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한다
3.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Arteriosclerosis)
죽상경화
동맥내막에 지질 침착으로 내막, 중막의 섬유화, 내벽의 석회화, 궤양을 일으키는 상태
40세 후반이면 쉽게 나타남
원인 : cholesterol 중심 지질대사 이상, stress, 감염, 면역, 식사
침착 지질의 종류 :cholesterol ester, 인지질, 중성지방[심근경색, 뇌경색, 뇌저]
중막경화
노인에게 나타남
원인 : 동맥의 노화현상, 동맥의 중막에 석회화
세동맥경화
원인
세동맥에 문제, 특히 신장, 비장, 뇌조직의 세동맥에 연관
혈압이상 상승과 관련
1) 원인
출생 시부터 시작되는 점진적인 과정
위험인자 :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고뇨산혈증, 스트레스, 흡연, 가족력
동맥경화증 발생의 위험 인자
고 혈 압 : 140/90mmHg 이상
고지혈증
총 cholesterol : 220mg/dl 이상
HDL(α-lipoprotein) :40mg/dl 이하
LDL : 170mg/dl 이상
Triglyceride : 150mg/dl 이상
흡 연
비 만 : BMI 26.4 이상
당 뇨 병 : HbA1c 6%이상
통 풍 : 혈청뇨산치 7.5mg/dl 이상
운동부족
성격(A형), stress
hematocrit
기타, 커피, 설탕, 軟水, 알코올,
음료
(1) 고혈압
동맥경화증의 과정 촉진[특히 혈액 내 지질의 양이 증가 시 더 촉진]
고혈압과 관상심장질환의 위험 간에는 상호 연관성이 있다
(2) 흡연
흡입된 일산화탄소는 저산소증을 유발 → 혈청 지질 농도를 증가
(3) 고콜레스테롤혈증
① 다량의 지방 섭취 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
[관상 및 대동맥경화증의 발생빈도 높다]
② 고콜레스테롤 혈증 유발 요인은 식사 및 비식사 요인으로 분류
식사에 의한 요인
지방
식사내 포화 지방산을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으로 대치
정상적인 지방섭취에 충분한 양의 불포화 지방산 첨가
[혈장 지질과 혈청 콜레스테롤의 전체적인 양 감소]
콜레스테롤
식사 중의 다가 불포화 지방산으로 식사 중의 콜레스테롤량이 감소될 경우 [혈청 콜레스테롤량은 더 큰 감소효과]
당질
다량의 당질 섭취는 혈청 중성 지방량 증가
자당과 과당은 전분보다 고중성 지방증의 자극제로서 더욱 효과적
식이섬유질
pectin, gum, lignin, cellulose 등.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미량원소
편식, 고혈압, 경수, 운동 부족으로 체내 아연 : 구리의 비가 비정상적
아연 : 구리의 불균형은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이는 결과
기타 요인
비타민 E [근육 위축과 관련, 항산화제]
비타민 C [다량 섭취 시 혈관과 관련]
비식사 요인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는 운동과 직접적 연관
운동 시 HDL 증가 LDL, VLDL은 감소
성(性)호르몬
여성이 남성보다 발병률이 낮고 여성은 임신기간 중 발병률이 적다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관여하는 요인 : 열, 감염, 극심한 정서적 흥분, 피로, 스트레스, 비만으로 인한 짧고 반복되는 장해 등
2) 동맥경화를 위한 예방 식사
① 적정에너지섭취 : 표준체중 1kg 당 25∼30kcal,
비만일 경우 급격한 에너지 감소는 HDL저하를 일으키므로 서서히 감량
② 지질 : 총 에너지비의 20∼25%, P/S = 1.5 , cholesterol 270mg/day
③ 단백질 : 양질의 것 섭취[신질환에 장애 없으면 충분히 섭취] 총에너지 의 18∼20%
④ 당질 : 총에너지의 55∼60%[이중 40∼50%는 곡류, 감자로]
⑤ 알코올 : 적당량 섭취, 0.5cc/kg 정도
과량이나 연속적 음주는 비만, 간, 췌장 질환의 원인 및 동맥경화의 위험인자
⑥ 염분 : 5∼7g/day, 고혈압 초래 및 동맥경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 로 제한
⑦ 비타민과 무기질
비타민 : 모든 비타민은 충분히 섭취
에너지 대사 : Vit. B1, B2
지질 대사 : Vit. B6, E
단백질 대사 : Vit. C, 기타 Vit.
