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버스전용차로의 유형
2. 버스전용차로의 운영 방안
3. 버스전용차로 사례 및 효과
4. 버스전용차로의 설치기준 및 수송용량
2. 버스전용차로의 운영 방안
3. 버스전용차로 사례 및 효과
4. 버스전용차로의 설치기준 및 수송용량
본문내용
0-40 대/시, 승차인원 1,200 - 1,600 인/시 이상일 때 설치가 가능하고, 역류전용차로는 버스교통량 40 -60대/시, 승차인원 1,600 -2,400 인/시이상이고, 중앙버스전용차로는 버스교통량이 60-90대/시, 승차인원 2,400 - 3,600인/시 가 될 때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영국의 TRRL의 기준은 버스교통량이 50대/시이상이고, 승차인원이 2,000 인/시이상인 경우로 보고되고 있다.
※ 국내시설을 위한 기준
전절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외국의 설치기준을 국내에 적용하면 우리나라의 대도시의 간선도로는 거의 대부분이 버스전용차로 설치대상이 된다. 그러나 아직 가로의 위계가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교통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사회적으로 버스에 대한 우선권에 익숙하지 못한 현실을 감안할 때 동일한 적용은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버스의 통행량이 100대/시 이상이면 전용차선시행을 검토하고 150대/시 이상이면 도로여건이 허용하는 한 적극적으로 시행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연구되어 있다 교통개발연구원, 서울시 버스전용차로 운영방안 연구, 1991
.
<표 2-7> 전용차로 설치기준(안)
구 분(편도)
버스통행량(승객수)
비 고
2차선도로
50대/시 이상
(1,500인/시 이상)
가로변 전용차선 고려
3차선도로
60대/시 이상
(1,800인/시 이상)
가로변저용차선 고려
100대/시 이상
(3,000인/시 이상)
가로변전용차선 고려
역류전용차선제공가능
150대/시 이상
(4,500인/시 이상)
중앙전용차선제공 가능
정류장추월차선제공 가능
4차선이상도로
100대/시 이상
(3,000인/시 이상)
가로변용차선설치 가능
정류장추월차선설치 가능
150대/시 이상
(4,500인/시 이상)
중앙전용차선 설치 가능
정류장에서 추월차선 설치 가능
2. 버스전용차로의 용량
버스전용차로의 용량은 차량용량과 승객용량으로 구분한다. 차량용량은 차량이 흐름의 방해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이론적인 버스의 용량으로 미국 TRB의 '85 HCM에 의하면 차선당 1,400대/시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버스용량은 실제용량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미국에서의 최대 버스통행량을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진 뉴욕 링클터널의 버스전용차로는 약 700~750대/시 정도가 통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자료는 버스전용차로상에서 정차 없이 통행하게 될 때의 경우이며 중간에 버스정류장이 있는 경우는 버스용량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버스전용차선의 용량은 적절한 보완정책과 효과적인 운용을 통해 향상될 수 있는데 Comonor제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도시부에서도 버스의 차로당 용량을 250-450대/시까지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버스와 승용차가 함께 운행하는 도로의 승객용량은 차량용량보다 추정하기는 매우 복잡하고 정밀도도 떨어진다. 이는 도로상의 버스, 승용차의 구성비와 각 수단에 대한 재차인원에 따라 승객의 용량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버스전용차선의 시행여부와 시행형태, 주변환경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버스가 일반차량과 혼재되어 운행될 경우 도로의 이론적인 승객용량은 그 도로를 통과하는 버스에 의해 수송될 수 있는 승객의 수와 나머지 도로공간에서 승용차에 의해 수송될 수 있는 승객의 수를 합한 것이다. 버스정류장이나 교차로에 의해 통행의 장해를 젼혀받지 않고 운행될 경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식(2.2)와 같다.
