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제1기 시적 상징화와 민족현실의 반영
-제2기 현실인식과 역사의식의 확대
-제3기 생명지향성과 영원주의
-제4기 실존적 삶의 인식과 형이상의 추구
-제5기 인간구원과 자유에의 길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제1기 시적 상징화와 민족현실의 반영
-제2기 현실인식과 역사의식의 확대
-제3기 생명지향성과 영원주의
-제4기 실존적 삶의 인식과 형이상의 추구
-제5기 인간구원과 자유에의 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작 가 연 보
1915년 평안남도 대동군 출생.
1931년 시 ‘나의 꿈’, ‘아들아 무서워 말라’를 <동광>에, ‘묵상’을 <조선중앙일보>에 발표.
1934년 일본 동경 와세다 제2고등원 입학.동경에서 극예술연구단체인 ‘동경학생예술좌’ 창립하고 첫 시집 <방가> 간행
1935년 서울에서 발행하는 <三四文學>에 동인.
1936년 와세다 제2고등원 졸업, 와세다 대학 문학부 영문과 입학, <創作> 동인.
1939년 와세다 대학 졸업.
1940년 단편집 <늪> 간행.
1957년 경희대 문디대 교수로 취임, 예술원 회원으로 선출.
1985년 <황순원 전집>이 문학과 지성사에서 완간.
1987년 제1회 인총상 문학부문 수상, 예술원 원로 회원에 추대.
2000년 사망
Ⅰ.서 론
‘칠순이 되었다. 앞으로도 작품을 쓸 의욕은 변함없이 갖고 있다. 하지만 작품이란 의욕만으로 되
는 것은 아니니, 작품다운 작품을 쓰지 않고서는 애기가 되지 않는다. 작품다운 작품을 쓰지 못 할
바에는 오히려 안 쓰는 편이 낫다는 작가적 양심이 그저 쓰고 싶다는 욕심 앞에 제발 무릎을 꿇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진정한 작가나 시인이 자기는 문예사조의 어느 주의를 신봉한다든가 무슨 주의자라고 자처하는
걸 나는 믿지 않는다. 그것은 예술가가 정말로 자신을 어떤 틀 속에 응색하게 가둘리 리가 없다는
걸 믿기 때문이다. 나도 한때 나 자신을 로맨티시스트라 부른 적이 있지만.’
-황순원의 –말과 삶과 자유 中-
☞ 황순원 소설작품에 대한 시기별 특징
- 제1기 시적 상징화와 민족현실의 반영
- 제2기 현실인식과 역사의식의 확대
- 제3기 생명지향성과 영원주의
- 제4기 실존적 삶의 인식과 형이상의 추구
- 제5기 인간구원과 자유에의 길
1915년 평안남도 대동군 출생.
1931년 시 ‘나의 꿈’, ‘아들아 무서워 말라’를 <동광>에, ‘묵상’을 <조선중앙일보>에 발표.
1934년 일본 동경 와세다 제2고등원 입학.동경에서 극예술연구단체인 ‘동경학생예술좌’ 창립하고 첫 시집 <방가> 간행
1935년 서울에서 발행하는 <三四文學>에 동인.
1936년 와세다 제2고등원 졸업, 와세다 대학 문학부 영문과 입학, <創作> 동인.
1939년 와세다 대학 졸업.
1940년 단편집 <늪> 간행.
1957년 경희대 문디대 교수로 취임, 예술원 회원으로 선출.
1985년 <황순원 전집>이 문학과 지성사에서 완간.
1987년 제1회 인총상 문학부문 수상, 예술원 원로 회원에 추대.
2000년 사망
Ⅰ.서 론
‘칠순이 되었다. 앞으로도 작품을 쓸 의욕은 변함없이 갖고 있다. 하지만 작품이란 의욕만으로 되
는 것은 아니니, 작품다운 작품을 쓰지 않고서는 애기가 되지 않는다. 작품다운 작품을 쓰지 못 할
바에는 오히려 안 쓰는 편이 낫다는 작가적 양심이 그저 쓰고 싶다는 욕심 앞에 제발 무릎을 꿇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진정한 작가나 시인이 자기는 문예사조의 어느 주의를 신봉한다든가 무슨 주의자라고 자처하는
걸 나는 믿지 않는다. 그것은 예술가가 정말로 자신을 어떤 틀 속에 응색하게 가둘리 리가 없다는
걸 믿기 때문이다. 나도 한때 나 자신을 로맨티시스트라 부른 적이 있지만.’
-황순원의 –말과 삶과 자유 中-
☞ 황순원 소설작품에 대한 시기별 특징
- 제1기 시적 상징화와 민족현실의 반영
- 제2기 현실인식과 역사의식의 확대
- 제3기 생명지향성과 영원주의
- 제4기 실존적 삶의 인식과 형이상의 추구
- 제5기 인간구원과 자유에의 길
추천자료
2012년 2학기 현대소설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국어 上 - 1. 읽기의 즐거움과 보람 (2) 그 여자네 집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무진기행)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윤흥길 장마
국어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윤홍길의 「장마」
국어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박완서 옥상의 민들레꽃을 중심으로
[국어교과서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윤홍길의 기억속의 들꽃을 중심으로 협동학습을 이...
서울 1964년 겨울을 통한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계획]
2015년 2학기 현대소설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2016년 하계계절시험 현대소설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작품에 드러난 아버지상과 가족원의 시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