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학 (실제로 소용이 되는 학문)
2. 실학의 발생 배경
3. 실학사상의 특징
4. 실학자들의 관심분야
5. 실학의 흐름
6. 실학사상과 유형
7. 실학사상가
2. 실학의 발생 배경
3. 실학사상의 특징
4. 실학자들의 관심분야
5. 실학의 흐름
6. 실학사상과 유형
7. 실학사상가
본문내용
ⓛ 공통된 주장
㉠ 농민 중심의 농촌 문제 해결 방안 제시
㉡ 토지 제도의 개혁과 자영농 육성을 중시
② 중농 학파의 실학자 : 유형원, 이익, 정약용
(2) 유형원(반계, 1622∼1673)
① 평생 학문 연구에 전념 : 벼슬을 하지 않고 일생 동안 농촌에 묻혀 살며 농촌 사회
현실을 스스로 체험
② 저서 : 반계수록③ 농촌 사회와 민생에 관계되는 여러 제도(토지 제도, 과거 제도, 균역 제도 등)에 대 해 비판 개혁을 주장
(3) 이익(성호, 1681∼1763)
① 농민의 편에 서서 개혁 방법 제시 : 일생 동안 학문에 힘쓰며 당시 사회의 그릇된
점을 날카롭게 비판
(4)정약용(다산, 1762∼1836)
① 18 년간 전라도 강진에서 유배 생활
② 농촌 사회의 현실을 직접 체험 : 사회 현실의 잘못된 점 지적, 비판
③ 토지 제도 개혁 주장 : 여전제, 정전제
④ 중농 학파의 실학 집대성
㉠ 최고의 실학자 : 학문 활동이 정치, 경제, 사회에서부터 과학, 의학, 종교, 유학에
이르기까지 분야가 다양함. 500권이 넘는 많은 저서를 남김
㉡ 경세유표 : 중앙의 정치 제도에 관한 견해 제시
㉢ 목민심서 : 지방 행정에 대한 개혁 주장 토지 제도 개혁론 정약용의 양반 비판
(5) 중농 학파의 학문 경향
① 농촌과 농민 중심 : 농촌 문제 해결에 관심 집중→ 농민 중심으로 해결 방안 생각→ 토 지제도 개혁안 제시함
② 농업기술발달에 관심 :농업 기술 발달, 농기구 개량☞ 중농 학파의 실학자들은 농촌 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집중하고 토지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3. 중상 학파(북학파)
(1) 학파의 성립
① 한양의 도시적 분위기에서 성장한 사람들이 중심 ↔ 일생을 농촌에서 보낸 중농학파와 대비됨
② 주장 : 상공업 진흥론, 기술 혁신, 청 문물 수용
③ 중상 학파의 실학자 : 유수원, 헝대용, 박지원, 박제가 등이 특히 유명함☞ 북학파-중상 학파의 실학자들이 청나라의 발달된 문물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해서 이들을 북학파라불림.
(2) 유수원
① 중상 학파의 선구자
② 저서 : 우서
③ 상공업을 진흥시켜 나라 살림을 튼튼히 할 것을 주장
(3) 홍대용
① 중국에 다녀와 새로운 학문 소개
② 기술 혁신, 신분제 철폐, 성리학 극복 등 주장
(4) 박지원
① 청나라 문물의 수용을 주장
② 저서 : 열하일기
③ 청의 문물을 소개하고, 수레와 선박의 이용, 화폐의 사용 등을 강조, 특히 양반 사회 의 폐단을 신랄하게 비판
(5) 박제가
① 여러 차례 청나라를 왕래하며 새로운 문물 접함
② 저서 : 북학의
③ 청과의 통상 확대, 상공업 진흥 등 주장
☞ 중상 학파의 실학자들은 상공업 진흥, 기술 개발, 청의 문물 수용 등을 주장하였다.
