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소비량 증가와 육식의 문제점,고기부터 찾는 사람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육식소비량 증가와 육식의 문제점,고기부터 찾는 사람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요약문

Ⅰ.고기부터 찾는 사람들
Ⅱ.육류 소비량의 증가와 고기의 생산
Ⅲ.육식의 문제점
Ⅳ.우리는 왜 잘 알고 있지 않는가?
Ⅴ육식의 늪에서 빠져나기 위해서

본문내용

하였다. 접시에 놓인 고기를 나이프로 썰어서 분해하고 식욕을 돋울 때까지 사람들은 동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변화되었는지에 대해 무관심하길 원했다. 동물이 생산되고 살찌우고, 도살되는 장소와 준비되고 소비되는 장소가 분리되었고, 육류 산업의 끊임없이 성장하는 설비로 인해 일반 사람들은 도살 광경으로부터 멀어져 공개적으로 동물들에게 행하는 잔인한 행위와 거리를 두게 되었다. 같은책, 144쪽~150쪽
산업화의 진행과 더불어 나타난 동물에 대한 새로운 문화적 인식은 사람들의 사고와 생활에 영향을 미쳐 대량으로 표준화되는 육류를 즐기게 할 뿐 사실과 멀어져 버렸다.
Ⅴ. 육식의 늪에서 빠져나기 위해서
우리는 단지 ‘값싼 고기’를 위해서 가축동물에게 살충제와 항상제를 투여하는등 단기적인 이득을 얻으려하고만 있지만 결국 문제는 부메랑처럼 되돌아온다. 불행히도 생명체를 원자재처럼 자원으로 여기는 관점은 전일적이지 못하고 파편화되어 있어서 자신에게로 돌아온 부메랑이 바로 자기가 내던진 것이었다는 사실을 인식조차 하지 못한다. 경고미라, 앞의 책, 34쪽
우리는 병에 걸리고 나서야 비로소 나쁜 습관을 버리기 위해 노력하듯이 우리는 다시 우리가 했던 일을 돌아볼 때가 되었다.
이제부터 육식을 줄이기 위해서 “안전한 먹거리를 우선으로 먹는다.”, “조금 더 돈이 든다고 해도 방목하구 방부제를 쓰지 말자”식으로 밀고 간다면 결론은 돈 있는 사람들은 유기농 농산물을 먹고 없는 사람들은 값싼 고기를 먹는 현실로 나타날 것이다. 박순주, 박소현, 원동업, 임덕준 ‘고기 권하는 사회’, 한국의 육식문화를 진단한다, 논 vol.26, 초암 네트웍스, 2008, 19쪽
즉, 육류산업을 제어하기 위해 실질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지금 공장식 사육장은 환경피해를 필연적 지니고 있지만, 자본주의사회에서 이익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이를 멈춘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한 방법이며 무엇보다 환경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즉 육류산업 시스템은 환경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전환돼야 한다.같은 논문, 23쪽
하지만 가장 필요한 것은 우리의 인식과 노력이다. 무엇보다도 고기를 먹는 소비자는 우리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단지 고기를 먹기 위해 고기보다 훨씬 더 곡물을 소비하거나 목초지를 위해 열대림을 파괴하는 등의 행동은 지구의 입장에서 너무나도 낭비이다. 우리가 계속 이런 행동은 하는 것은 후손에게 점점 더 큰 짐을 안겨주는 것과 같다.
참고문헌
박순주, 박소현, 원동업, 임덕준 ‘고기 권하는 사회’, 한국의 육식문화를 진단한다, 논 vol.26, 초암 네트웍스, 2008.
정고미라, 육식을 먹는다는 것에 대한 몇 가지 생각, 환경과 생명, 환경과 생명, 환경과 생명, 2008.
존 로빈스,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 2. 이무열(역), 아름드리미디어, 2005.
최위환, 환경, 건강 그리고 육식, 논 vol.26, 초암네트웍스, 2008.
한국육가공협회, http://www.kmia.or.kr/infocenter/infocenter2.html.
  • 가격6,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9.07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0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