............................................ 식(2.2)
여기서, 도로 1개 차로의 승객용량(인/시/차선)
차로의 승용차기준 차량용량(pcuphpl)
버스의 승용차환산계수
: 차로당 버스교통량(대/시/차선)
버스의 평균승차인원
승용차의 평균승차인원
버스전용차로제가 시행될 경우의 버스전용차로의 승객수송용량은 (차로당승객용량)×평균재차인원이 된다. <표 2-8>와 <표 2-9>는 외국 및 국내도로에서의 수송능력의 사례를 나타낸 것으로 브라질의 포토알레그레의 Assis Brasil 교통축의 경우 중앙버스전용차로로의 경우 승객용량은 26,000인/시로 나타났으며, 적정 수송능력은 32,000인/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2> 외국의 버스전용차로 수송용량 사례 (단위 : 인/시)
구 분
실시구간
버스교통량
(첨두방향의 1시간)
5분통행량에 의한 환산치
승객용량
(실측치)
적정수송능력
브라질 포토알레그레
Assis Brasil
Farrapos
290-330
290-380
430
470
26,100
17,500
32,000
39,000
상파울로
9 DE JULHO
AV Cristino
Machado
230
220
408
300
20,300
14,500
23,000
아이보리코스트
(Abidjan)
Blvd de la
Republique
205
330
19,500
터어키
(ISTANBUL)
TAKSIM
170
265
10,700
한편 국내 서울의 경우는 34,000~44,000인/시로 외국의 수송량보다 높게 제시되어있다. 이러한 이유는 서울시의 첨두시 버스의 재차인원이 정원의 200%이상을 초과한다는 점과 주요도로의 버스교통량이 450대/시 까지 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수송용량은 서비스수준이 낮게 제공되는 현상황하에서이며 버스전용차로의 시행과 더불어 버스의 서비스수준을 향상시킨다는 전제하에 수송용량을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현재 지하철의 편도 시간당 승객의 수송량이 60,000인/시/방향인 것을 감안한다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표 2> 국내 실시사례에 의한 버스전용차로의 수송능력
교 통 축
(통행구간)
첨두시간버스
통행량(대/시)
승객수송용량
(인/시/차선)
최대수송용량
(인/시/차선)
비 고
완 산 로
400-450
34,000-38,250
44,000-49,500
버스전용차로의 용량 부족
한 강 로
350-400
29,750-34,000
38,500-44,000
시흥대로
250-350
21,250-29,750
27,500-38,500
강남대로
150-290
12,750-24,650
16,500-31,900
※ 국내시설을 위한 기준
전절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외국의 설치기준을 국내에 적용하면 우리나라의 대도시의 간선도로는 거의 대부분이 버스전용차로 설치대상이 된다. 그러나 아직 가로의 위계가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교통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사회적으로 버스에 대한 우선권에 익숙하지 못한 현실을 감안할 때 동일한 적용은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버스의 통행량이 100대/시 이상이면 전용차선시행을 검토하고 150대/시 이상이면 도로여건이 허용하는 한 적극적으로 시행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연구되어 있다 교통개발연구원, 서울시 버스전용차로 운영방안 연구, 1991
.
