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처음처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처음처럼 소개& 선정이유

2. 환경분석

3. S W O T 분석
* Strength (강점) * Weakness (약점)
* Opportunity (기회) * Threat (위협)

4. S T P 분석
* Segmentation(세분화)
* Targeting(타겟 선정)
* Positioning(위치화)

5. 4 P 분석
* Product * Price
* Place * Promotion


6. ‘ 처음처럼‘ 마케팅의 한계점과 해결방안제시

본문내용

타일을 파악한 후, 처음처럼의 출시 1년 전 마케팅 조직을 도매상 관리 조직과 업소관리 조직으로 이원화시켜 운영하여 유통상을 미리 확보하였다. 현재 두산의 전국적인 유통망이 견고하진 않으나 서울 대학가,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사장과 직원들이 발로 뛰는 마케팅을 벌이며 유통망을 넓혀나가고 있다. 이들은 신촌이나 대학로 등 젊은 층 밀집지역을 유통의 타겟으로 잡고, 젊은이들이 모이는 공간을 공략했다.
주요 유통 채널
대형 할인 마트와 24시간 편의점, 일반음식점
6. 처음처럼의 마케팅의 한계점과 해결방안제시
한계점
처음처럼은 수도권지역에서 18%의 점유율을 장악하고 있지만 참이슬의 51%을 따라가기에는 그 차이가 너무 멀어 보인다. 타깃으로 잡고 있는 25~35세의 젊은 고객층은 유동성이 크고 기호변화의 폭이 크기 때문에 이들을 타깃으로 계속 잡는다는 것은 위험일수도 있다. 젊은 세대들의 새로운 제품에 대한 호기심으로 시장에 발들이기를 성공했다면 앞으로는 그들이 움직일 수 없게 더 좋은 서비스와 제품으로 현 시장의 확보에도 노력하여 앞으로의 고객층을 창출해 낼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처음처럼과 경쟁을 붙고 있는 진로의 참이슬은 강력한 마케팅으로 처음처럼의 진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 알칼리 환원수를 내세우는 처음처럼에 맞서 참이슬도 대나무 참숯을 이용한 웰빙소주로 비슷한 전략의 제품인 참이슬 Fresh를 출시하여 처음처럼의 시장확대에 찬물을 얹고 있다.
처음처럼은 저도수 소주로 웰빙소주로의 첫 스타트를 일궈냈지만 경쟁사들의 잇따른 저도수 소주 출시로 처음의 차별화가 없어지고 있고 저도수경쟁으로 더 낮은 도수를 출시함에 따른 소주 고유의 맛을 잃어버리게 될지도 모른다. 그리고 대체제의 급격한 성장세로 처음처럼의 초기 저도수로서의 차별화전략은 더 이상 먹히지 않는다.
해결방안
웰빙 트랜드에 발맞춰 출시된 저도수 소주인 처음처럼은 현 소주시장에서 그 이미지 확고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알칼리 환원수를 사용했다는 점과 저도수 소주로 웰빙 소주의 이미지를 추구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머릿속에 그 이미지가 자리잡는 것이 중요하다.
소주시장의 특성상 지방으로 진출은 잠시 미뤄두고 수도권에서의 점유율 1위를 목표로 하기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 마케팅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 두산에서는 단기적인 이윤창출보다는 수익이 적더라도 장기적인 이윤창출을 위해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의 방안제시
처음처럼의 브랜드 네이밍에서 느껴지는 서정적인 이미지는 여성 구매자 취향에 맞다. 여성들은 높은 도수의 술보다는 저도수의 술을 마시며 즐기기 위한 술자리를 좋아한다. 여성들의 소비시장은 아직은 미흡하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음에는 확실하다. 여성을 타깃으로 하여 현재는 없는 여성소주시장의 블루오션을 일으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여성소주시장의 확보는 소주시장의 가장 큰 장벽인 지역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을 위한 소주마케팅으로 점유율을 높인다.
* “처음처럼” 전국적인 점포개점
(여성을 위한 소주bar - 낮은 칼로리의 안주 제공)
* 단체모임에서 여성이 3명이상일 경우 “처음처럼” 제공
* 각종 여성단체 지원
[1] 처음처럼 웹사이트
http://www.soju.co.kr/
[2] 참이슬 후레쉬 웹사이트
http://www.chamisulfresh.com/
[3] 두산그룹
http://www.doosan.com/
[4] 대한주류공업협회
http://www.kalia.or.kr/
[5]서울경제
(서경베스트 히트상품 두산 ‘처음처럼’)
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0705/e2007052912521947580.htm
[6]파이낸셜뉴스([fn 탑프라이드 상품] 두산 주류 BG ‘처음처럼’)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01A&corp=fnnews&arcid=0921008142&cDateYear=2007&cDateMonth=05&cDateDay=27&
[7] 헤럴드 경제(‘참이슬’추락 어디까지)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7/06/01/200706010095.asp
[8] 머니투데이 인터넷신문(소주역사 새로쓴 활동형 CEO)
http://www.moneytoday.co.kr/view/mtview.php?type=1&no=2006122809403561756
[9] 한국경제 신문기사(소주 두산’처음처럼’ vs 진로 ‘참이슬’)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7040173781
[10] 조선닷컴(경쟁사비방 `진흙탕 싸움` 벌인 주류업체들 잇따라 철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5/30/2007053000926.html
[11] 참이슬과 처음처럼 점유율
http://cafe.naver.com/orange14.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2
[12] 알칼리 환원수의 장점
http://blog.naver.com/evepopty?Redirect=Log&logNo=20037640106
[13]매일경제(조세개혁 조세율 올리고 절세금융상품 줄이고)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9&article_id=0000485967§ion_id=101&menu_id=101
[14]머니투데이('경쟁사는 외국자본' 주류업계 흑색선전 철퇴)
http://www.moneytoday.co.kr/view/mtview.php?type=1&no=2007053013315531004
[15]파이낸셜뉴스([전문기자 코너] 김주식/소주 ‘순한 맛’ 경쟁 위기 자초)
http://www.fnnews.com/view?ra=Sent1001m_01A&corp=fnnews&arcid=0920999626&cDateYear=2007&cDateMonth=05&cDateDay=14&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6.02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