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조기위암의 정의 및 분류
III. 내시경 검사
IV. 조기위암의 내시경 소견
V. 결 론
위암
● 발생
● 원인
● 증상과 증후
● 진단
● 치료
● 예방
II. 조기위암의 정의 및 분류
III. 내시경 검사
IV. 조기위암의 내시경 소견
V. 결 론
위암
● 발생
● 원인
● 증상과 증후
● 진단
● 치료
● 예방
본문내용
개선되는 술식이다.
위 체부의 조기위암일 경우에는 조건에 합당한 환자선택으로 유문부 및 미주신경을 보존하여 수술 후 발생될 수 있는 역류성 위염 및 덤핑 증후군을 줄여주는 술식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아울러, 진행성 위암의 경우 위 전적술을 시행할 때 수술의 근치도를 높이기 위해 주변 장기의 합병 절제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비장동맥 및 비문 주위의 림프절제를 위해 췌장의 합병절제를 시행,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술 후 합병증인 췌장 누공, 췌장주위 농양, 횡경막하 농양, 수술 후 당뇨 등을 예방하기 위해 췌장을 절제하지 않고 비장동맥 및 비문주위의 충분한 림프곽청술을 시행할 수 있는 췌장보존 위전적술을 시행하여 좋은 성적을 얻고있으며, 이러한 술식들의 필요에 따라 타 병원에서의 의뢰환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췌장두부 및 십이지장을 침윤한 원위부 위암에는...
췌십이지장 절제술
통상적으로 위암이 췌장 및 십이지장 등 인접장기에 침윤되었을 때, 고식적 절제나 암 병소는 남겨놓은 상태로 음식물의 통로 개설을 위한 우회술의 시행 또는 수술을 포기하였으나 이러한 고식적인 방법으로는 환자의 생존율 향상이나 환자의 생존기간 동안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것 등은 기대할 수 없다.
우리병원 위암클리닉에서는 일정한 제한기준을 갖고 환자를 선별, 주위장기를 침윤한 원위부 위암환자에게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치료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어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이나 사망률의 증가없이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적극적인 수술술식을 선택하고 있다.
위 절제술 후 재건술 "Uncut-Roux Procedure"
국내 최초로 시도, 가장 이상적인 위암수술의 재건술로 평가 받고있는 위 절제술 후 재건술의 방법선택은 수술 후 재발의 양상과 재발빈도 및 수술 후 기능을 고려해야하는 중요한 술식이다. 위 아전절제술 후 재건술로는 위십이지장 문합술과 위공장 문합술이 주된 방법으로서 각기 술식의 장단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병원에서 위십이지장 문합술이 갖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공장 문합술을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병원 위암클리닉에서는 위전정부에 생긴 조기위암이나 장막침윤이 없는 암에서는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 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이용하여 고령의 환자나 동반질환 등으로 수술시간 단축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이러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은 음식물이 십이지장을 통과하므로 위공장 문합술보다 영양학적 측면의 우위에 있고 보다 생리적인 재건 방식이 될 수 있다.
원위부의 진행성 위암시 위절제 후에는 수술 후 재발 빈도 및 문합 부위 폐쇄를 고려하여 위공장 문합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 술식은 여러 가지 변형된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가장 이상적인 재건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술식은 아직 없으며 이러한 술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역류 증상, 음식물의 정체 등 위절제 후 증후군을 나타내는 환자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우리병원 위암클리닉에서는 이러한 모든 술식을 연구 검토하여 'Uncut-Roux Procedure'라는 술식을 적용하고 있어, 위 아전절제술후 위공장 문합술과 위전적술 후 식도공장 문합술을 시행해야 하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이러한 새로운 재건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전술한 '위십이지장 문합술', 자동 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 'Uncut-Roux Procedure'등의 술식은 우리병원 위암클리닉에서 개발 연구된 술식으로 각기 국내 최초로 논문 발표되었다.
암은 성별에 따라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약간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 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남성들이 발암물질에 노출되는 기회가 더 많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암은 지역, 민족, 생활양상, 사회경제적요인, 유전적소인 등에 따라 암의 종류와 발생빈도의 차이가 있다. 우리 나라 암 환자의 부위별 발생빈도를 보면 위암이 21.5%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폐암11.5%, 간암11.0%, 자궁경부암10.1%의 순서로 발 생하였다.
