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목차
웹사이트 분석
1.컨텐츠
2.커뮤니티
3.커머스
4.퍼스널리제이션
5.구조와형식
1.컨텐츠
2.커뮤니티
3.커머스
4.퍼스널리제이션
5.구조와형식
본문내용
통해서 이 사이트에서 어떤 상품을 어떻게 판매하는지 요약하여 잘 표현하고 있다.
- 다른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사이트를 구성에 빠질 수 없는 중요 키워드인 "HOT" "NEW"를 사용하여 방문자의 클릭을 유도한다.
3) 가장 많이 요청되는 것을 제공한다.
웹사이트를 방문함과 동시에 상단에 배치함으로써 유저들의 즉각적인 클릭을 유도한다.
4) 명쾌한 시작 포인트를 제공한다.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 목적이 시계의 구매를 위한 것이므로 가장 잘 팔리는 시계와 신상품을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배치하여서 손쉽게 클릭하도록 하여서 구매를 유도한다.
5) 유저가 홈페이지에서 쉽게 클릭 할 수 있는 것들.
- 마우스 커서를 브랜드명으로 이동시키면 브랜드명의 바탕이 흰색에서 빨강색으로 바뀌고 대메뉴 레이블링도 입체적으로 표시되면서 링크가 걸렸다는 사실을 분명히 나타내 주고 있다.
2. 메뉴
1) 사이트의 구조 설계
바텀업 방식과 탑다운 방식을 혼합하여 이루어져있고 이 사이트의 특징은 넓이는 아주 넓으나 깊이가 좁다는데 있다. 메인에서 각 카테고리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카테고리 안에 모든 제품의 모델 이미지가 들어있다.
메인에서 브랜드별 분류가 이루어지고 브랜드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제품 모델명과 제품이미지를 보여준다.
2) 메뉴레이블링 : 영문 레이블링과 이미지 레이블링이 혼합 되어있다. 각 회사 브랜드의 영문 표기와 브랜드로고로 만들어져 있고 상단에 나누어진 레이블링은 영문과 한글의 혼합으로 되어있다.
3)클릭 대상으로서의 메뉴
메뉴는 눈에 잘 띄어야 한다. : 페이지의 맨 위에 배치시키고 다른 요소들과 차별화시켜 흰색 배경과 대비되는 빨강색의 바탕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눈에 띈다.
4) 메뉴의 분산
-순서대로 유틸리티, 대메뉴, 사이트 하단의 텍스트 네비게이션 세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3. 네비게이션
- 유저가 원하는 것을 찾아 사이트 내에서 이동하는 행위
- 유저의 네비게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것
○ 사이트의 구조와 네비게이션
이 사이트에선 선형 구조를 제공해 놓았다.
○ 네비게이션의 종류
글로벌 네비게이션 : 결제 등을 수행하는 페이지에서는 글로벌 네비게이션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사이트에서는 생략을 하지 않고 제공해 놓았다.
로컬 네비게이션
- 앞에 부분에 있음
라인 네비게이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표지판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보조 네비게이션 : 메뉴가 많을 때 사용하는데 여기서는 제공되어 있긴한데 사용되어 지지가 않는다.
링크 : 컨텐츠와 관련된 맥락에서 제공되고 있다.
사이트맵 : 이 사이트 전체의 계층을 펼쳐 놓고 있으며 앞에 부분에 나와있다.
그리고 사이트맵의 각 항목에 링크를 걸어 놓았다.
인덱스 : 컨텐츠를 가나다, ABC 순으로 정리해논 것인데 여기에서는 제공 되어 있지 않다.
○ 네비게이션의 위치별 분석
탑 네비게이션 : 전체 페이지를 장악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눈에 가장 잘 띄고, 사이트의 계층을 시각적으로 가장 명확하게 표현한다.
좌측 네비게이션 : 계층을 장악한다는 느낌이 탑보다 약하다. 하지만 탑보다는 훨씬 발랄하 고 자유롭다. 이것은 좌측 네비게이션이 길이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이 다.
○ 포고 스타킹 문제
리스트 페이지에서 충분히 보여준다 : 이 사이트에서는 타사이트와 달리 게시판이나 상품 리스트의 말풍선이 제공 되어 있지않다.
포고 스티킹을 네비게이션화한다 :
팝업을 이용한다 : 이 사이트는 팝업이 없다.
리스트와 컨텐츠 페이지를 하나로 통합한다
- 내용 페이지의 하단에 사용자 리스트와 내용 앞부분이 정리되어 있어 쉽게 다른 사람의 평가를 클릭해 볼 수 있다.
4. 인터페이스
1)유저를 설득하는 인터페이스
- 구체적인 레이블링 : 바로구매, 장바구니, 상품보관함, 리스트 같은 버튼은 유저가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 해야 할 행동을 구체적인 인터페이스로 제시한다 : “상품 추천메일 보내기”, “아이디찾기”, “비밀번호 찾기” 라는 구체적인 액션을 표현해서 유저가 적극적으로 행동하도록 유도한다.
