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멀었던 시기였고, 그 과정에서 나에게 비친 우리나라는 답답함의 극치였다. 근대 조선의 정책이 좀 더 현실적이고 개방적이었다면 지금 아시아의 제1의 강대국은 일본이 아니라 우리 한국이었을 것이라는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 일본의 전쟁논리 때문에 우리나라와 아시아 국가들이 겪었던 지옥 같은 식민통치의 고통과 피해는 그 무엇으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 그것은 결코 용서받을 수 없는 범죄이기 때문이다. 일본의 근대 정치논리가 모든 아시아 국가에게 긍정적인 면을 보였다면 지금처럼 비난받지는 않았을 것이다.
또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이 책을 봄으로써 근대 일본의 전쟁 논리와 비교하여 우리의 근대 시기를 다시 재조명해 보자는 것이다. 그러므로 더욱 더 근대 우리 역사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이 책을 봄으로써 근대 일본의 전쟁 논리와 비교하여 우리의 근대 시기를 다시 재조명해 보자는 것이다. 그러므로 더욱 더 근대 우리 역사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과 역사 인식의 문제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사례 분석과 역사 인식 문제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일본영화의 역사와 일본문화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사례 분석과 역사 인식 문제
일본의 역사,사회,문화적 환경과 정부구조
일본의 역사 - 명치유신부터 2차대전까지
일본만화의 역사와 특징
일본의 역사
일본의 역사와 음식문화 - 아스카시대,가마쿠라 막부,메이지 시대,일본인의 식사예절,
중일근대화(중국과 일본의 근대화), 중일관계(중국과 일본의 관계), 중일정보문화, 중일역사...
[일본문화] Japan movie 대중예술과 한류 『일본 영화』 - 일본영화의 역사, 일본 영화산업 ...
일본대중문화의 역사적 변천
[역사의현장을찾아서] 아래의 역사현장을 찾아 현장을 상세히 묘사하고 그 역사성을 찾아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