무기질 : 생리기능조절, 심근의 수축, 이완
K, Ca, Mg, Fe 섭취 및 흡수의 어려운 점 고려
⑧ 식물섬유
혈청 cholesterol치 저하 작용, 변비, 식품첨가물의 독성억제 작용
영양기준
① 가령에 따라 동맥경화가 진전되나 일상식사나 생활습관에 의한 증상에는 개인차가 크다
에너지(Kcal)
단백질(g)
지질(g)
당질(g)
적용
A
1400
70
40
170
노년자. 비만자
B
1800
80
50
250
경노동, 비만방지
② 병적 요인의 진전을 예방
쌀/오트밀
밀가루
종실
감자
설탕
유지
된장
대두제품
어패류
A
150
50
10
50
4
5
12
100
60
B
180/60
-
2
50
6
10
12
150
100
식품구성(g)
육류
난류
저지방우유
녹황색채소
담색채소
과일
해조류
조미료
A
40
50
170
100
200
70
3
20
B
60
50
200
100
200
200
3
25
A식
저에너지, 고단백, 고지질식
지질 : 종실류, 식물유, 우유 저지방류
대두제품, 어류
Ca, 섬유 다량 섭취
* 적은 식사량에 불만 있으므로 불륨 많은 요리사용
B식
사회활동을 하는 성인기[식사7~8부 정도의 식사]
단백질 1.2~1.5g/kg
지질, 종실, 유지량은 거의 A,B가 같다
염, 설탕(diet 감미료 이용), 유지(에너지 없는 유지 이용)제한에 의한
미각적 불만을 고려한 조리법 연구
점심의 외식은 선택에 주의
식단계획
에너지는 3끼 균일하게
부식은 1끼에 식품 10종류 이상 사용
일상의 가정식의 개선(양맛에 주의)은 치료식의 역할 및 가족구성원의
예방식
저지질식, 감염식이므로 땅콩, 호도 등의 종실류를 이용하여 채소를
먹기 쉽게
A식
계란은 하루에 1개 정도
단백질원은 주로 어류 공급
육류는 닭고기[영계, 병아리의 허벅지살 부분] 이용
메밀국수 이용[모세혈관의 보강작용으로 동맥경화 예방]
B식
아침은 오트밀이나 지짐 이용
점심은 도시락 이용 외식 시에는 선택에 주의
저녁은 볼륨 있게(생야채 이용)
식사는 천천히
가공식품은 피하도록
3.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Arteriosclerosis)
죽상경화
동맥내막에 지질 침착으로 내막, 중막의 섬유화, 내벽의 석회화, 궤양을 일으키는 상태
40세 후반이면 쉽게 나타남
원인 : cholesterol 중심 지질대사 이상, stress, 감염, 면역, 식사
침착 지질의 종류 :cholesterol ester, 인지질, 중성지방[심근경색, 뇌경색, 뇌저]
중막경화
노인에게 나타남
원인 : 동맥의 노화현상, 동맥의 중막에 석회화
세동맥경화
원인
세동맥에 문제, 특히 신장, 비장, 뇌조직의 세동맥에 연관
혈압이상 상승과 관련
1) 원인
출생 시부터 시작되는 점진적인 과정
위험인자 :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고뇨산혈증, 스트레스, 흡연, 가족력
동맥경화증 발생의 위험 인자
고 혈 압 : 140/90mmHg 이상
고지혈증
총 cholesterol : 220mg/dl 이상
HDL(α-lipoprotein) :40mg/dl 이하
LDL : 170mg/dl 이상
Triglyceride : 150mg/dl 이상
흡 연
비 만 : BMI 26.4 이상
당 뇨 병 : HbA1c 6%이상
통 풍 : 혈청뇨산치 7.5mg/dl 이상
운동부족
성격(A형), stress
hematocrit
기타, 커피, 설탕, 軟水, 알코올,
음료
(1) 고혈압
동맥경화증의 과정 촉진[특히 혈액 내 지질의 양이 증가 시 더 촉진]
고혈압과 관상심장질환의 위험 간에는 상호 연관성이 있다
(2) 흡연
흡입된 일산화탄소는 저산소증을 유발 → 혈청 지질 농도를 증가
(3) 고콜레스테롤혈증
① 다량의 지방 섭취 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
[관상 및 대동맥경화증의 발생빈도 높다]
② 고콜레스테롤 혈증 유발 요인은 식사 및 비식사 요인으로 분류
식사에 의한 요인
지방
식사내 포화 지방산을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으로 대치
정상적인 지방섭취에 충분한 양의 불포화 지방산 첨가
[혈장 지질과 혈청 콜레스테롤의 전체적인 양 감소]
콜레스테롤
식사 중의 다가 불포화 지방산으로 식사 중의 콜레스테롤량이 감소될 경우 [혈청 콜레스테롤량은 더 큰 감소효과]
당질
다량의 당질 섭취는 혈청 중성 지방량 증가
자당과 과당은 전분보다 고중성 지방증의 자극제로서 더욱 효과적
식이섬유질
pectin, gum, lignin, cellulose 등.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미량원소
