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고린도 전서
1. 비과학적인 성경내용
2. 무조건적인 수용을 강요하는 성경 내용
3. 사회 편파적인 내용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고린도 전서
1. 비과학적인 성경내용
2. 무조건적인 수용을 강요하는 성경 내용
3. 사회 편파적인 내용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저 이방인의 제사하는 것은 귀신에게 하는 것이요 하나님께 제사하는 것이 아니니 나는 너희가 귀신과 교제하는 자 되기를 원치 아니하노라.”
고린도 전서 8장 4절 ~6절 “ ... 하나님은 한 분 밖에는 없는 줄 아노라 비록 하늘에나 땅에나 신이라 칭하는 자가 있어 많은 신과 많은 주가 있으나 우리에게는 한 하나님 곧 아버지가 계시니 만물이 그에게서 났고 ...”
물론 기독교가 원래 유일신 사상이고 제사를 거부하는 종교이지만, 다만 우리나라에 수용되었을 때 서양과는 다르게 제사라는 전통적인 풍습이 있었는데 그것조차도 무시하고, 무조건적인 믿음을 가진다는 것은 좋이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에겐 ‘귀신’이라는 존재가 무섭고 흉흉한 것일 수도 있지만, 반대로 돌아가시기 전엔 우리와 함께 살았던 식구이고, 돌아가신 후에는 우리를 보살펴주시는 조상님이기 때문에 조상님을 섬기고, 돌아가신 날을 기리는 것인데 이러한 전통 마저도 무너지게 하고 있다.
Ⅲ. 결 론
기독교를 믿지 않는 비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단순히 ‘나는 하나님의 존재도 모르겠고 믿을 수도 없어’라고 생각하면서 기독교를 배척해 왔다. 하지만 이렇게 논리적으로 성경 구절을 하나하나 생각하다보니 그동안 왜 내가 ‘믿을 수 없어’ 라고 단정 지었던 것인가 느낄 수 있었다. 물론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모든 사실을 알고 있지만, 하나님의 권능과 예수님의 희생을 믿고 그 모든 사실에 대해 감사하면서 살아가는 것일 것이다. 성경을 통해 인간 본연에 대한 사랑과, 용서와 같은 우리 삶에 필요한 이야기 들이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을 느끼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사랑 이야기를 할 때 “고린도 전서 13장 4절” 이야기를 많이 인용하는 것처럼 또는 “7장 11절”에 아내와 남편의 신의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처럼 좋은 이야기 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많은 진리들이 성경을 베스트셀러로 만들어 놓고 여전히 베스트셀러가 되도록 하는 힘일 것이다. 하지만, 많은 기독교인들이 인정하는 성경의 오류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믿을 수 없게 하는 비논리적인 부분들을 생각하면서 읽는다면 서론에서 말했던 것과 같이 기독교 교리를 전파하는 매개로서의 성경이 더더욱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비판을 위해 성경을 펼쳤지만, 비판에 앞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성경전서 개역 한글판 / 대한성서공회 - 1997.01.10 초판 발행
고린도 전서 8장 4절 ~6절 “ ... 하나님은 한 분 밖에는 없는 줄 아노라 비록 하늘에나 땅에나 신이라 칭하는 자가 있어 많은 신과 많은 주가 있으나 우리에게는 한 하나님 곧 아버지가 계시니 만물이 그에게서 났고 ...”
물론 기독교가 원래 유일신 사상이고 제사를 거부하는 종교이지만, 다만 우리나라에 수용되었을 때 서양과는 다르게 제사라는 전통적인 풍습이 있었는데 그것조차도 무시하고, 무조건적인 믿음을 가진다는 것은 좋이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에겐 ‘귀신’이라는 존재가 무섭고 흉흉한 것일 수도 있지만, 반대로 돌아가시기 전엔 우리와 함께 살았던 식구이고, 돌아가신 후에는 우리를 보살펴주시는 조상님이기 때문에 조상님을 섬기고, 돌아가신 날을 기리는 것인데 이러한 전통 마저도 무너지게 하고 있다.
Ⅲ. 결 론
기독교를 믿지 않는 비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단순히 ‘나는 하나님의 존재도 모르겠고 믿을 수도 없어’라고 생각하면서 기독교를 배척해 왔다. 하지만 이렇게 논리적으로 성경 구절을 하나하나 생각하다보니 그동안 왜 내가 ‘믿을 수 없어’ 라고 단정 지었던 것인가 느낄 수 있었다. 물론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모든 사실을 알고 있지만, 하나님의 권능과 예수님의 희생을 믿고 그 모든 사실에 대해 감사하면서 살아가는 것일 것이다. 성경을 통해 인간 본연에 대한 사랑과, 용서와 같은 우리 삶에 필요한 이야기 들이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을 느끼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사랑 이야기를 할 때 “고린도 전서 13장 4절” 이야기를 많이 인용하는 것처럼 또는 “7장 11절”에 아내와 남편의 신의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처럼 좋은 이야기 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많은 진리들이 성경을 베스트셀러로 만들어 놓고 여전히 베스트셀러가 되도록 하는 힘일 것이다. 하지만, 많은 기독교인들이 인정하는 성경의 오류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믿을 수 없게 하는 비논리적인 부분들을 생각하면서 읽는다면 서론에서 말했던 것과 같이 기독교 교리를 전파하는 매개로서의 성경이 더더욱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비판을 위해 성경을 펼쳤지만, 비판에 앞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성경전서 개역 한글판 / 대한성서공회 - 1997.01.10 초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