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김계곤, 경기도사투리연구> 서 울 경 기 도 방 언
1. 모음체계
2. 음장
3. 활용상 ‘으, ㄹ’첨가
4. 연결어미
5. 문법특징
6. 어휘특징
참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는 실정이다. 小倉進平는 중부방언을 ‘경기도방언’이라고 불렀고, 河野六卽는 ‘중선방언’이라고 불렀다.
지금까지의 방언권에 대한 여러 학설에는 방언권의 명칭, 방언권의 크기, 등어선속, 등어선의 등급화, 방언 특징의 범주화 등의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은 모음체계에 있어 충청북도와 충청남도가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양자 간에 하위방언언구획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함.
충청남도의 모음체계는 경기도방언처럼
/ ㅣ, ㅞ, ㅐ, ㅟ, ㅚ, ㅡ, ㅓ, ㅏ, ㅜ, ㅗ / 의 10모음체계
충청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1.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권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하다. 일찍이 일본인 학자 소창진평은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경상도방언, 전라도방언, 함경도방언, 평안도방언, 경기도방언, 제주도방언의 대방언권으로 나누었다. 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그리고 나머지 지역(경기•강원•충청•황해도)을 포함하는 경기방언(중부방언)으로 나뉜다.
여기에서는 그 중 경기방언(중부방언)에 대해서 알아보고, 녹음된 음성을 직접 전사해보려 한다.
II. 본론
1. 경기도 방언이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1.12.2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