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체살펴보기
2. 주요개념
3. 성격의 발달과 심리적 문제의 형성
4. 상담과정과 기법
5. 상담사례
6. 게슈탈트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
2. 주요개념
3. 성격의 발달과 심리적 문제의 형성
4. 상담과정과 기법
5. 상담사례
6. 게슈탈트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
본문내용
는 것이 상책이라는 거예요. 그것이 어머니가 그 사람(아마도 아버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짐작된다.)에게 한 방식이에요. 어머니는 평생 아버지 옆에서 발소리를 죽이고 살았거든요, ‘현관 매트’ 처럼요.
상담자 : 미안하지만 뭐라고 하셨지요?
내담자 : 어머니는 ‘현관 매트’ 였어요. 아버지가 나를 때리면 어머니는 그냥 방을 나갔어요. 어머니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고 싶어 하지 않으니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곤 했어요. 어머니는 그때 무슨 말이든 했어야 했어요.
상담자 : 슬프게 들리네요.
내담자 : 네. 어머니에 대해 슬프고, 나에 대해서도 슬퍼요.
6. 게슈탈트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
게슈탈트 상담의 공헌점은
- 첫째, 개인에게 실존적 의미를 실제로 경험하게 한다는 점이다. 즉, 게슈탈트 상담에서 문제, 갈등 또는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최소화하면서 개인에게 실존적 의미를 실제로 경함하게 한다.
- 둘째, 과거를 현재와 관련되는 사건으로 가져와서 생생하게 처리한다는 점이다. 즉, 상담자는 내담자가 창의적인 방법으로 현재의 기능을 방해하는 문제를 자각하고 그 문제를 다루도록 격려한다. 그리고 기술적이고 감각적인 게슈탈트적 접근법을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가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에 관한 것을 현재 중심적인 관점에서 자각하도록 도울 수 있다.
- 셋째, 내담자의 문제해결만이 아니라 내담자의 성장을 돕는다는 점이다. 즉, 게슈탈트 상담은 단지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기법이 아니라 내담자를 성장시키고 발달시킨다.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실존적 관계를 강조하면서 자각을 증대시키기 위해 실험을 창조하고 이행하는 창조적 정신을 강조한다. 모든 접근법 중에서 게슈탈트 접근은 창조의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 넷째, 꿈의 실존적 메시지를 내담자가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이다. 즉, 게슈탈트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꿈을 해석해 주기보다는 꿈의 실존적 메시지를 내담자가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숨겨진 의미의 상징적 표현으로서가 아니라 자아의 투사로서 꿈의 부분을 다루는 아이디어는 정신분석적 해석에 관련된 수많은 수수께끼를 해결해 주었다. 이러한 접근은 내담자에게 꿈의 내용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며, 스스로 의미를 발견하도록 한다.
게슈탈트 상담의 비판점은
- 성격 이론이 충분히 정교화되어 있지 않으며, 치료기제에 대해서도 이론화가 덜 되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통합적인 이론체계가 아직 정립되지 못한 것이 흠이다.
- 성격의 인지적 측면을 무시한다는 점. 즉, 펄스는 개인의 경허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성격의 인지적 측면을 무시한다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행동화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는 게슈탈트 기법이 내담자의 행동화 경향을 더욱 강화시킬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최근의 게슈탈트 상담에는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접촉과 대화에 가치를 둔다. 이것은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신념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존적 만남을 의미한다. 게슈탈트 상담이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상담자가 높은 수준의 인간적 성숙을 이루어야 한다. 그렇게 하여야만 상담자는 자신의 욕구를 자각하고 내담자의 과정에 간섭하지 않으며, 현재에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상담자는 게슈탈트적 접근법의 개념 구조를 완전히 이해하거나 통합하지 못한 채 펄스의 양식만 흉내 내고 있다. 어떤 상담자는 펄스의 복사본이 되어 자신의 유용한 접근법을 창안해 낼 기회를 상실해 버렸다. 단지 게슈탈트의 전문용어를 학습하고, 그 기법을 습득하였다고 해서 유능한 상담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상담자 : 미안하지만 뭐라고 하셨지요?
내담자 : 어머니는 ‘현관 매트’ 였어요. 아버지가 나를 때리면 어머니는 그냥 방을 나갔어요. 어머니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고 싶어 하지 않으니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곤 했어요. 어머니는 그때 무슨 말이든 했어야 했어요.
