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와 기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치료와 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심 리 검 사
I. 심리검사의 정의
2. 심리검사의 분류
3. 심리검사의 특징
4. 심리검사의 실시
5. 임상적 해석의 일반론
6. 심리검사상의 윤리적 문제
제2장 투사법 검사에 대한 이해와 유의사항
I.투사법 검사의 이해
II.투사법검사의 종류
2.TAT(Thematic Apperception Test)
3. 문장완성검사(Sentence Complete Test: SCT)
4.HTP(House-Tree-Person)
5.동적가족화(Kinetic Family Drawing; KFD)
제 3장 인물화 성격검사
-오오도모 기준-
1.인물화 검사의 중요성과 타당성
2.인물화를 소재로 택하는 이유
3.검사실시 방법 및 지시
4. 오오도모의 인물화 성격검사 기준
5.각 요인의 상징적 의미
제4장 꼴라쥬 기법
1.꼴라쥬 기법
제 5장 동적가족화(KFD)의 성격
1.동적가족화
2.동적가족화의 발전과정
3.동적가족화의 장점
4.동적가족화(KFD) 실시방법
5. 동적가족화의 해석
제6장 9분할 통합회합법
Ⅰ. 9분할법이란?
1.그림 순서에 관한 고찰
2. 공간 축소의 영향에 관한 고찰
Ⅱ.방법
제7장 풍경구성법에 의한 미술치료
1. 풍경구성법의 실시방법
2.각 item의 상징과 의미
제8장 발테그(Wartegg)묘화 검사
제 9장 만다라와 미술치료
1.만다라의 의미
2.자기를 나타내는 만다라
3.만다라의 효과
4.만다라 제작 시에 지도자가 고려해야할 점
5.만다라의 색상
제 10장 PSCD에 의한 심리진단
1.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
2.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에 의한 부모자녀관계 진단
3. 실시 방법및 지시
4.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의 해석기준
1) 기 준
2) 건강하게 내재된 부모 자녀 관계
3) 불건강하게 내재된 부모 자녀 관계
제 11장 가족(집단)체계진단법
1.체계의 의미
2.체계의 특성
3.가족체게 진단방법
제12장 조소 carving and modeling
Ⅰ. 조소란?
2.소조홀동의 치료적 접근
2.표현 기법과 방법에 따른 분류
3.표현 형태에 따른 분류
4.조소의 표현요소
Ⅱ.조각
1.조각의 특징
2.조각에 쓰이는 재료
3.조각의 종류
Ⅲ. 소조
1. 소조의 특징
2.소조활동의 장점
3.소조의 재료에 의한 종류
4.제작 기법
5.재료
6.도구
Ⅳ.체험실습
제 13장 난화게임에 의한 유아심리진단
1.난화게임(Squiggle Drawing Game)이란?
3.난화게임의 실시방법
4.난화게임의 분석
제 14장 별과 파도검사(Star-Wave-Test:SWT)
1.발달과정
2.실시방법
3.특징
4.해석의 5단계
2)형식적인 공간구조
3)공간의 상징적인 사용법
4)물체의 상징
5)필적분석

본문내용

흥미, 병리적, 성적 행동
20
B
정신미발달
2
X
정신적 장애(기질적 정신병)
2
Y
신체적 장애(사지장애, 허약)
2
사례연구는 생략
제4장 꼴라쥬 기법
1.꼴라쥬 기법
꼴라쥬는 프랑스어로 꼬라쥬, 꼬라지로 불리며 풀로 붙인다는 의미 이다.
꼴라쥬는 재질감이 서로 다양한 평면재를 붙여 실재의 재질감을 회화적 방법으로 느끼게 하는 그림으로 색종이, 잡지, 합판, 비닐, 사포, 철사, 천, 실, 신문지, 골판지, 나뭇잎, 곡식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기도 한다.
꼴라쥬를 이용한 미술치료의 성격
1)이 기법은 모래상자 치료자들이 많이 애용해 왔다.
2)직감이나 감각 등의 비 합리적 기능을 이용한 현대적인 치료기법이다.
3)자신을 개방시키고 심상을 개발한다.
4)자신의 심상을 발견 혹은 흥미있는 대상을 분명히 해준다.
5)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6)사진이나 그림만을 이용하여(포토 몽타쥬 형식)자신의 감정을 쉽게 과거, 현재, 미래/ 색종이 띠로 나타냄
7)재료가 충분해야 표현의 제한이 적다. 모래, 쌀 등곡식, 연탄재이용
꼴라쥬의 실시방법
1)개인치료와 집단치료(가족치료, 부부치료 등)에 모두 상용할 수 있다.
2)주제를 주거나 자유화 형식 모두를 취할 수 있다.
3)실시방법
①치료사가 옆에서 도와주는 법
②합동제작법 : 치료사와 환자가 함께 제작해 나가는 방법
③대화없이 각자 실시하는 법
④이야기를 하면서 각자 실시하는 법
4)순서: 구상→밑그림→붙이기→정리→건조
5)시간: 5~50분 정도, 나머지 시간은 그림에 대한 이야기 교환하기
6)재료: 색종이, 잡지, 팜플렛, 신문, 가위, 풀, 합판, 마분지 등
7)기타 : 뾰족한 가위는 피하고 끝이 둥근 도구를 사용하고 종이를 찢어 사용하거 나 그림 장면이 많은 것이 좋다.
