문화사, 1998,
Brown,. Harold O. J., 『교회사 안에 나타난 이단&정통』, 라은성역, 서울 : 도서출판 그리심, 2001.
Bultmann, Rudolf, 『기독교 초대교회 형성사』, 허역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3.
김영재, 『기독교교회사』, 수원 :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5.
김의환, 『기독교회사』, 서울 : 성광문화사, 1985,
라은성, 『정통과 이단』上, 서울 : 도서출판 그리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