상담자 : 슬프게 들리네요.
내담자 : 네. 어머니에 대해 슬프고, 나에 대해서도 슬퍼요.
6. 게슈탈트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
게슈탈트 상담의 공헌점은
- 첫째, 개인에게 실존적 의미를 실제로 경험하게 한다는 점이다. 즉, 게슈탈트 상담에서 문제, 갈등 또는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최소화하면서 개인에게 실존적 의미를 실제로 경함하게 한다.
- 둘째, 과거를 현재와 관련되는 사건으로 가져와서 생생하게 처리한다는 점이다. 즉, 상담자는 내담자가 창의적인 방법으로 현재의 기능을 방해하는 문제를 자각하고 그 문제를 다루도록 격려한다. 그리고 기술적이고 감각적인 게슈탈트적 접근법을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가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에 관한 것을 현재 중심적인 관점에서 자각하도록 도울 수 있다.
- 셋째, 내담자의 문제해결만이 아니라 내담자의 성장을 돕는다는 점이다. 즉, 게슈탈트 상담은 단지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담기법이 아니라 내담자를 성장시키고 발달시킨다.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실존적 관계를 강조하면서 자각을 증대시키기 위해 실험을 창조하고 이행하는 창조적 정신을 강조한다. 모든 접근법 중에서 게슈탈트 접근은 창조의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 넷째, 꿈의 실존적 메시지를 내담자가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이다. 즉, 게슈탈트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꿈을 해석해 주기보다는 꿈의 실존적 메시지를 내담자가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숨겨진 의미의 상징적 표현으로서가 아니라 자아의 투사로서 꿈의 부분을 다루는 아이디어는 정신분석적 해석에 관련된 수많은 수수께끼를 해결해 주었다. 이러한 접근은 내담자에게 꿈의 내용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며, 스스로 의미를 발견하도록 한다.
게슈탈트 상담의 비판점은
- 성격 이론이 충분히 정교화되어 있지 않으며, 치료기제에 대해서도 이론화가 덜 되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통합적인 이론체계가 아직 정립되지 못한 것이 흠이다.
- 성격의 인지적 측면을 무시한다는 점. 즉, 펄스는 개인의 경허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성격의 인지적 측면을 무시한다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행동화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는 게슈탈트 기법이 내담자의 행동화 경향을 더욱 강화시킬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최근의 게슈탈트 상담에는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접촉과 대화에 가치를 둔다. 이것은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신념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존적 만남을 의미한다. 게슈탈트 상담이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상담자가 높은 수준의 인간적 성숙을 이루어야 한다. 그렇게 하여야만 상담자는 자신의 욕구를 자각하고 내담자의 과정에 간섭하지 않으며, 현재에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상담자는 게슈탈트적 접근법의 개념 구조를 완전히 이해하거나 통합하지 못한 채 펄스의 양식만 흉내 내고 있다. 어떤 상담자는 펄스의 복사본이 되어 자신의 유용한 접근법을 창안해 낼 기회를 상실해 버렸다. 단지 게슈탈트의 전문용어를 학습하고, 그 기법을 습득하였다고 해서 유능한 상담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추천자료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이해
게슈탈트 심리치료 사례
게슈탈트 심리치료 기법
게슈탈트의 심리치료
[산업디자인][게슈탈트이론][외국 산업디자인 정책 사례]산업디자인의 분류, 게슈탈트이론과 ...
[디자인][웹디자인][웹디자인기법][디자인기법][게슈탈트 이론][인터페이스 디자인]디자인의 ...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구분과 영역,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인간본성이론과 인간학습이론,...
게슈탈트 이론과 정신분석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의 예술심리학 - 저서<예술심리학> 중 제2부 <시각> 중심 (...
★우수자료★[게슈탈트 치료 사례연구] 프릿츠(Fritz)의 형태치료, 형태치료 사례 연구.ppt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1차색과 2차색의 심상과정 - 색치치료의 이해, 게슈탈트...
톨만(Tolman)의 행동주의적 입장 [심리학] 톨만의 행동주의적 입장, 톨만의 입장에서 본 학습...
[시지각 발달검사] 벤더게슈탈트검사(BGT), 시각-운동통합발달검사(VMI), 시지각발달검사(DTV...
시각과정의 기능(시각적 착시, 깊이지각, 시각정보의 조직화와 게슈탈트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