<표 2-7> 전용차로 설치기준(안)
구 분(편도)
버스통행량(승객수)
비 고
2차선도로
50대/시 이상
(1,500인/시 이상)
가로변 전용차선 고려
3차선도로
60대/시 이상
(1,800인/시 이상)
가로변저용차선 고려
100대/시 이상
(3,000인/시 이상)
가로변전용차선 고려
역류전용차선제공가능
150대/시 이상
(4,500인/시 이상)
중앙전용차선제공 가능
정류장추월차선제공 가능
4차선이상도로
100대/시 이상
(3,000인/시 이상)
가로변용차선설치 가능
정류장추월차선설치 가능
150대/시 이상
(4,500인/시 이상)
중앙전용차선 설치 가능
정류장에서 추월차선 설치 가능
2. 버스전용차로의 용량
버스전용차로의 용량은 차량용량과 승객용량으로 구분한다. 차량용량은 차량이 흐름의 방해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이론적인 버스의 용량으로 미국 TRB의 '85 HCM에 의하면 차선당 1,400대/시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버스용량은 실제용량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미국에서의 최대 버스통행량을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진 뉴욕 링클터널의 버스전용차로는 약 700~750대/시 정도가 통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자료는 버스전용차로상에서 정차 없이 통행하게 될 때의 경우이며 중간에 버스정류장이 있는 경우는 버스용량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버스전용차선의 용량은 적절한 보완정책과 효과적인 운용을 통해 향상될 수 있는데 Comonor제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도시부에서도 버스의 차로당 용량을 250-450대/시까지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버스와 승용차가 함께 운행하는 도로의 승객용량은 차량용량보다 추정하기는 매우 복잡하고 정밀도도 떨어진다. 이는 도로상의 버스, 승용차의 구성비와 각 수단에 대한 재차인원에 따라 승객의 용량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버스전용차선의 시행여부와 시행형태, 주변환경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버스가 일반차량과 혼재되어 운행될 경우 도로의 이론적인 승객용량은 그 도로를 통과하는 버스에 의해 수송될 수 있는 승객의 수와 나머지 도로공간에서 승용차에 의해 수송될 수 있는 승객의 수를 합한 것이다. 버스정류장이나 교차로에 의해 통행의 장해를 젼혀받지 않고 운행될 경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식(2.2)와 같다.
............................................ 식(2.2)
여기서, 도로 1개 차로의 승객용량(인/시/차선)
차로의 승용차기준 차량용량(pcuphpl)
버스의 승용차환산계수
: 차로당 버스교통량(대/시/차선)
버스의 평균승차인원
승용차의 평균승차인원
버스전용차로제가 시행될 경우의 버스전용차로의 승객수송용량은 (차로당승객용량)×평균재차인원이 된다. <표 2-8>와 <표 2-9>는 외국 및 국내도로에서의 수송능력의 사례를 나타낸 것으로 브라질의 포토알레그레의 Assis Brasil 교통축의 경우 중앙버스전용차로로의 경우 승객용량은 26,000인/시로 나타났으며, 적정 수송능력은 32,000인/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2> 외국의 버스전용차로 수송용량 사례 (단위 : 인/시)
구 분
실시구간
버스교통량
(첨두방향의 1시간)
5분통행량에 의한 환산치
승객용량
(실측치)
적정수송능력
브라질 포토알레그레
Assis Brasil
Farrapos
290-330
290-380
430
470
26,100
17,500
32,000
39,000
상파울로
9 DE JULHO
AV Cristino
Machado
230
220
408
300
20,300
14,500
23,000
아이보리코스트
(Abidjan)
Blvd de la
Republique
205
330
19,500
터어키
(ISTANBUL)
TAKSIM
170
265
10,700
한편 국내 서울의 경우는 34,000~44,000인/시로 외국의 수송량보다 높게 제시되어있다. 이러한 이유는 서울시의 첨두시 버스의 재차인원이 정원의 200%이상을 초과한다는 점과 주요도로의 버스교통량이 450대/시 까지 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수송용량은 서비스수준이 낮게 제공되는 현상황하에서이며 버스전용차로의 시행과 더불어 버스의 서비스수준을 향상시킨다는 전제하에 수송용량을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현재 지하철의 편도 시간당 승객의 수송량이 60,000인/시/방향인 것을 감안한다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표 2> 국내 실시사례에 의한 버스전용차로의 수송능력
교 통 축
(통행구간)
첨두시간버스
통행량(대/시)
승객수송용량
(인/시/차선)
최대수송용량
(인/시/차선)
비 고
완 산 로
400-450
34,000-38,250
44,000-49,500
버스전용차로의 용량 부족
한 강 로
350-400
29,750-34,000
38,500-44,000
시흥대로
250-350
21,250-29,750
27,500-38,500
강남대로
150-290
12,750-24,650
16,500-3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