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울 경 기 도 방 언
1. 모음체계
2. 음장
3. 활용상 ‘으, ㄹ’첨가
4. 연결어미
5. 문법특징
6. 어휘특징
참고
1. 모음체계
2. 음장
3. 활용상 ‘으, ㄹ’첨가
4. 연결어미
5. 문법특징
6. 어휘특징
참고
본문내용
시키는 경우도 있다.
예) [처녀색시](處女), [개천천변], [긴대장죽], [짜른대곰뱅이] 등등.
표준어
양평
여주
남양주
고유어
구멍
구녁,구멱
구녁,구멩
구녁,구멩
나무
낭무
남구,낭구
남구,낭구
고기
괴기
괴기
괴기
며느리
메누리
며누리,메누리
메누리,미누리
할아버지
할아부지
할어부지
할아버니
한자어
남편
냄편
냄편
냄펜
고생
고상
고상
고상
학교
핵괴
핵교
핵교
참고 : 채서영, "서울말 전설모음 /e/의 변이현상-사회언어학적 조사와 기능적 분석 -", 어학연구 37-3, 서울대 어학연구소.
영남대국어교육과자료실(http://yu.ac.kr/%7Ekoredu/dapsa/0320/20etc.htm#main1)
<최전승,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김계곤, 경기도사투리연구>
예) [처녀색시](處女), [개천천변], [긴대장죽], [짜른대곰뱅이] 등등.
표준어
양평
여주
남양주
고유어
구멍
구녁,구멱
구녁,구멩
구녁,구멩
나무
낭무
남구,낭구
남구,낭구
고기
괴기
괴기
괴기
며느리
메누리
며누리,메누리
메누리,미누리
할아버지
할아부지
할어부지
할아버니
한자어
남편
냄편
냄편
냄펜
고생
고상
고상
고상
학교
핵괴
핵교
핵교
참고 : 채서영, "서울말 전설모음 /e/의 변이현상-사회언어학적 조사와 기능적 분석 -", 어학연구 37-3, 서울대 어학연구소.
영남대국어교육과자료실(http://yu.ac.kr/%7Ekoredu/dapsa/0320/20etc.htm#main1)
<최전승,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김계곤, 경기도사투리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