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구려의 미천왕(을불)이 즉위 이전에 소금장수로 생계유지) 신라의 경우 시사(市肆)와 시전(市典)을 두기도 하였다.
4) 조세제도
고구려 : 수취 대상자를 人과 遊人으로 구분(『수서』 고구려전)
조(租) - 3등호제에 따라 상호 1석, 차호 7두, 하호 5두를 부과, 세(稅) - 베 5필과 곡식 5석으로 세 의 비중이 높았음. 유인의 경우 3년 마다 세로 10명이 세포 1필 납부
백제와 신라 -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고 租(농산물 수취), 調(가내수공업품이나 각 지방의 특산 물), 力役이 존재했을 것으로 보임(고이왕 15년 백성들이 굶주리게 되자 1년의 조와 조 면제한 사례 있음)
- 力役은 국가나 지방관청에 동원되어 무상으로 노역하는 요역과 군역으로 구분, 『삼국사기』 백제본 기에 성곽궁실제단사대고분다리제언의 축조 등에 역역을 동원한 기사 보임. 신라의 경우 삼년산성 수리에 2천명의 丁夫가 차출되었고, 남산에 신성 축조에, 영천에 청제를 쌓을 때도 7천명의 농민차 출, 삼국의 부세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역역이었다.
- 군역은 삼국간의 전쟁이 장기간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반민에게 상당한 압박이었음(신라 진평왕 때 의 소년 가실이야기)
4) 조세제도
고구려 : 수취 대상자를 人과 遊人으로 구분(『수서』 고구려전)
조(租) - 3등호제에 따라 상호 1석, 차호 7두, 하호 5두를 부과, 세(稅) - 베 5필과 곡식 5석으로 세 의 비중이 높았음. 유인의 경우 3년 마다 세로 10명이 세포 1필 납부
백제와 신라 -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고 租(농산물 수취), 調(가내수공업품이나 각 지방의 특산 물), 力役이 존재했을 것으로 보임(고이왕 15년 백성들이 굶주리게 되자 1년의 조와 조 면제한 사례 있음)
- 力役은 국가나 지방관청에 동원되어 무상으로 노역하는 요역과 군역으로 구분, 『삼국사기』 백제본 기에 성곽궁실제단사대고분다리제언의 축조 등에 역역을 동원한 기사 보임. 신라의 경우 삼년산성 수리에 2천명의 丁夫가 차출되었고, 남산에 신성 축조에, 영천에 청제를 쌓을 때도 7천명의 농민차 출, 삼국의 부세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역역이었다.
- 군역은 삼국간의 전쟁이 장기간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반민에게 상당한 압박이었음(신라 진평왕 때 의 소년 가실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