[표 2] 한국인 장기별 암 발생빈도 (1994년, 보건복지부)
위암 21.5%
폐암 11.5%
간암 11.0%
자궁경부 10.0%
대장암 8.0%
기타 37.9%
조사결과 94년 부위별 암발생 빈도는 위암이 21.5%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폐암(11.5%), 간암(11%), 자궁경부암(10.15), 대장암(8%), 유방암(5.3%), 담낭암(3.1%), 조혈기관암(2.9%), 갑상선암(2.8%), 방광및 췌장암(각 2.1%) 순이었다. 그러나 남자의 경우 위암, 폐암, 간암, 대장암, 식도암순으로 많고 여자는 자궁암, 위암, 유방암, 대장암, 페암등 순으로 성별 발생빈도에 차이를 보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과거 5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다. 미국의 통계에 의하면 50년 전의 발생율은 인구 10만명당 남자는 28명, 여자는 27명이었으나 최근에는 남자는 8명, 여자는 4명의 비율로 감소하였다. 위암으로 인한 사망율 또한 전체 암사망율의 20-30%를 차지하였으나, 지금은 약 3%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일본이나 칠레도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나 아직도 높은 발생율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남자는58명, 여자는 27명에서 발생한다. 한국은 암 발생율과 사망율에서 위암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국가외에 코스타리카, 아일랜드, 러시아 등도 높은 위암 발생율을 보이고 있다.
구미에서 위암이 급격하게 줄어든 이유로 영양의 개선, 식품 보존제인 질산염 (nitrate, NO3)의 사용 감소, 냉장고 사용의 보편화, 작업환경의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질산염은 박테리아에 의해서 아질산염(nitrite, NO2)으로 변화하며, 여기에 amine 혹은 amide가 결합하여 nitrosamine 이나 nitrosamide가 생성된다. 이 중 nitrosamide는 실험동물에서 위암을 일으킨다. 오염되거나 부패된 음식물을 피하므로서 질산염에서 아질산염으로의 전환을 줄일 수 있으며, 바이타민 C는 이 과정을 차단한다. 저소득층에서 발생율이 높은 것을 이것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위 체부의 조기위암일 경우에는 조건에 합당한 환자선택으로 유문부 및 미주신경을 보존하여 수술 후 발생될 수 있는 역류성 위염 및 덤핑 증후군을 줄여주는 술식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아울러, 진행성 위암의 경우 위 전적술을 시행할 때 수술의 근치도를 높이기 위해 주변 장기의 합병 절제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비장동맥 및 비문 주위의 림프절제를 위해 췌장의 합병절제를 시행,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술 후 합병증인 췌장 누공, 췌장주위 농양, 횡경막하 농양, 수술 후 당뇨 등을 예방하기 위해 췌장을 절제하지 않고 비장동맥 및 비문주위의 충분한 림프곽청술을 시행할 수 있는 췌장보존 위전적술을 시행하여 좋은 성적을 얻고있으며, 이러한 술식들의 필요에 따라 타 병원에서의 의뢰환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췌장두부 및 십이지장을 침윤한 원위부 위암에는...
췌십이지장 절제술
통상적으로 위암이 췌장 및 십이지장 등 인접장기에 침윤되었을 때, 고식적 절제나 암 병소는 남겨놓은 상태로 음식물의 통로 개설을 위한 우회술의 시행 또는 수술을 포기하였으나 이러한 고식적인 방법으로는 환자의 생존율 향상이나 환자의 생존기간 동안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것 등은 기대할 수 없다.
우리병원 위암클리닉에서는 일정한 제한기준을 갖고 환자를 선별, 주위장기를 침윤한 원위부 위암환자에게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치료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어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이나 사망률의 증가없이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적극적인 수술술식을 선택하고 있다.
