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혼자 이 게임을 하고서는, 이타적인 모델을 보지 못한 통제 집단보다 훨씬 더 많은 기부를 했다. 게다가. 그러한 모델을 관찰한 아동들은 두 달이 지난 뒤, 전과 다른 실험자와 함께 전과는 다른 방에 있을 때조차도 더 많은 기부를 했다. 분명히, 관대한 모델에의 비교적 짧은 노출조차도 아동들의 희사행동에 상당히 영속적인 영향을 준다.
수많은 실험에서, 모델이 아동들의 희사행동뿐만 아니라 어려움 속에 있는 사람을 돕는 행동, 협동심,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대한 그들의 관심 등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Mussen과 Eisenberg-Berg, 1977, pp.79-90; Bryan, 1975). 이 영역에서의 실험적 발견은, 부모의 행동이 또한 그 자녀들의 이타성과 연결된다는 결과를 얻은, 보다 자연상태에서의 연구에 의해서도 지지되는 것 같다(Mussen과 Eisenberg-Berg, 1977, pp.86-90).
시범과 설교: 사회화 주관자는 행동적 본보기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미덕을 설교하고 어떻게 행동하는가도 이야기해줌으로써 아동들을 가르친다. 이러한 언어적 기법은 친사회화 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있다. 그러면, 이를 간단히 개관해보기로 하자.
무엇보다도 설교는 그것이 강력하지 않으면 비효과적인 듯하다. 만일 성인이 단지 “희사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라고만 말한다면, 아동은 말보다는 그 성인이 실제로 행하는 것에 의해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만일 성인이 희사를 한다면, 그가 이타주의를 설교하건 탐욕을 설교했건 간에 상관없이, 아동 또한 희사할 것이다.(Bryan과 Walbeck, 1970)
그러나 설교가 보다 강력해지고, 마음에 오래 남는 정서적 설교와 명령의 형태를 취한다면, 그것은 효과적일 수가 있다.(Mussen과 Eisenberg-Berg, 1977, pp.151-52)
그러나 G. M. White(1972)에 의한 연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명령은, 강제적이어서 역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 실험에서 어떤 아동들은, 자신들이 받은 상금 중 일부를 불우아동들에게 희사하라고 말한 어른과 함께 볼링을 했고, 다른 아동들에게는 단지 이러한 본보기에 따를 기회만이 주어졌다. 그런 직후에 관찰한 결과는, 희사하라는 명령을 받았던 아동들은 혼자 게임을 할 때도 더 많은 정도의 희사를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이 아동들의 희사행동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오히려 훔치는 일이 더 많이 일어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강제적인 방법에 대한 그들의 분노를 반영한 것 같다.
우리는 지금까지 네 가지 종류의 행동-공격성, 성 역할, 자기 강화패턴, 친사회적 행동-에 모델이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리의 개관은 단지 이 주제들에 대한 연구를 표집한 것이지만, 여기에서도 모델이 가질 수 있는 강력한 효과를 시사해주고 있다. Bandura(1977, p. 88)가 말한 것처럼, 어떤 행동에 대한 본을 보임으로써 사람들이 그 행동을 하도록 만들 수 있다. “ 예를 들면, 모델은 또한 아동들이 만족을 지연하고 유혹을 물리치고 어떤 유형의 도덕적 사고를 하는 정도를 바꿀 수 있는데, 이러한 행동들은 모두 사회화과정에서의 중요한 측면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Bandura는 환경을 강조했다. 그러나 내 생각에 그가 주장한 환경은 자연적인 것뿐만이 아니라 인위적인 것, 즉 학습도 하나의 환경이라고 볼 때 그의 주장은 어쩌면 Piajet의 이론도 포괄하는 것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발달의 이론 서봉연(1969) 중앙적성출판사 (p.364-376)
발달심리학 송명자(1995) 학지사
수많은 실험에서, 모델이 아동들의 희사행동뿐만 아니라 어려움 속에 있는 사람을 돕는 행동, 협동심,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대한 그들의 관심 등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Mussen과 Eisenberg-Berg, 1977, pp.79-90; Bryan, 1975). 이 영역에서의 실험적 발견은, 부모의 행동이 또한 그 자녀들의 이타성과 연결된다는 결과를 얻은, 보다 자연상태에서의 연구에 의해서도 지지되는 것 같다(Mussen과 Eisenberg-Berg, 1977, pp.86-90).
