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삼위일체 안에서의 그릇된 성령 인식
(1) 양태론적 성령이해
(2) 종송론적 성령이해
> 에드워즈의 답변
2. 개인 속에서 성령의 사역에 대한 오해
(1) 샤머니즘에 영향을 받은 기독교 신비주의
(2) 신사도운동
(3) 성령의내주
(4) 회개는 필요없다
(5) 완전성화가 가능하다
> 에드워즈의 답변
(1) 양태론적 성령이해
(2) 종송론적 성령이해
> 에드워즈의 답변
2. 개인 속에서 성령의 사역에 대한 오해
(1) 샤머니즘에 영향을 받은 기독교 신비주의
(2) 신사도운동
(3) 성령의내주
(4) 회개는 필요없다
(5) 완전성화가 가능하다
> 에드워즈의 답변
본문내용
서 거대한 투쟁과 진지함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상응,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령론」 (서울: 부흥과개혁사, 2009), p.308-313.
성화의 완성인 영화는 성도가 개인적으로 죽어서 이 세상을 떠나 하늘에 가게 되거나, 주님의 재림의 날에 이루어질 몸의 부활에 참여함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곧 성도가 이 땅에 사는 동안에 끊임없이 죄 죽이기와 성령의 은혜로 소생함을 입는 전력투구하는 삶을 산다 할지라도 언제나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뜻한다. 이상응,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령론」 (서울: 부흥과개혁사, 2009), p.313-318
이는 대속 후 죄가 없기에 회개가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 그릇된 구원파의 이해와, 이 땅에서의 완전 성화가 가능하다는 그릇된 안식교의 이해를 교정해준다.
성화의 완성인 영화는 성도가 개인적으로 죽어서 이 세상을 떠나 하늘에 가게 되거나, 주님의 재림의 날에 이루어질 몸의 부활에 참여함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곧 성도가 이 땅에 사는 동안에 끊임없이 죄 죽이기와 성령의 은혜로 소생함을 입는 전력투구하는 삶을 산다 할지라도 언제나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뜻한다. 이상응,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령론」 (서울: 부흥과개혁사, 2009), p.313-318
이는 대속 후 죄가 없기에 회개가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 그릇된 구원파의 이해와, 이 땅에서의 완전 성화가 가능하다는 그릇된 안식교의 이해를 교정해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