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ETCS(자동요금징수시스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개요

Ⅱ. ETCS 구성

Ⅲ. ETCS 도입 효과

Ⅳ. 현 우리나라에서의 ETCS

Ⅴ. ETCS의 특허동향

Ⅵ. 결론

본문내용

ETCS) 시장이 올해 우리나라 한국도로공사에서는 465억 규모의 ‘고속도로 ETCS' 프로젝트[일명 하이패스 시스템]로 진행 중이다. 한국도로공사는 사업규모가 크고, 작업내용 및 지역범위도 방대한 만큼 단일 업체를 선정하는 것보다는 몇 개 구역으로 나눠 사업자를 선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판단 하에 전체 사업을 6개 지역본부별로 나눠 발주하였다. 그 결과, 지난 3월 1단계 사업 수주전이 삼성SDS·서울통신기술 컨소시엄과 포스데이타·DB정보통신 컨소시엄 간의 양분 구도로 일단락 나서 현재 진행 중에 있다.
입찰에서 사업자가 선정됨에 따라 한국도로공사는 오는 10월 말까지 전국 125개 고속도로 영업소의 282개 차로에 적외선통신(IR) 기술과 무선주파수(RF) 기술을 동시에 적용한 듀얼방식 ETCS를 구축할 예정이다.
도로공사는 이번 1단계 사업과 비슷한 규모의 2단계 사업도 발주, 빠른 기간 안에 ETCS 전국 서비스 체계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 하이패스 = 차량이 고속도로 요금소를 통과할 때 차 안의 OBU 단말기와 요금소에 설치 된 하이패스 전용차로 시스템이 차량 통과 시 차량의 OBU와 하이패스 차선에 설치된 안테나와 전파 또는 적외선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시스템이다. 현재 성남 판교 등 경기지역 10여개 톨게이트에 설치돼 있다. 일반 차로보다 4배가량 높은 시간당 1800대의 차량 처리가 가능하다.
" 회사가 보유한 첨단 IT기술과 U-City 사업추진 경험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U-City서비스 모델을 구축하여 포항을 세계적인 U-City 벤치마킹 도시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U-City사업 가운데 포스데이타와 포항시가 손잡고 U-City 구축에 본격 나선다. 이는 'U-City 포항' 구축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포항시는 이 사업을 통해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적절하게 융합시켜 철강도시에서 첨단 과학도시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포스데이타와 포항시는 'U-City 추진협의회'를 구성, 올해 상반기까지 U-City 구축을 위한 정보화 전략계획과 비전을 수립하고 하반기부터 시범사업을 발굴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포스데이타는 특화된 'U-City 포항'을구축하기 위해 유비쿼터스의 핵심기술인 와이브로를 비롯하여 전자통행료 징수시스템(ETCS), 지능형교통시스템(ITS) 등 회사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Ⅴ. ETCS의 특허동향
1. 국가별 출원
[그림11]에서 보는것과 같이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ETCS :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기술은 일본과 한국이 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 연도별 국가 출원건수
[그림12]에서 보는것과 같이 초기 1980년대 이전에는 미국에서 간헐적으로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1990년대초를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출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도 자동차 보유대수의 증가로 인한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0년 중반이후에 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을 알수 있다. 또한 심각한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당분간 그 출원이 꾸준히 증가할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2002년 이후에 출원건수가 감소되는 것은 미공개건이 다수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 국가별 출원인 점유율 분포
(1) 국내 출원인 점유율 분포
[그림13]은 한국의 주요 출원인 점유율 분포 및 출원건수를 나타낸다. 본 그림은 기타를 제외하고 모두 6개사의 주요 출원인을 보이고 있는데 삼성이 2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고 기타 출원(45%)에서 알 수 있듯이 주요 6개사 외 여러 기업에서 관련분야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일본의 주요 출원인 점유율 분포
[그림14]는 일본의 주요 출원인 점유율 분포 및 출원건수를 나타낸다. 본 그림은 기타를 제외하고 MITSUBISHI가 전체의 약30%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TOSHIBA(19%), MATSUSHITA(8%), HITACHI(6%)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지만 특정 기업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기업에서 비슷하게 출원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미국의 주요 출원인 분포
미국의 출원 분포의 경우는 기타가 전체 출원의 절반 이상인 56%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로는 Mitsubishi(13%),Toshiba(10%),Denso(8%) 순으로 대부분 일본 기업에서 출원한
것을 알수 있다.
5. 유럽의 주요 출원인 분포
유럽의 주요 출원인 분포도 기타가 전체 출원의 절반이상(6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TOYOTA가 12%를 점유 하고 있다.
Ⅵ. 결론
ETCS는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ITS의 기본 구성요소로서 요금징수과정에
서 발생하는 교통정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ETCS 시장은 교통
혼잡도와 교통망 밀집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교통 혼잡도가 심각한 국가들이 초기
ETCS 시장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의 ETCS 서비스는 유럽, 미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 세계 여러 국가들이 도입
하여 운영 중이고, 유럽에서는 CEN을 중심으로 5.8GHz대 수동방식이 표준화되어 있어 통합적인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이탈리아, 노르웨이,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
다수의 국가들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도 능동형과 수동형 방식이 공존하
고 있다.
현재 구현되는 ETCS는 능동형 및 수동형 DSRC를 이용하고 있으며, DSRC를 통한 무선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의 단순한 요금징수 기능뿐만 아니라 향후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을 위한 응용서비스 등 ITS의 주요 구성요소로서의 다양한 활용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자료]
- http://kidbs.itfind.or.kr/ : 정보통신연구진흥회
- http://www.rapa.or.kr/ : 한국전파진흥협회
- http://www.tta.or.kr/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저널)
- http://www.dt.co.kr/ : 디지털타임즈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5.2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