꼴라쥬로 미술치료 할 수 있는 아이디어
①살아온 인생 반성
②선물 주고, 받고 싶은 것
③미래에 5년 후 혹은 10년 후에는 뭘 하고 싶은가
④연수가 끝나고 나면 무엇을 하고 싶은가
⑤사진을 순서대로 붙여놓고 이야기 해도 좋다.
⑥자기의 장점, 단점
⑦아무 그림이나 몇 장 붙여놓고 심상의 얘기를 해도 좋다. (역할교환법)
꼴라쥬의 장점
①환자의 관심과 흥미를 분명히 해줌
②사진이나 그림만은 이용하여서도 자신의 감정을 쉽게 나타낼 수 있음
③부적절한 감정 및 욕구불만 등의 내적 욕구표현에 있어서도 많은 효과가 있고 퇴 행이 잘 표현된다.
④작품을 만들고 이야기를 해나가는 과정 자체가 치료의 효과를 거둘수 있음
⑤그림들의 내용, 화면의 색체, 구도, 이야기내용 등을 통해 환자를 이해하고, 치료 를 진행시켜 나갈 수 있다.
⑥유년기의 정서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통제를 적게 받아 환자의 방어를 감소 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⑦통제를 적게 받는다.
꼴라쥬의 활동을 보면 선택성과 회피성이 나타나므로 작품을 보고 내담자의 내면을 알게 되며 그림을 붙여나가는 과정중에 심리적 퇴행이 일어남
내담자의 통찰, 학습, 성장으로 유도 되며 매체의 선택에서 두 가지 중요한 고려 점은 촉진과 통제이다. 자발성은 촉진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작업 공간과 함께 다양한 색상과 충분한 크기의 종이와 점토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찢어지는 신문지나 잘 부서지는 분필과 같은 좌절을 유발시키는 재료들은 지양되어야 하며, 내담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즉, 꼴라쥬나 조소가 주관적인 기억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 5장 동적가족화(KFD)의 성격
1.동적가족화
동적가족화(KFD:Kinetic Family Drawing)는 가족화(Drawing A family)에 움직임을 첨가한 일종의 투사화로 Burns & Kaufman(1970)에 의해 발전되었다.
가족의 역동성을 파악하며 연령순이나 사회적 지위 순으로 그림을 그리는 가족화의 단점을 보완하여 가족구성원에 대한 감정이나 태도를 투사하게 된다.
정신분석학과 장이론, 지각의 선택성 등과 같은 이론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 주체적, 선택적으로 지각하는 주관적 심리적 환경으로서의 가족인지가 적용되는 것이다.
첫째, 동적가족화는 과제화 그림검사로 서 주제가 구체적이다.
둘째, 동적가족화는 비언어적인 투사검사이다.
셋째, 동적가족화는 인물을 표현하는 것이다.
넷째, 동적가족화는 단일의 인물 대신에 가족을 그리게 함으로써 부모나 가족 구성원간의 관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심리검사 이다.
2.동적가족화의 발전과정
동적가족화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현재의 동적가족화로 발전 되었는다.
19C후반: 아동의 성격발달 및 지각과 역동성을 평가하기 위해 그림의 사용이 연구
Goodenough(1926): 인물화에 의한 지능검사 개발, 아동의 인물화에는 아동의 성장에 따른 지적요인이 내제해 있음을 믿었고, 그림을 통해 아동의 지능발달은 반영하는지를 입증하였고, 전신연령에 따른 그림 점수 척도를 개발 하였다.
Burk(1948)의 HTP 검사와 Machover(1949)의 인물화성격검사
Hulse(1951): 가족화 개발단일 인물화 대신 가족을 그리게 gkadmfhTJ 아동이 자기가족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가족들이 djEJgrp 상호작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술 있다고 하였다.
Kwiatkowska(1962):가족미술치료법을 창시, 가족전원을 동시에 참여시켜 언어를 개업 시키지 않고 공동미술과제를 수행하게 하여 가족의 체계를 진단하였다.
Burns와 Kaufman(1970): 동적가족화 검사개발-Hulse의 가족화가 초상화와 같은 정적인 모습을 나타낸다는 것에 가족화에 운동성 요인을 첨가하여 가족간의 상호작용요인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3.동적가족화의 장점
(1) 동적가족화는 가족에 대한 심상의 표출을 자극한다.
(2)검사시 피험자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3)대화를 통해 정보를 얻기 어려울 경우, 그림이라는 매개체는 간접적으로 피험자의 정신셰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4)동적가족화는 비언어적인 방법이므로 의식의 통제를 적게 받고 방어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5)언어가 일차원적인 의사소통 방식인데 비하여 그림에서는 공간 속에서의 연관성들이 발생하므로 경험을 도시에 나타낼 수 이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08.05.21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