편식, 고혈압, 경수, 운동 부족으로 체내 아연 : 구리의 비가 비정상적
아연 : 구리의 불균형은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이는 결과
기타 요인
비타민 E [근육 위축과 관련, 항산화제]
비타민 C [다량 섭취 시 혈관과 관련]
비식사 요인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는 운동과 직접적 연관
운동 시 HDL 증가 LDL, VLDL은 감소
성(性)호르몬
여성이 남성보다 발병률이 낮고 여성은 임신기간 중 발병률이 적다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관여하는 요인 : 열, 감염, 극심한 정서적 흥분, 피로, 스트레스, 비만으로 인한 짧고 반복되는 장해 등
2) 동맥경화를 위한 예방 식사
① 적정에너지섭취 : 표준체중 1kg 당 25∼30kcal,
비만일 경우 급격한 에너지 감소는 HDL저하를 일으키므로 서서히 감량
② 지질 : 총 에너지비의 20∼25%, P/S = 1.5 , cholesterol 270mg/day
③ 단백질 : 양질의 것 섭취[신질환에 장애 없으면 충분히 섭취] 총에너지 의 18∼20%
④ 당질 : 총에너지의 55∼60%[이중 40∼50%는 곡류, 감자로]
⑤ 알코올 : 적당량 섭취, 0.5cc/kg 정도
과량이나 연속적 음주는 비만, 간, 췌장 질환의 원인 및 동맥경화의 위험인자
⑥ 염분 : 5∼7g/day, 고혈압 초래 및 동맥경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 로 제한
⑦ 비타민과 무기질
비타민 : 모든 비타민은 충분히 섭취
에너지 대사 : Vit. B1, B2
지질 대사 : Vit. B6, E
단백질 대사 : Vit. C, 기타 Vit.
무기질 : 생리기능조절, 심근의 수축, 이완
K, Ca, Mg, Fe 섭취 및 흡수의 어려운 점 고려
⑧ 식물섬유
혈청 cholesterol치 저하 작용, 변비, 식품첨가물의 독성억제 작용
영양기준
① 가령에 따라 동맥경화가 진전되나 일상식사나 생활습관에 의한 증상에는 개인차가 크다
에너지(Kcal)
단백질(g)
지질(g)
당질(g)
적용
A
1400
70
40
170
노년자. 비만자
B
1800
80
50
250
경노동, 비만방지
② 병적 요인의 진전을 예방
쌀/오트밀
밀가루
종실
감자
설탕
유지
된장
대두제품
어패류
A
150
50
10
50
4
5
12
100
60
B
180/60
-
2
50
6
10
12
150
100
식품구성(g)
육류
난류
저지방우유
녹황색채소
담색채소
과일
해조류
조미료
A
40
50
170
100
200
70
3
20
B
60
50
200
100
200
200
3
25
A식
저에너지, 고단백, 고지질식
지질 : 종실류, 식물유, 우유 저지방류
대두제품, 어류
Ca, 섬유 다량 섭취
* 적은 식사량에 불만 있으므로 불륨 많은 요리사용
B식
사회활동을 하는 성인기[식사7~8부 정도의 식사]
단백질 1.2~1.5g/kg
지질, 종실, 유지량은 거의 A,B가 같다
염, 설탕(diet 감미료 이용), 유지(에너지 없는 유지 이용)제한에 의한
미각적 불만을 고려한 조리법 연구
점심의 외식은 선택에 주의
식단계획
에너지는 3끼 균일하게
부식은 1끼에 식품 10종류 이상 사용
일상의 가정식의 개선(양맛에 주의)은 치료식의 역할 및 가족구성원의
예방식
저지질식, 감염식이므로 땅콩, 호도 등의 종실류를 이용하여 채소를
먹기 쉽게
A식
계란은 하루에 1개 정도
단백질원은 주로 어류 공급
육류는 닭고기[영계, 병아리의 허벅지살 부분] 이용
메밀국수 이용[모세혈관의 보강작용으로 동맥경화 예방]
B식
아침은 오트밀이나 지짐 이용
점심은 도시락 이용 외식 시에는 선택에 주의
저녁은 볼륨 있게(생야채 이용)
식사는 천천히
가공식품은 피하도록
추천자료
c/sec 에 대한 간호사례
Emergency Kit에 포함되는 약물과 물품 조사
뇌경색 케이스(Cerebral Infarction Case Study)
[간호학] 급성 심근경색 문헌고찰
ER-간호중재
투석(복막투석, 혈액투석) 레포트
뇌경색 케이스
혈액투석 study
급성신부전 ARF(Acute Renal failure)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간호학]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성인간호학][Chest pain][흉통]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MI질병고찰
[성인간호학][간경화][Liver Cirrhos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