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가 소개
2. 최영미의 시 세계
(1) 과감하고 솔직한 시법
(2) 「되돌아보기」의 미학
3. <서른, 잔치는 끝났다>
(1) 반어적 장치
(2) 색채대비를 통한 회화적 이미지
4. 시대적 배경 - 목표를 상실한 혼돈의 문학
2. 최영미의 시 세계
(1) 과감하고 솔직한 시법
(2) 「되돌아보기」의 미학
3. <서른, 잔치는 끝났다>
(1) 반어적 장치
(2) 색채대비를 통한 회화적 이미지
4. 시대적 배경 - 목표를 상실한 혼돈의 문학
본문내용
는 달군 후라이팬 같던 지난 시대를 돌아보는 분위기로 흐르기 시작했다. 최영미의 <서른, 잔치는 끝났다>는 이러한 시대 분위기를 타고 널리 퍼지기 시작했으며, 곧 그러한 분위기를 조장하는 영향력으로 나서게 되기도 했다.
최영미 자신이 ‘불덩이의 시대’라고 칭할 만큼 1980년대는 그 어느 때보다 나라 안팎에서 역사적 전환과 변화를 가져온 시기였다. 1980년대 국가 내에서의 큰 변화는 갑자기 10.26으로 유신체제가 무너진 데에서 나온 민중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80년 5월 18일 광주에서 시작한 민중들의 항쟁은 이후 1987년 6월 민주항쟁, 학생운동, 노동자 대 투쟁 등으로 이어진다. 그에 대한 정부의 무력진압과 탄압은 70년대 유신정부 때에 못지않게 행해졌다. 이런 시대적 아픔을 담아 1990년대에 내놓은 첫 시집은 그 시대를 같이 겪어 온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베스트셀러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된다. 또한 최영미가 첫 시집을 내 놓은 시기는 우리 민족 문학이 30년만에 변혁운동에서 이탈, 하강 국면을 맞은 공백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때문에 그의 시는 ‘새로움’ 또는 ‘도발적’이라는 시각에 맞춰져 평가되었다.
최영미 자신이 ‘불덩이의 시대’라고 칭할 만큼 1980년대는 그 어느 때보다 나라 안팎에서 역사적 전환과 변화를 가져온 시기였다. 1980년대 국가 내에서의 큰 변화는 갑자기 10.26으로 유신체제가 무너진 데에서 나온 민중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80년 5월 18일 광주에서 시작한 민중들의 항쟁은 이후 1987년 6월 민주항쟁, 학생운동, 노동자 대 투쟁 등으로 이어진다. 그에 대한 정부의 무력진압과 탄압은 70년대 유신정부 때에 못지않게 행해졌다. 이런 시대적 아픔을 담아 1990년대에 내놓은 첫 시집은 그 시대를 같이 겪어 온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베스트셀러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된다. 또한 최영미가 첫 시집을 내 놓은 시기는 우리 민족 문학이 30년만에 변혁운동에서 이탈, 하강 국면을 맞은 공백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때문에 그의 시는 ‘새로움’ 또는 ‘도발적’이라는 시각에 맞춰져 평가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