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벨룽의 노래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니벨룽의 노래에 대해서

2. 등장인물 소개

3. 역사적 사실과의 관계

4. 신화적 배경
ⅰ - 보물에 관한 신화적 배경
ⅱ - 지그프리트에 관한 신화적 배경

5. 줄거리 요약 (chapter별 요약)

6. 니벨룽의 노래[Das Nibelungenlied]를 모티브로 한 문학, 예술작품들.
1. - 니벨룽의 반지 [Der Ring des Nibelungen]
2.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와 톨킨의 <반지의 제왕> 비교
3. 니벨룽겐의 반지 (The Ring Of The Nibelungs, 2004)

본문내용

당한 신들에게 집주인은 그들이 잡아 죽인 수달이 자기의 둘째 아들이었다고 이야기하며, 수달의 시체를 가릴 만큼의 황금을 배상금으로 요구한다. 이에 로키만 혼자 풀려 나와, 깊은 폭포 속에 물고기로 변신해 살고 있는 난장이 안드바리에게 가서 그를 그물로 잡아 올리고 안드바리가 소유했던 모든 금을 빼앗는다. 로키가 안드바리의 모든 금을 빼앗고, 마지막으로 안드바리의 손에 끼여 있던 반지까지 요구하자, 그때 안드바리는 이후로 자기의 금을 가지는 모든 사람들이 파멸 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로키는 이에 굴하지 않고 돌아와 안드바리의 황금으로 수달의 시체를 덮는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에 집주인 흐레이드마르는 죽은 수달의 수염이 보인다며 오딘이 가지고 있던 안드바리의 반지로 수염을 가려줄 것을 요구한다. 신들이 그 말을 따르고 풀려 나자, 그 후 흐레이드마르의 맏아들 파프니르는 자기 아버지를 죽이고 혼자 보물을 독차지한 후 용으로 변해 버린다.
이 이야기는 니벨룽의 반지 4부작 중 첫 번째 라인황금의 이야기와 꼭 같지는 않지만 굉장히 유사하다.
(2) 반지의 제왕에서의 북유럽신화 내용
반지의 제왕과 북구신화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제시되는 두 가지의 예는 저주 받은 안드바리의 반지 이야기와 지크프리트의 칼 그람 이야기이다. 반지를 가진 자가 절대 힘을 얻는 동시에 저주를 받아 파멸한다는 내용과 부러진 검을 다시 만드는 장면이 공통점이라 할 수 있는데 아라곤의 나르실이 그것이고, 지크프리트의 노퉁이 그것이다. 반지의 제왕에서는 북유럽신화와 니벨룽의 노래에서 찾을 수 있는 세부적 내용이 이 두 가지 정도 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지의 제왕이 북유럽신화와 니벨룽의 노래와 비슷하다고 말해지는 이유는 바로 이야기 전체적인 구조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우선 지적할 수 있는 것이 길고 긴 족보에 대한 관심이다. 톨킨은 거의 대부분의 주인공을 소개할 때 그의 가족사에 대한 긴 언급을 한다. 이는 단순히 이야기를 재미있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가에서 나온 역사성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이다. 반지를 얻게 되는 경위를 설명할 때 프로도의 집안내력에 대해 설명하는 것과 아라곤의 혈통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이러한 내용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특징으로 정형화된 인물 묘사를 들 수 있다. 여기서의 정형화란 인물의 첫 묘사부터 앞으로 그가 대강 어떤 행동을 보일지 미리 짐작케 할 만한 힌트를 미리 뿌려 놓음을 뜻한다. 엘론드의 회의에서 첫 등장하는 보로미르의 경우 보로미르가 “큰 키에, 고상하고 잘 생긴 얼굴, 검은 머리와 잿빛 눈, 자신감이 넘치고 동시에 매서운 눈빛을 가진 사람”이라고 묘사한다. 여기서 묘사한 자신감과 매서운 눈빛이 발전하여 나중에는 반지에 대한 욕망에까지 다다르는 단초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반지의 제왕은 북유럽신화와 니벨룽의 반지에서 그 모티브를 가지고 왔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3. 니벨룽겐의 반지 (The Ring Of The Nibelungs, 2004)
바그너의 악곡 니벨룽의 반지를 영화한 작품도 존재하는데 니벨룽겐의 반지가 그것이다. 독일출신의 감독인 울리히 에델가 만들고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에 개봉한 이 영화는 노르만족과 앵글로 색슨족과의 많은 전투 중에 독일에서 전래한 가슴 아픈 사랑의 이야기이자 위대한 한 영웅의 이야기가 그 내용이다. 이는 니벨룽의 노래를 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화 <니벨룽겐의 반지>는 니벨룽의 노래를 바탕으로 한 바그너의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 중 가장 극적인 부분인 지그프리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영화 <니벨룽겐의 반지>는 신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답게 기사들의 용맹한 전투씬, 용과 주인공간의 숨막히는 혈투, 신비한 마법, 아름다운 사랑과 불타는 복수 등 수 많은 볼거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웅장한 음악과 가슴 절절한 대사들을 통해 사실적인 느낌 보다는 한 편의 오페라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영화 <니벨룽겐의 반지>는 오페라 4부작 중 지그프리트가 부모를 잃은 때부터 생을 마감할 때 까지의 2부 (발퀴레)와 3부(지그프리트)에 해당하는 이야기를 보여준다. 전 막을 다 표현하기엔 너무나 방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결국 전설 속 판타지와 남녀간의 사랑, 복수를 극명하게 보여 주고 있는 지그프리트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영화를 제작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흥미로운 작품이라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큰 인기를 얻지 못한체 막을 내려야만 했다고 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4.25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4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