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위정척사운동
2. 개화사상
3. 동학사상
1) 민권사상
2) 국가론
3) 민족주의
4. 세가지 사상의 관계
5. 민주주의
6. 민주주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
Ⅲ. 결론 및 제언
부록.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위정척사운동
2. 개화사상
3. 동학사상
1) 민권사상
2) 국가론
3) 민족주의
4. 세가지 사상의 관계
5. 민주주의
6. 민주주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
Ⅲ. 결론 및 제언
부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었다. 고려사의 비극 역시, 무관에 대한 멸시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점을 상기하자.
따라서, 군부는 지난날의 유산에 대해 겸손과 양해를 가져야 하며, 시민은 화해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민간 정부는 그들 나름대로 정치적 성숙을 위한 아픈 자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및 제언
이상으로 한국 민족주의의 기원과 그 역사적 전개 과정 속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민족주의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민족주의를 통하여 한국은 새롭게 근대국가를 형성하고 자유, 평등을 외치는 민주주의를 받아들였다. 한국은 자유와 평등이 공평하게 실현되는 국가가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도 민족주의의 울타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실로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한국의 민주주의는 그리 멀리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지금 수많은 학자와 정치인들, 그리고 많은 학생들이 한국의 민주주의를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목숨보다 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죽어간 피도 있기 때문이다.
세계화 현상과 맞물려 문화적 다양성을 보존하면서도 열린 민족주의로 나아가야 하는 일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 민족주의의 특징을 바로 알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올바로 제시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가 계속될 수 있어야겠다.
<참고문헌>
E,J 홉스 욤저, 강명세역, 『178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창작과 비평사. 1997.
차석기, 『한국 민족주의 교육의 생성과 과제』, 대학사, 1999.
김세균, 『자유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사회평론 6월. p110-123
참여 사회 연구소, 『참여 민주주의와 한국사회』, 창작과 비평사, 1997.
김동성, 『한국민족주의 연구』, 오름, 1995.
김용욱, 『민족주의민주주의』, 박영사, 1979.
김운태 외, 『한국정치론』, 박영사, 1976.
진덕규, 『글로벌리제이션, 그리고 선택』, 학문과 지성사, 1999.
한점수, 『민족주의민족이념: 한국민족주의의 이데올로기』, 법문사, 1983.
황선희, 『한국 근대사상과 민족운동』, 혜안, 1996.
인터넷 자료
http://dugok.x-y.net/kor-his/bonmun/h722dong.htm
http://www.songgok-gii.hs.kr/nuguri/study/2-9.htm
http://www.mizii.com/jesusi/inlight/religion/korean/donghak/g
따라서, 군부는 지난날의 유산에 대해 겸손과 양해를 가져야 하며, 시민은 화해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민간 정부는 그들 나름대로 정치적 성숙을 위한 아픈 자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및 제언
이상으로 한국 민족주의의 기원과 그 역사적 전개 과정 속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민족주의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민족주의를 통하여 한국은 새롭게 근대국가를 형성하고 자유, 평등을 외치는 민주주의를 받아들였다. 한국은 자유와 평등이 공평하게 실현되는 국가가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도 민족주의의 울타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실로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한국의 민주주의는 그리 멀리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지금 수많은 학자와 정치인들, 그리고 많은 학생들이 한국의 민주주의를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목숨보다 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죽어간 피도 있기 때문이다.
세계화 현상과 맞물려 문화적 다양성을 보존하면서도 열린 민족주의로 나아가야 하는 일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 민족주의의 특징을 바로 알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올바로 제시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가 계속될 수 있어야겠다.
<참고문헌>
E,J 홉스 욤저, 강명세역, 『178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창작과 비평사. 1997.
차석기, 『한국 민족주의 교육의 생성과 과제』, 대학사, 1999.
김세균, 『자유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사회평론 6월. p110-123
참여 사회 연구소, 『참여 민주주의와 한국사회』, 창작과 비평사, 1997.
김동성, 『한국민족주의 연구』, 오름, 1995.
김용욱, 『민족주의민주주의』, 박영사, 1979.
김운태 외, 『한국정치론』, 박영사, 1976.
진덕규, 『글로벌리제이션, 그리고 선택』, 학문과 지성사, 1999.
한점수, 『민족주의민족이념: 한국민족주의의 이데올로기』, 법문사, 1983.
황선희, 『한국 근대사상과 민족운동』, 혜안, 1996.
인터넷 자료
http://dugok.x-y.net/kor-his/bonmun/h722dong.htm
http://www.songgok-gii.hs.kr/nuguri/study/2-9.htm
http://www.mizii.com/jesusi/inlight/religion/korean/donghak/g
추천자료
루소의 생애와 사성적 동향
A+ 보수주의
항존주의란 무엇인가?
한류를 통한 문화산업의 경제적효과 연구고찰
정치경제학의 11인조사(생애, 업적, 저서 등등11인은 목차참고)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전체주의
북한의 선군정치와 대남전략
갈등이론이 사회변동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한국 뉴스보도]한국 저널리즘의 위기의 실태와 실패원인 및 저널리즘 산업의 과제
[경제학파][경제학사상][고전학파][케인즈학파][캠브리지학파][중상주의][한계효용학파]경제...
제5공화국
우리 오빠와 화로
이상과 김영랑에 대한 고찰 -생애 또는 시대상황을 통해 분석해 본 그들의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