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복선형과 단선형의 장/단점/ 국가경쟁력
2.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징/기본방향/이념
2.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징/기본방향/이념
본문내용
신설확대한다.
다섯째, 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창의성, 정보능력의 배양이다. 정보통신기술 활용교육을 실천하고, 컴퓨터 교육내용을 강화한다.
여섯째, 교과별 학습량의 최적화와 수준의 조정이다. 최저 필수학습 요소중심의 교과별 학습내용을 정선하여 이수과목수를 축소하고 범위수준의 적정화를 이룬다.
일곱째, 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체제 확립이다. 교과별 교육목표 성취 기준을 설정하고,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체제를 구축한다.
여덟째,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역할 분담 체제 확립이다. 교육부에서는 교육과정 국가수준을 고시하고, 시도 교육청은 학교 급별 편성운영 지침을 작성하여 제시하며, 지역교육청은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실천 중심 장학자료를 제시하고 학교가 구체적인 교육실천 계획을 작성하고 운영한다.
다섯째, 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창의성, 정보능력의 배양이다. 정보통신기술 활용교육을 실천하고, 컴퓨터 교육내용을 강화한다.
여섯째, 교과별 학습량의 최적화와 수준의 조정이다. 최저 필수학습 요소중심의 교과별 학습내용을 정선하여 이수과목수를 축소하고 범위수준의 적정화를 이룬다.
일곱째, 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체제 확립이다. 교과별 교육목표 성취 기준을 설정하고,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체제를 구축한다.
여덟째,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역할 분담 체제 확립이다. 교육부에서는 교육과정 국가수준을 고시하고, 시도 교육청은 학교 급별 편성운영 지침을 작성하여 제시하며, 지역교육청은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실천 중심 장학자료를 제시하고 학교가 구체적인 교육실천 계획을 작성하고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