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순원, 문학작품을 통한 자기증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순원, 문학작품을 통한 자기증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제1기 시적 상징화와 민족현실의 반영
-제2기 현실인식과 역사의식의 확대
-제3기 생명지향성과 영원주의
-제4기 실존적 삶의 인식과 형이상의 추구
-제5기 인간구원과 자유에의 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작 가 연 보
1915년 평안남도 대동군 출생.
1931년 시 ‘나의 꿈’, ‘아들아 무서워 말라’를 <동광>에, ‘묵상’을 <조선중앙일보>에 발표.
1934년 일본 동경 와세다 제2고등원 입학.동경에서 극예술연구단체인 ‘동경학생예술좌’ 창립하고 첫 시집 <방가> 간행
1935년 서울에서 발행하는 <三四文學>에 동인.
1936년 와세다 제2고등원 졸업, 와세다 대학 문학부 영문과 입학, <創作> 동인.
1939년 와세다 대학 졸업.
1940년 단편집 <늪> 간행.
1957년 경희대 문디대 교수로 취임, 예술원 회원으로 선출.
1985년 <황순원 전집>이 문학과 지성사에서 완간.
1987년 제1회 인총상 문학부문 수상, 예술원 원로 회원에 추대.
2000년 사망
Ⅰ.서 론
‘칠순이 되었다. 앞으로도 작품을 쓸 의욕은 변함없이 갖고 있다. 하지만 작품이란 의욕만으로 되
는 것은 아니니, 작품다운 작품을 쓰지 않고서는 애기가 되지 않는다. 작품다운 작품을 쓰지 못 할
바에는 오히려 안 쓰는 편이 낫다는 작가적 양심이 그저 쓰고 싶다는 욕심 앞에 제발 무릎을 꿇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진정한 작가나 시인이 자기는 문예사조의 어느 주의를 신봉한다든가 무슨 주의자라고 자처하는
걸 나는 믿지 않는다. 그것은 예술가가 정말로 자신을 어떤 틀 속에 응색하게 가둘리 리가 없다는
걸 믿기 때문이다. 나도 한때 나 자신을 로맨티시스트라 부른 적이 있지만.’
-황순원의 –말과 삶과 자유 中-
☞ 황순원 소설작품에 대한 시기별 특징
- 제1기 시적 상징화와 민족현실의 반영
- 제2기 현실인식과 역사의식의 확대
- 제3기 생명지향성과 영원주의
- 제4기 실존적 삶의 인식과 형이상의 추구
- 제5기 인간구원과 자유에의 길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5.13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64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