시범과 설교: 사회화 주관자는 행동적 본보기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미덕을 설교하고 어떻게 행동하는가도 이야기해줌으로써 아동들을 가르친다. 이러한 언어적 기법은 친사회화 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있다. 그러면, 이를 간단히 개관해보기로 하자.
무엇보다도 설교는 그것이 강력하지 않으면 비효과적인 듯하다. 만일 성인이 단지 “희사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라고만 말한다면, 아동은 말보다는 그 성인이 실제로 행하는 것에 의해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만일 성인이 희사를 한다면, 그가 이타주의를 설교하건 탐욕을 설교했건 간에 상관없이, 아동 또한 희사할 것이다.(Bryan과 Walbeck, 1970)
그러나 설교가 보다 강력해지고, 마음에 오래 남는 정서적 설교와 명령의 형태를 취한다면, 그것은 효과적일 수가 있다.(Mussen과 Eisenberg-Berg, 1977, pp.151-52)
그러나 G. M. White(1972)에 의한 연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명령은, 강제적이어서 역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 실험에서 어떤 아동들은, 자신들이 받은 상금 중 일부를 불우아동들에게 희사하라고 말한 어른과 함께 볼링을 했고, 다른 아동들에게는 단지 이러한 본보기에 따를 기회만이 주어졌다. 그런 직후에 관찰한 결과는, 희사하라는 명령을 받았던 아동들은 혼자 게임을 할 때도 더 많은 정도의 희사를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이 아동들의 희사행동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오히려 훔치는 일이 더 많이 일어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강제적인 방법에 대한 그들의 분노를 반영한 것 같다.
우리는 지금까지 네 가지 종류의 행동-공격성, 성 역할, 자기 강화패턴, 친사회적 행동-에 모델이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리의 개관은 단지 이 주제들에 대한 연구를 표집한 것이지만, 여기에서도 모델이 가질 수 있는 강력한 효과를 시사해주고 있다. Bandura(1977, p. 88)가 말한 것처럼, 어떤 행동에 대한 본을 보임으로써 사람들이 그 행동을 하도록 만들 수 있다. “ 예를 들면, 모델은 또한 아동들이 만족을 지연하고 유혹을 물리치고 어떤 유형의 도덕적 사고를 하는 정도를 바꿀 수 있는데, 이러한 행동들은 모두 사회화과정에서의 중요한 측면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Bandura는 환경을 강조했다. 그러나 내 생각에 그가 주장한 환경은 자연적인 것뿐만이 아니라 인위적인 것, 즉 학습도 하나의 환경이라고 볼 때 그의 주장은 어쩌면 Piajet의 이론도 포괄하는 것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발달의 이론 서봉연(1969) 중앙적성출판사 (p.364-376)
발달심리학 송명자(1995) 학지사
추천자료
[심리학][심리학이론][분트][에릭슨][프로이드]심리학의 정의, 발달, 심리학의 필요성, 관점,...
교육심리(교육심리학) 발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 자아와 본능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
[심리학개론] 발달과 학습에 대한 개념정의를 하고, 인지사회 및 정서발달에 대해 설명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발달심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동기유발이론, 교육심리(교육...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인지발달이론과 도식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욕구감소이론과 ...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대표적 경향,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인지발달이론과 창의력발달이...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 심리사회적 발달, 자아심리학
학습자의 언어, 인지, 성격, 도덕성 등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 교육심리학
아동상담자가 아동상담 과정에서 아동발달 및 심리학적 지식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
[교육education심리학] 발달의 개념 및 발달 연구의 동향 (발달의 정의, 발달에 대한 주요 논...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인간발달에 대한 이론 - 인지적 발달 (Piaget의 인간발...
제2장 학습자의 발달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을 설명,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