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정통치와 존하지장군에 대한 모든 것을 총정리 했습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군정통치와 존하지장군에 대한 모든 것을 총정리 했습니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혼란의 시대속의 인물 존 하지 , 그는 누구인가?
1. 시대적 배경
2. 한국 점령군 제 24군단 사령관 육군 중장 존 하지 (John R. Hodge)

Ⅲ. 미군정 통치 3년 속의 점령군 사령관
1. 미군정의 남한통치 방식
2. 한국정치인들과의 충돌
3. 그에게 비춘 조선인들

Ⅳ. 미군통치 3년이 남기고 간 것
1. 실패한 남한통치 <준비부족론>
2. 미군정의 긍정적인 평가
3. 미군정의 위상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 측면에서 국내의 정치세력들을 재편하려고 하였다.
첫째, 통일전선의 결성을 추구하는 정치구도를 재편함으로써 변혁운동세력을 약화시키려고 하였다. 둘째, 보수 우익세력 내부에서 이승만을 지도적인 위치로 부상시키면서 강력한 우익세력을 창출하려고 하였다. 셋째, 변혁운동세력을 분열, 약화시키는 한편 좌우파 민족주의자들을 우익연합에 포괄함으로써 광범위하고 안정된 지배세력을 육성하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미군정의 첫 번째, 두 번째 정치세력 재편계획이 성공했던 반면 세 번째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 미군정은 이 계획을 실현하기 위하여 좌우합작위원회를 설치하고 여기에 좌, 우파 민족주의자들을 포괄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 계획은 1947년 이후 실패하고 말았다. 여운형이 암살되면서 좌우합작운동은 유명무실하게 되었고 좌파민족주의자들(조선인민당, 근로인민당세력)이 좌우합작운동에서 떨어져 나갔고, 우파민족주의자들(김규식, 안재홍 등의 세력)은 여운형 암살 이후 김규식을 중심으로 민족자주연맹을 결성하여 미군정으로부터 떨어져나가 하나의 정치세력을 형성하였다. 결국 세 번째 계획의 실패는 단독정부 수립이후 지배세력들이 오히려 고립되는 현상을 낳았던 것이다.
이상과 같은 미군정의 정치세력 재편계획의 결과를 볼 때 두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하나는 미군정이 당시 정치상황에 깊숙이 개입하였던 가장 중요한 주체의 하나였다는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미군정의 정책이 모두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특히 미군정을 단순히 하나의 외세로서 볼 수 없는 반면에 미군정이 당시의 상황을 전면적으로 규정하였던 절대적인 힘을 가진 존재는 아니었다는 것이다.
Ⅴ. 결론
미군정통치 3년의 시간을 다시는 되돌리기 싫다는 하지는 그렇게 우리의 역사 한 페이지에 살며시 남았다. 여러 가지 시각으로 그를 평가하지만 아직도 그에 대한 평가는 그 의견이 분분하다. 한국인에게 가장 존경받는 분 중 하나인 김구선생을 일개 소금으로 취급하였다는 점에서는 필자 스스로 혐오스러움이 불 끓듯 솟아오르나 그 역시도 시대상황에서 그가 취할 수 있던 행동 중 하나였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의 미군정 최고 책임자로서의 그의 자질을 가지고 논의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본 글을 조사하고 연구하면서 생각한 것은 그의 자질을 생각하기 이전에 시대적인 흐름과 추세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은 미군이 한국인을 대하던 시선과 태도들이 분명히 잘못되었던 것은 사실이었고 미국이 한국에 대해서 경멸과 멸시하는 자세는 이후 한반도의 운명을 결정짓는 기본 노선이 되었다. 한국인들이 단결하여 그런 노선에 도전하고자 했다면 한국의 운명을 바꿀 수도 있었겠지만, 한국의 지도자들은 오히려 분열과 권력투쟁에 매진하는 등 정반대의 방향으로 나아가기에만 바빴을 것이다.
38선이 그어진 지 반세기가 지나도록 아직도 분단국가로서 살아가는 한반도는 그 씨앗의 시초를 잘 새겨두고 다시는 그런 일들이 반복되지 않도록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Ⅵ. 참고문헌
[냉전체제와 생산의 정치](이화여대 1995)
[대한민국 건국의 비화 : 이승만과 한미관계] (계명사,1990)
[미군정 자료연구] (선인,2003)
[미군정하의 한국정치현장](나남 1990)
[존 하지와 미군 점령통치 3년](중심,2003)
[제국주의 문화침략과 한국교육의 대미종속화]역사비평 제 18호
[친일파-그 인관과 논리](학민사 1990)
[한국정치사](박영사1997) 4
[한국전쟁의기원]일월서각1986
[한국현대정치론 :제2공화국의 국가형성, 정치과정, 정책](나남,1990)
[해방공간의주역: 미 점령군 사령관 하지] 김학준 ,,<동아일보>-1995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4.15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