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경제학]소득변화에 따른 곡물소비량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그림과 같으며, 종속변수의 추정치의 높은 값에 대응하는 잔차항들이 종속변수의 낮은 추정치 값에 대응하는 잔차항들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 졌기 때문에 충족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교란항의 첫 번째 가정인 교란항의 기댓값은 ‘0’이다 라는 것은 왼쪽의 출력물에서 확인 할 수 있는데, 출력결과 평균이 1.56319E-15가 나오는데 이는 거의 0에 가까우므로 이를 충족한다고 할 수 있다.
▲ 추정결과에 따른 의미
결정계수 =0.96595 로서 추정된 회귀식의 설명력은 매우 높다. 일반적으로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78.04197) (-25.5437)
=0.96595 (단, ()의 값은 t-값)
회귀계수 의 유의성은 P-값이 거의 0에 가까우므로 귀무가설 : =0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이것은 소득(X)이 곡물소비량(Y)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분산분석에서 ‘유의한 F’는 P-값을 나타낸다. P-값이 거의 0에 가까우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 하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정계수가 ‘1’에 근접하고, X1값의 계수가 ‘1’에서 멀고 표준오차가 ‘0’에 가까우면서 t-통계량의 값은 이 수치에서 멀어질수록 분석 자료의 관계가 맞을 확률이 점차 증가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의 틀릴 확률을 나타내는 P-값이 ‘0’에 가까 우기 때문에 『1인당 국민소득의 변화에 대한 곡물의 소비』의 관계는 점차 감소할 것 이라는 처음의 가설은 타당한 것으로 결론이 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4.2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