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프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프롬의 생애

Ⅲ. 주요개념
A. 도피기제
a. 권위주의
b. 파괴성
c. 자동적 동조
B. 기본적 욕구
a. 관계성
b. 추월
c. 소속감
d. 정체감
e. 지향 틀
f. 흥분과 자극
C. 성격유형
a. 비생산 성격유형
a-1. 수용지향
a-2. 착취 지향
a-3. 저장 지향
a-4. 시장 지향
b. 생산 성격유형
c. 삶 지향 대 죽음 지향
c-1. 삶 지향
c-2. 죽음 지향
d. 실존 지향 대 소유 지향
d-1. 실존 지향
d-2. 소유 지향

Ⅳ. 성격이론의 적용

Ⅴ. 나가는 말

본문내용

해 내담자는 자신의 내면 감정이 다른 사람과 공유될 수 있다는 자각을 하게 된다고 보았다.
그의 이론은 문화와 사회의 중요성이 강조되던 20세기에 제시되었지만 신경생리학과 생물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는 최근에도 사회적 힘의 영향력을 이해하고, 사랑하며, 생산적이며, 삶에 책임을 지는 인간 존재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Ⅴ. 나가는 말
신학자 폴 틸리히는 인간의 문제를 세 시기로 나눈다. 그의 말에 의하면 인간은 죽음의 문제, 죄의 문제를 넘어서 허무의 문제로 가고 있다고 하였다. 현대사회가 발전하면 할수록 인간성 상실과 군중 속의 고독, 소외감은 점점 더 커져 가고 있다. 21세기의 최고의 직종으로 인간의 영혼을 다루는 정신의학자. 성직자, 상담사들이 최고의 직종이 될것이라는 예견은 이미 오래 전에 나왔다. 이 허무의 시대에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성을 강조하며, 사랑하며, 생산적이며, 삶에 책임을 지는 인간 존재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려는 프롬의 생각은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할 수 잇겟다. 다른 무엇보다도 인간을 긍정적으로 보는 그의 관점, 즉 인간은 갈등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그의 생각은 매력적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4.24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