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Karl Heinrich Marx(1818 ~ 1883)의 사회학적 관점.
※ Max Weber(1864 ~ 1920)의 사회학적 관점.
※ Emile Durkheim(1857 ~ 1917)의 사회학적 관점.
※ 마르크스, 베버, 뒤르케임 사회학의 특징 비교.
※ Max Weber(1864 ~ 1920)의 사회학적 관점.
※ Emile Durkheim(1857 ~ 1917)의 사회학적 관점.
※ 마르크스, 베버, 뒤르케임 사회학의 특징 비교.
본문내용
그들의 학문적 관심을 보면 마르크스는 물질로 대표되는 ‘자본주의’를, 베버는 ‘합리성’을, 뒤르케임은 ‘사회통합’을 강조한다. 자본주의는 사회구조적 측면으로, 합리성은 사회 개인적인 행위로, 사회통합은 사회적 맥락으로 설명 할 수 있다. 방법론에 있어서 마르크스는 변증법과 사적 유물론을, 베버는 가치중립(=가치자유)과 이해사회학, 이념형, 객관성, 감정이입을, 뒤르케임은 구조성, 외재성을 들 수 있다. 역사변동에 있어서 마르크스는 물질(경제적 조건)을, 베버는 관념(가치 세계)을, 뒤르케임은 통합(밀도)를 드는데, 여기서 마르크스는 물질은 관념에 영향을 미치지만 관념은 물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반면에 베버는 물질과 관념이 서로 쌍방향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는데, 이를 상호 관련성으로 설명 할 수 있다.
사회병리현상으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마르크스는 소외, 베버는 쇠우리, 뒤르케임은 아노미라고 하였다. 여기서 ‘아노미’(Anomie)는 상실의 의미를 포함하며, 도덕적 통제력의 와해라고 할 수 있겠다. 규범의 포화상태와 결핍상태를 모두 아우르는 진공상태를 뜻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문제의 해결점으로 마르크스는 계급 없는 사회를, 베버는 카리스마, 뒤르케임은 직업집단의 등장과 도덕적 개인주의를 든다.
이상으로 마르크스와 베버, 뒤르케임의 학문적 특징을 열거, 비교하였다. 그들의 사상은 많은 사회학자들뿐만 아니라 심리학자, 철학자, 교육학자 등 여러 학문의 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우리가 이 시대를 살 수 있는 것은 저들의 학문적 성과라 해도 과언이 아님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사회병리현상으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마르크스는 소외, 베버는 쇠우리, 뒤르케임은 아노미라고 하였다. 여기서 ‘아노미’(Anomie)는 상실의 의미를 포함하며, 도덕적 통제력의 와해라고 할 수 있겠다. 규범의 포화상태와 결핍상태를 모두 아우르는 진공상태를 뜻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문제의 해결점으로 마르크스는 계급 없는 사회를, 베버는 카리스마, 뒤르케임은 직업집단의 등장과 도덕적 개인주의를 든다.
이상으로 마르크스와 베버, 뒤르케임의 학문적 특징을 열거, 비교하였다. 그들의 사상은 많은 사회학자들뿐만 아니라 심리학자, 철학자, 교육학자 등 여러 학문의 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우리가 이 시대를 살 수 있는 것은 저들의 학문적 성과라 해도 과언이 아님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분업론’
[교육학]교육의 사회학적 기초와 평생교육
[사회학과]에밀 뒤르케임(뒤르껭)의 이론
교육의 제도화 과정 - 교육사회학
뒤르케임
마르크스의 도시론-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 구축되는 장으로서 도시
신마르크스주의의 배경과 사상
신마르크스주의와 사회복지 및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우리사회에서 청소년과 노인층의 자살이 급증하는 이유를 뒤르케임의 자살론을 응용하여 설명...
마르크스(맑스)의 자본주의와 좌우파
[책 요약] 부르디외 사회학 입문 (저자 파트리스 보네위츠)
[교육과 사회사상 敎育 社會思想] 지식과 이데올로기 - 계몽주의 사상에서의 지식의 이데올로...
게오르그 짐멜(독일철학자, 사회학자, 형식사회학) PPT, 프레젠테이션
★ 독후감 - 예술사회학 ( 순수예술에서 대중예술까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