- 중요한 것을 중요하게 보이게 한다 : 모든 유저에게 필요한 ‘목록’과 ‘답장’은 나열하기보다 차별화 시키는 것이 좋다. ‘아이디 찾기’와 ‘비밀번호 찾기’ 에서는 비밀번호 확인과 취소에 동일하게 중요도를 부여하고 있다.
2) 태스크 디자인
- 액션을 취하면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알린다. : 회원가입을 할 때 회원가입 함으로써 각종 이벤트에 참여 할 수 있고 할인 쿠폰 발급, 적립금 혜택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 어떤 액션을 취해야 하는지 분명하게 알린다. : 로그인 페이지에서는 유저의 클릭에 대한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서 로그인 버튼을 가장 눈에 잘 띄게 해야 한다.
- 액션의 제한 사항은 미리, 해당 위치에 보여준다. : 쪽지를 보낼 때 255byte로 제한 되어 있다는 것을,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아이디의 조건과 비밀번호의 영문, 숫자의 조합등의 액션의 제한사항에 대해 가입 폼을 작성할 때 유저에게 미리 알려준다.
-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하되, 중요한 내용을 부각시킨다. : 많은 유저가 선택하는 고객센터나 오늘본 상품목록등은 일반적인 기능과 다르게 잘 보이게 해서 클릭할 수 있게 한다.
- 에러에 쉽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 아이디를 잘못 입력 했을 경우 오류 창이 뜨고 아이디 필드로 커서를 옮겨줘서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 디폴트를 활용한다. : ‘브랜드샵’ 의 드롭상자에서 디폴트로 많은 유저가 선택하는 각종 브랜드를 기본적으로 선택해 놓는다.
- 완료한 태스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 주문완료 후에 주문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하단의 ‘마이쇼핑으로 이동’ 을 통해 ‘주문배송조회’ 페이지로 이동해서 완료한 태스크를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여러 단계의 액션을 취해야 하는 경우, 현재 위치를 보여준다. : 단계별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보여주고, 지금 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시각적으로 분명히 보여준다.
- 태스크를 끝내면 유저가 피드백할 수 있게 한다. : 구매 완료 후에 소비자가 의견을 쓸 수 있는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는다.
3) 스토리보드
- 다른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사이트를 구성에 빠질 수 없는 중요 키워드인 "HOT" "NEW"를 사용하여 방문자의 클릭을 유도한다.
3) 가장 많이 요청되는 것을 제공한다.
웹사이트를 방문함과 동시에 상단에 배치함으로써 유저들의 즉각적인 클릭을 유도한다.
4) 명쾌한 시작 포인트를 제공한다.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 목적이 시계의 구매를 위한 것이므로 가장 잘 팔리는 시계와 신상품을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배치하여서 손쉽게 클릭하도록 하여서 구매를 유도한다.
5) 유저가 홈페이지에서 쉽게 클릭 할 수 있는 것들.
- 마우스 커서를 브랜드명으로 이동시키면 브랜드명의 바탕이 흰색에서 빨강색으로 바뀌고 대메뉴 레이블링도 입체적으로 표시되면서 링크가 걸렸다는 사실을 분명히 나타내 주고 있다.
2. 메뉴
1) 사이트의 구조 설계
바텀업 방식과 탑다운 방식을 혼합하여 이루어져있고 이 사이트의 특징은 넓이는 아주 넓으나 깊이가 좁다는데 있다. 메인에서 각 카테고리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카테고리 안에 모든 제품의 모델 이미지가 들어있다.
메인에서 브랜드별 분류가 이루어지고 브랜드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제품 모델명과 제품이미지를 보여준다.
2) 메뉴레이블링 : 영문 레이블링과 이미지 레이블링이 혼합 되어있다. 각 회사 브랜드의 영문 표기와 브랜드로고로 만들어져 있고 상단에 나누어진 레이블링은 영문과 한글의 혼합으로 되어있다.
3)클릭 대상으로서의 메뉴
메뉴는 눈에 잘 띄어야 한다. : 페이지의 맨 위에 배치시키고 다른 요소들과 차별화시켜 흰색 배경과 대비되는 빨강색의 바탕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눈에 띈다.
4) 메뉴의 분산
-순서대로 유틸리티, 대메뉴, 사이트 하단의 텍스트 네비게이션 세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3. 네비게이션
- 유저가 원하는 것을 찾아 사이트 내에서 이동하는 행위
- 유저의 네비게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것
○ 사이트의 구조와 네비게이션
이 사이트에선 선형 구조를 제공해 놓았다.
○ 네비게이션의 종류
글로벌 네비게이션 : 결제 등을 수행하는 페이지에서는 글로벌 네비게이션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사이트에서는 생략을 하지 않고 제공해 놓았다.
로컬 네비게이션
- 앞에 부분에 있음
라인 네비게이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표지판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보조 네비게이션 : 메뉴가 많을 때 사용하는데 여기서는 제공되어 있긴한데 사용되어 지지가 않는다.
링크 : 컨텐츠와 관련된 맥락에서 제공되고 있다.
사이트맵 : 이 사이트 전체의 계층을 펼쳐 놓고 있으며 앞에 부분에 나와있다.