위 절제술 후 재건술 "Uncut-Roux Procedure"
국내 최초로 시도, 가장 이상적인 위암수술의 재건술로 평가 받고있는 위 절제술 후 재건술의 방법선택은 수술 후 재발의 양상과 재발빈도 및 수술 후 기능을 고려해야하는 중요한 술식이다. 위 아전절제술 후 재건술로는 위십이지장 문합술과 위공장 문합술이 주된 방법으로서 각기 술식의 장단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병원에서 위십이지장 문합술이 갖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공장 문합술을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병원 위암클리닉에서는 위전정부에 생긴 조기위암이나 장막침윤이 없는 암에서는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 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이용하여 고령의 환자나 동반질환 등으로 수술시간 단축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이러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은 음식물이 십이지장을 통과하므로 위공장 문합술보다 영양학적 측면의 우위에 있고 보다 생리적인 재건 방식이 될 수 있다.
원위부의 진행성 위암시 위절제 후에는 수술 후 재발 빈도 및 문합 부위 폐쇄를 고려하여 위공장 문합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 술식은 여러 가지 변형된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가장 이상적인 재건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술식은 아직 없으며 이러한 술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역류 증상, 음식물의 정체 등 위절제 후 증후군을 나타내는 환자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우리병원 위암클리닉에서는 이러한 모든 술식을 연구 검토하여 'Uncut-Roux Procedure'라는 술식을 적용하고 있어, 위 아전절제술후 위공장 문합술과 위전적술 후 식도공장 문합술을 시행해야 하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이러한 새로운 재건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전술한 '위십이지장 문합술', 자동 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 'Uncut-Roux Procedure'등의 술식은 우리병원 위암클리닉에서 개발 연구된 술식으로 각기 국내 최초로 논문 발표되었다.
암은 성별에 따라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약간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 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남성들이 발암물질에 노출되는 기회가 더 많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암은 지역, 민족, 생활양상, 사회경제적요인, 유전적소인 등에 따라 암의 종류와 발생빈도의 차이가 있다. 우리 나라 암 환자의 부위별 발생빈도를 보면 위암이 21.5%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폐암11.5%, 간암11.0%, 자궁경부암10.1%의 순서로 발 생하였다.
[표 2] 한국인 장기별 암 발생빈도 (1994년, 보건복지부)
위암 21.5%
폐암 11.5%
간암 11.0%
자궁경부 10.0%
대장암 8.0%
기타 37.9%
조사결과 94년 부위별 암발생 빈도는 위암이 21.5%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폐암(11.5%), 간암(11%), 자궁경부암(10.15), 대장암(8%), 유방암(5.3%), 담낭암(3.1%), 조혈기관암(2.9%), 갑상선암(2.8%), 방광및 췌장암(각 2.1%) 순이었다. 그러나 남자의 경우 위암, 폐암, 간암, 대장암, 식도암순으로 많고 여자는 자궁암, 위암, 유방암, 대장암, 페암등 순으로 성별 발생빈도에 차이를 보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과거 5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다. 미국의 통계에 의하면 50년 전의 발생율은 인구 10만명당 남자는 28명, 여자는 27명이었으나 최근에는 남자는 8명, 여자는 4명의 비율로 감소하였다. 위암으로 인한 사망율 또한 전체 암사망율의 20-30%를 차지하였으나, 지금은 약 3%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일본이나 칠레도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나 아직도 높은 발생율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남자는58명, 여자는 27명에서 발생한다. 한국은 암 발생율과 사망율에서 위암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국가외에 코스타리카, 아일랜드, 러시아 등도 높은 위암 발생율을 보이고 있다.
구미에서 위암이 급격하게 줄어든 이유로 영양의 개선, 식품 보존제인 질산염 (nitrate, NO3)의 사용 감소, 냉장고 사용의 보편화, 작업환경의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질산염은 박테리아에 의해서 아질산염(nitrite, NO2)으로 변화하며, 여기에 amine 혹은 amide가 결합하여 nitrosamine 이나 nitrosamide가 생성된다. 이 중 nitrosamide는 실험동물에서 위암을 일으킨다. 오염되거나 부패된 음식물을 피하므로서 질산염에서 아질산염으로의 전환을 줄일 수 있으며, 바이타민 C는 이 과정을 차단한다. 저소득층에서 발생율이 높은 것을 이것으로 설명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