4. 국학 연구의 발달
① 연구의 배경 : 사회 현실에 대한 실학자들의 관심과 비판의식→ 연구를 국학 전반으로 확대시킴
② 연구 분야 : 우리의 역사, 지리, 언어, 풍속 등 국학 전반에 대한 연구
(1) 역사 연구
① 안정복 : 동사강목 - 단군 조선부터 고려 말기까지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
② 유득공 : 발해고 - 발해의 역사를 본격적으로 우리 역사로 다룸
③ 한치윤 : 해동역사 - 중국과 일본의 역사책까지 참고
(2) 지리학
① 이중환 : 택리지 - 우리의 지리적 환경과 함께 각 지역의 경제생활과 풍속을 자세히 조 사함
② 김정호 : 대동여지도 - 산맥, 하천, 도로망을 자세히 표시→ 지도 제작 수준을 크 게 높힘
(3) 국어 연구
① 신경준 : 훈민정음운해 - 한글에 대한 음운 연구서
② 유희 ; 언문지
(4) 자연 과학 연구
① 농학 : 서유구 - 임원경제지
② 수산학 : 정약전 - 자산어보
③ 의학 : 이제마 - 동의수세보현
㉠ 농민 중심의 농촌 문제 해결 방안 제시
㉡ 토지 제도의 개혁과 자영농 육성을 중시
② 중농 학파의 실학자 : 유형원, 이익, 정약용
(2) 유형원(반계, 1622∼1673)
① 평생 학문 연구에 전념 : 벼슬을 하지 않고 일생 동안 농촌에 묻혀 살며 농촌 사회
현실을 스스로 체험
② 저서 : 반계수록③ 농촌 사회와 민생에 관계되는 여러 제도(토지 제도, 과거 제도, 균역 제도 등)에 대 해 비판 개혁을 주장
(3) 이익(성호, 1681∼1763)
① 농민의 편에 서서 개혁 방법 제시 : 일생 동안 학문에 힘쓰며 당시 사회의 그릇된
점을 날카롭게 비판
(4)정약용(다산, 1762∼1836)
① 18 년간 전라도 강진에서 유배 생활
② 농촌 사회의 현실을 직접 체험 : 사회 현실의 잘못된 점 지적, 비판
③ 토지 제도 개혁 주장 : 여전제, 정전제
④ 중농 학파의 실학 집대성
㉠ 최고의 실학자 : 학문 활동이 정치, 경제, 사회에서부터 과학, 의학, 종교, 유학에
이르기까지 분야가 다양함. 500권이 넘는 많은 저서를 남김
㉡ 경세유표 : 중앙의 정치 제도에 관한 견해 제시
㉢ 목민심서 : 지방 행정에 대한 개혁 주장 토지 제도 개혁론 정약용의 양반 비판
(5) 중농 학파의 학문 경향
① 농촌과 농민 중심 : 농촌 문제 해결에 관심 집중→ 농민 중심으로 해결 방안 생각→ 토 지제도 개혁안 제시함
② 농업기술발달에 관심 :농업 기술 발달, 농기구 개량☞ 중농 학파의 실학자들은 농촌 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집중하고 토지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3. 중상 학파(북학파)
(1) 학파의 성립
① 한양의 도시적 분위기에서 성장한 사람들이 중심 ↔ 일생을 농촌에서 보낸 중농학파와 대비됨
② 주장 : 상공업 진흥론, 기술 혁신, 청 문물 수용
③ 중상 학파의 실학자 : 유수원, 헝대용, 박지원, 박제가 등이 특히 유명함☞ 북학파-중상 학파의 실학자들이 청나라의 발달된 문물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해서 이들을 북학파라불림.
(2) 유수원
① 중상 학파의 선구자
② 저서 : 우서
③ 상공업을 진흥시켜 나라 살림을 튼튼히 할 것을 주장
(3) 홍대용
① 중국에 다녀와 새로운 학문 소개
② 기술 혁신, 신분제 철폐, 성리학 극복 등 주장
(4) 박지원
① 청나라 문물의 수용을 주장
② 저서 : 열하일기
③ 청의 문물을 소개하고, 수레와 선박의 이용, 화폐의 사용 등을 강조, 특히 양반 사회 의 폐단을 신랄하게 비판
(5) 박제가
① 여러 차례 청나라를 왕래하며 새로운 문물 접함
② 저서 : 북학의
③ 청과의 통상 확대, 상공업 진흥 등 주장
☞ 중상 학파의 실학자들은 상공업 진흥, 기술 개발, 청의 문물 수용 등을 주장하였다.
4. 국학 연구의 발달
① 연구의 배경 : 사회 현실에 대한 실학자들의 관심과 비판의식→ 연구를 국학 전반으로 확대시킴
② 연구 분야 : 우리의 역사, 지리, 언어, 풍속 등 국학 전반에 대한 연구
(1) 역사 연구
① 안정복 : 동사강목 - 단군 조선부터 고려 말기까지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
② 유득공 : 발해고 - 발해의 역사를 본격적으로 우리 역사로 다룸
③ 한치윤 : 해동역사 - 중국과 일본의 역사책까지 참고
(2) 지리학
① 이중환 : 택리지 - 우리의 지리적 환경과 함께 각 지역의 경제생활과 풍속을 자세히 조 사함
② 김정호 : 대동여지도 - 산맥, 하천, 도로망을 자세히 표시→ 지도 제작 수준을 크 게 높힘
(3) 국어 연구
① 신경준 : 훈민정음운해 - 한글에 대한 음운 연구서
② 유희 ; 언문지
(4) 자연 과학 연구
① 농학 : 서유구 - 임원경제지
② 수산학 : 정약전 - 자산어보
③ 의학 : 이제마 - 동의수세보현
추천자료
국토계획 이용에 관한 법률
복지관 이용자 만족도 및 욕구 조사
북한문학사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실학파와 연암문학)
조선시대의 교육사상에 대하여(성리학, 실학, 동학)
[교육사상]17세기 과학운동과 실학주의 교육사상
[저작물][저작권][저작물 복제][저작물 이용][홈페이지][저작물 기술조치보호]저작물의 성격,...
일본의 사회복지법과 후생노동성의 업무 내용 요약정리
신한은행의 인사제도,채용정보,복리후생,연봉자료 정리
현대중공업의 인사제도,채용정보,복리후생,연봉자료 정리
[보육학개론] 시대별 보육사상 - 고대, 중세, 실학주의시대 보육사상, 계몽주의 신인문주의 ...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인사관리]포스코의 복리후생 사례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