그리고 사이트맵의 각 항목에 링크를 걸어 놓았다.
인덱스 : 컨텐츠를 가나다, ABC 순으로 정리해논 것인데 여기에서는 제공 되어 있지 않다.
○ 네비게이션의 위치별 분석
탑 네비게이션 : 전체 페이지를 장악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눈에 가장 잘 띄고, 사이트의 계층을 시각적으로 가장 명확하게 표현한다.
좌측 네비게이션 : 계층을 장악한다는 느낌이 탑보다 약하다. 하지만 탑보다는 훨씬 발랄하 고 자유롭다. 이것은 좌측 네비게이션이 길이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이 다.
○ 포고 스타킹 문제
리스트 페이지에서 충분히 보여준다 : 이 사이트에서는 타사이트와 달리 게시판이나 상품 리스트의 말풍선이 제공 되어 있지않다.
포고 스티킹을 네비게이션화한다 :
팝업을 이용한다 : 이 사이트는 팝업이 없다.
리스트와 컨텐츠 페이지를 하나로 통합한다
- 내용 페이지의 하단에 사용자 리스트와 내용 앞부분이 정리되어 있어 쉽게 다른 사람의 평가를 클릭해 볼 수 있다.
4. 인터페이스
1)유저를 설득하는 인터페이스
- 구체적인 레이블링 : 바로구매, 장바구니, 상품보관함, 리스트 같은 버튼은 유저가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 해야 할 행동을 구체적인 인터페이스로 제시한다 : “상품 추천메일 보내기”, “아이디찾기”, “비밀번호 찾기” 라는 구체적인 액션을 표현해서 유저가 적극적으로 행동하도록 유도한다.
- 중요한 것을 중요하게 보이게 한다 : 모든 유저에게 필요한 ‘목록’과 ‘답장’은 나열하기보다 차별화 시키는 것이 좋다. ‘아이디 찾기’와 ‘비밀번호 찾기’ 에서는 비밀번호 확인과 취소에 동일하게 중요도를 부여하고 있다.
2) 태스크 디자인
- 액션을 취하면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알린다. : 회원가입을 할 때 회원가입 함으로써 각종 이벤트에 참여 할 수 있고 할인 쿠폰 발급, 적립금 혜택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 어떤 액션을 취해야 하는지 분명하게 알린다. : 로그인 페이지에서는 유저의 클릭에 대한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서 로그인 버튼을 가장 눈에 잘 띄게 해야 한다.
- 액션의 제한 사항은 미리, 해당 위치에 보여준다. : 쪽지를 보낼 때 255byte로 제한 되어 있다는 것을,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아이디의 조건과 비밀번호의 영문, 숫자의 조합등의 액션의 제한사항에 대해 가입 폼을 작성할 때 유저에게 미리 알려준다.
-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하되, 중요한 내용을 부각시킨다. : 많은 유저가 선택하는 고객센터나 오늘본 상품목록등은 일반적인 기능과 다르게 잘 보이게 해서 클릭할 수 있게 한다.
- 에러에 쉽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 아이디를 잘못 입력 했을 경우 오류 창이 뜨고 아이디 필드로 커서를 옮겨줘서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 디폴트를 활용한다. : ‘브랜드샵’ 의 드롭상자에서 디폴트로 많은 유저가 선택하는 각종 브랜드를 기본적으로 선택해 놓는다.
- 완료한 태스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 주문완료 후에 주문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하단의 ‘마이쇼핑으로 이동’ 을 통해 ‘주문배송조회’ 페이지로 이동해서 완료한 태스크를 확인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여러 단계의 액션을 취해야 하는 경우, 현재 위치를 보여준다. : 단계별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보여주고, 지금 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시각적으로 분명히 보여준다.
- 태스크를 끝내면 유저가 피드백할 수 있게 한다. : 구매 완료 후에 소비자가 의견을 쓸 수 있는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는다.
3) 스토리보드
추천자료
싸이월드 성공사례
마케팅 성공사례-싸이월드(Cyworld)
[인터넷] 블로그란 무엇인가 (싸이월드 예시)
RSS의 개념과 활용
NHN(주) 기업조사 프로젝트 - 경영전략 및 향후방안 (A+ Report)
싸이월드의 마케팅 전략 성공사례와 세이클럽의 실폐사례 비교분석(SWOT, STP분석)(A+레포트)...
해피 캠퍼스의 마케팅 전략
프리챌 기업분석
[포털][포털사이트][포털사이트의 미래]포털(포털사이트)의 시작, 포털(포털사이트)의 역사, ...
포탈사이트 비교분석
수익구조(비즈니스모델, 비지니스모델)의 의미, 수익구조(비즈니스모델, 비지니스모델)의 성...
[E비지니스모델]E비지니스모델(EBiz모델, E비즈니스모델)의 정의, 유형, E비지니스모델(EBiz...
이비즈니스(E-BIZ, 인터넷비즈니스, E비즈니스)의 의미, 영역, 상품화, 이비즈니스(E-BIZ, 인...
유튜브(YouTube) 경영분석 및 유튜브 새로운 전략제안과 미래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