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잔다르크 감상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➊ 영화 속 <잔 다르크>
✔ 영화 <잔 다르크>
✔ 줄거리
✔ 감독 뤽 베송
✔ 배우 밀라요보비치

➋ 역사 속 <잔 다르크>
✔ 잔 다르크
✔ 백년전쟁
✔ 오를레앙 전투
✔ 백년전쟁의 영향

➌ 영화 VS 역사
✔ 역사가 왜곡된 부분은?

➍ 영화 총평

본문내용

사실과 다른 부분을 찾자면 위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오를레앙의 군수물자와 식량보급은 장 뒤노아 공작과 알랑송 장군의 역할이 컸으며 오를레앙 탈환 직후 잉글랜드 군과의 대치에서 영화는 잔 다르크의 설득으로 군을 물린 것처럼 표현하였지만 실제로 그 날은 일요일이었기 때문에 잔 다르크는 전투를 할 의지가 없었다고 한다. 잉글랜드 군이 물러난 것은 이미 군의 대부분이 오를레앙 전투에서 괴멸되었으며 전세가 프랑스로 넘어갔기 때문에 공격을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두 번째를 꼽자면 샤를 7세라는 인물의 표현이다. 샤를 7세가 우유부단한 것은 사실이나 그는 상당히 현명한 군주로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그는 기존의 봉건기사중심편재의 군대를 유급제 근위부대, 즉 상비군을 창설하는데 성공하였다. 프랑스의 군대는 보병대가 제 1부대 그 뒤를 포병대가 제 2부대로 받치는 형태로 변하였다. 봉건 영주의 기사군은 예비군으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그는 국가적 위기를 이용하여 상비군을 유지할 세금을 징수하는데 성공하였고 이것이 영국과 프랑스의 결정적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영국은 전쟁 후 더 이상 군대를 유지할 명분이 없었지만 프랑스의 경우 육지의 3면을 다른 세력과 대치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비군을 유지할 명목이 충분이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영국왕이 그 권위를 실추하고 정권이 의회로 넘어간 것에 반해 프랑스의 왕이 태양왕이라고 칭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중앙집권적 권력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잔 다르크 사후 국토의 대부분을 잉글랜드로부터 회복하는데 성공하였다. 샤를 7세의 이러한 노력으로 이후의 후계자들이 강력한 왕권을 수립하여 절대왕정으로 나아갔던 것이다. 샤를 7세는 우유부단하고 조심성이 많은 성격이지만 그의 이러한 성품으로 인해 잔 다르크와의 갈등이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고 좀 더 비약하자면 포로가 된 잔 다르크를 구할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 표현한 것처럼 주위의 상황에 휘둘리는 유약한 군주라고 보기는 힘들다.
4. 영화 총평
1. 영화는 잔 다르크의 개인적 심리 갈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전쟁에서의 잔 다르크는 저돌적인 카리스마, 신의 사명을 입은 자의 확고한 의지를 역력히 보여준다. 그러나 결국 전쟁은 현실이므로 승리 뒤엔 참혹한 시체들과 잔인한 약탈에 둘러싸이게 된다. 차가운 새벽에 피투성이인 얼굴로 나타난 잔 다르크의 모습은 매우 상징적이다. “있을 수 없는 일이다”(C′est impossible)라고 울부짖는 잔의 모습에서 애처로움이 분명히 느껴진다.
2. 영화의 평은 대부분 잔 다르크의 신성성을 두고 논쟁하고 있다.
영화의 평가는 극단적으로 나뉜다. 르몽드의 장-미셀 프로동은 "성녀 잔 다르크, 위선자 또는 순교자"라는 제목으로 "어떤 잔 다르크인가?"라는 진지한 물음 속에서 "드루이에가 성녀로서의 이미지를 영화화했으며, 프르밍거의 구국영웅, 브레송의 저항적 의미에 이어, 룩 베송은 우리가 알고 있던 잔 다르크의 역설적인 모습을 지극히 도덕적인 관점에서 영화화했다"라고 평했다.
프랑스 반응과는 반대로, 몇 주 후에 개봉된 미국의 평론가들은 혹평을 쏟아 부었다. 복잡한 인간상 반영웅적 인물, 진실과 사악을 뒤섞어 사람들을 혼란시켜 진실과 선을 왜곡하고 죽이는 영화라고 하였으며 누구나 다 아는 진실인 교황청과 기독교(카톨릭)의 거짓되고 악랄하고 교활한 점을 비판하여 마치 진실을 밝히는 영화로 포장했으나, 영화의 중심은 정의를 위해 그리고, 불의에 항거하기 위해 목숨 걸고 싸운 일들을 이기주의의 산물로 왜곡하고 짓밟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혹평하였다.
3. 역사적 관점으로 본 잔 다르크.
역사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 영화 평의 중심을 이루는 종교적 문제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보여 진다. 잔 다르크가 성녀이든, 악마에 홀렸든 혹은 뇌종양 환자이든 그것은 잔 다르크의 행적과 그 결과로 나타난 역사적 의미와 별개의 문제이다. 어찌되었건 잔 다르크는 위기에 처해 있던 프랑스를 구원하였고 그로 인해 백년전쟁의 종결과 프랑스의 봉건제 붕괴라는 결과를 낳았다. 즉 국가적 위기에서 나타난 애국심은 국왕의 권력집중에 많은 기여를 하였으며 조세권과 그로 인해 창설된 상비군이라는 군사력은 봉건영주들의 정치적 독립성을 무너뜨리기에 충분하였고 봉건영주들의 약화는 800여 년 동안 지속되어 오던 봉건제의 붕괴라는 거대한 변혁으로 이어졌다.
즉, 잔 다르크의 신성성 문제를 떠나 그녀가 이루어낸 기적을 통해 시대의 흐름이 변하였다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4.27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