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액이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세포내액(Intracelluar fluid)

2) 세포외액(Extracelluar fluid)

3) 호르몬의 영향

4) 신경계

** 체액 불균형 **

1) 세포 외액량 결핍(ECF volume deficit)

2) 세포외액량 과다

본문내용

트륨을 변화시킨다.
피부 탄력성 저하 및 건조
- 간질액의 감소로 피부조직이 서로 달라 붙기 때문이다.
안구의 함몰 (심한 경우)
- 안구의 수분장력이 감소되어서
불안감, 두통, 혼동, 혼수
(심한 경우)
- 뇌세포의 탈수로 인해
체온상승
- 증발하는데 필요한 수분부족
빈맥
- 줄어든 혈류량에 대한 순환계의 보상작용으로 심장이 빨리뛰기 때문
맥압의 감소
누운자세에서 경정맥 볼 수 없음
- 정맥귀환의 감소로 인해
핍뇨
- 저혈량증에 대한 신장 보상반응
체위성 수축기 혈압차이 > 15mmHg
체위성 이완기 혈압차이 > 10mmHg
- 저혈량증으로 인해 혈장량이 부족하여 수축기 압이떨어지기 시작하므로
임상/진단 검사 결과
삼투질 농도의 증가
- 고장성 체액손실
(수분손실이 용질손실보다 더 많아서)
- 등장성 체액손실
(혈장나트륨 수준은 정상)
혈청내 Na 증가 혹은 정상
BUN의 증가
- 혈액의 농축으로 BUN이 약간 상승할 수 있다.
고혈당
- 혈액의 농축으로 포도당 수준이 상승하고 포도 당이 증가하면 이뇨와 수분 상실을 야기하여 혈장 삼투질 농도가 상승한다.
Hct의 상승
- 저장성 체액 손실
(혈액이 농축으로 헤마토크릿이 상승한다.)
- 등장성 체액 손실시
(헤마토크릿이 정상 범위에 있다.)
뇨비중 증가
- 신장의 기능 변화로 용매에 비해 용질의 비
증가
2)세포외액량 과다
혈관과 간질강에 체액정체가 증가한 상태
원인
- 심부전, 신장장애 ,간경화, 나트륨이 들어있는 음식 과다섭취, 과다한 물 관장, 나트륨이 들어 있는 수액의 과다 주입, 전해질이 들어있는 많은 양의 수액주입, 림프계 혹은 정맥 폐쇄
  • 가격3,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4.2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