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와 음식문화 - 아스카시대,가마쿠라 막부,메이지 시대,일본인의 식사예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역사와 음식문화 - 아스카시대,가마쿠라 막부,메이지 시대,일본인의 식사예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본의 역사
 (1) 선사시대
  1) 구석기 시대
  2) 죠몬 시대
  3) 야요이 시대
 (2) 원사시대 - 아스카시대
 (3) 고대시대
  1) 나라 시대
  2) 헤이안 시대
 (4) 중세시대
  1) 가마쿠라 막부
  2) 무로마치 막부
  3) 전국시대
 (5) 근세시대
 (6) 근현대시대
  1) 메이지 시대
  2) 다이쇼 시대
  3) 군국주의 시대
  4) 전쟁 이후

2. 일본의 음식문화
 (1) 일본음식의 배경
 (2) 일본의 음식문화의 특징
  1)음식의 일반적 특징
2)음식의 지역적 특징
 (3) 일본 음식의 종류
 (4) 일본인의 식사예절
  1) 젓가락의 사용방법
  2) 젓가락 받침대
  3) 음식을 덜어 먹을 때
  4) 밥을 먹을 때
  5) 국을 먹을 때
  6) 국그릇의 뚜껑
  7) 그 외의 식사예절

본문내용

·날치·고등어 등의 생선과 쇠고기·야채 등을 사용한다. 작은 생선의 경우 뼈째 씹을 수 있도록 요리한다.
고로모아게는 덴푸라라고도 한다. 얼음물에 밀가루를 개어서 만든 튀김옷을 생선이나 야채에 묻혀 뜨거운 기름에 튀긴다. 튀김옷으로 인하여 재료의 영양분과 맛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재료 고유의 맛과 향이 그대로 남아 풍미가 좋다.
스아게는 튀김옷이나 가루를 묻히지 않고 재료 그대로 기름에 튀기는 방법이다. 재료는 물기를 빼서 준비한다. 은행·밤·가지·고추·다시마·깻잎·새우 등의 재료가 적합하다. 재료의 빛깔과 모양을 살리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그밖에 가키아게가 있는데 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 튀김옷을 입혀 기름에 튀기는 것으로 고로모아게의 일종이다.
6. 나베모노
일본의 냄비요리 또는 전골요리를 말한다. 다양한 재료를 한 냄비에 끓여 여러 사람이 같이 먹는 음식이다. 재료는 보통 한입에 먹을 수 있는 크기로 준비한다. 냄비는 보온성이 좋고 입구가 넓은 것이 좋다. 따뜻한 국물이 있어 겨울철에 즐겨먹는 요리이다.
종류에는 물 또는 가쓰오부시·다시마·야채 등을 우린 물에 끓이는 지리나베, 백숙인 미즈타키가 있다. 또 끓는 육수에 얇게 저민 쇠고기와 채소를 넣어 살짝 익혀 먹는 샤부샤부도 나베모노의 일종이다. 그밖에 쇠고기 전골인 스키야키, 어묵을 넣고 끓이는 오뎅 등이 있다.
7. 낫토
한국의 청국장 비슷한 발효식품이다. 냄새가 독특하고 집으면 실타래처럼 끈적끈적하게 늘어난다. 혈전용해와 예방에 효과가 있고 혈압강하 작용, 항암작용, 골다공증 예방효과, 항균효과가 인정되어 새로운 영양음식으로 부각되고 있다. 아마낫토·이토비키낫토·시오카라낫토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낫토라고 하면 이토비키낫토를 말한다.
8. 명절음식
오세치요리
일본에서는 설날에 특별 요리로 이 음식은 국물이 없이 만든 것으로 찬합에다 차곡차곡 쌓아놓고 끼니때마다 혹은 손님을 접대할 때마다 꺼내 먹는다. 오세치요리로 멸치조림, 찐 새우, 검은콩조림, 연근, 다시마 등이 있는데, 각각의 음식마다 다음과 같은 뜻이 담겨져 있다.
-연근: 여러개의 구멍이 숭숭 나 있는 연근을 먹으면 구멍을 통해 앞날을 볼 수 있는 지혜의 눈을 갖는다는 믿음의 의미
-마른 멸치조림: 풍작을 기원
-새우: 긴 수염이 달린 새우는 장수를 의미
-검은콩조림: 일본어로 ‘마메’ 라고 하는데, 이 말은 열심히 노력하며 살아단다는 다른 뜻이 있다.
-다시마: 일본어로 ‘곤부’ 라고 하는데, 이것은 기쁘다는 뜻의 ‘요로고부’의 마지막 부분 발음과 비슷하기 때문에 다시마를 먹으면서 일년 내내 좋은 일만 생기기를 기원한다.
9. 손님접대를 위한 음식
가이세키 요리
회석이란 모임의 좌석, 화합의 좌석이라는 의미로서, 가이세키 요리는 현재 일본요리의 주류가 되고 있는 코스요리이다. 계절에 따라 시각적인 면을 강조하고 양은 적게 준비한다. 사계절의 맛과 일본 각 지방의 특색을 담아내는데 봄에는 초록빛, 여름에는 시원함, 가을에는 다양함, 겨울에는 따뜻함을 강조하는 음식을 만들어 내며 특별히 메뉴를 정하지 않는다. 형식보다는 보아서 아름답고, 냄새를 맡아서 향기롭고, 먹어서 맛있는 것을 중요시 한다. 현재 일본의 음식점, 호텔 등에서 사용되는 요리는 대부분이 가이세키 요리이다. 가장 간단한 것이 3품이고, 5품, 7품, 9품, 11품이 있지만, 가정에서는 5품, 7품 정도가 만들어 먹기에 적당하다. 단, 밥과 고노모노(김치)는 품 수에 들어가지 않는다.
손님을 초대할 때는 가이세키 요리를 7품으로 준비하여 정중하게 순서대로 내는데, 음식을 내는 순서는 전채-맑은국-생선회-구이-조림-초회(여름에는 찜, 겨울에는 튀김)-밥이나 면류-후식이다. 따라서 가장 먼저 술과 전채를 내고, 이어서 맑은 국(스이모노), 생선회(사시미), 구리(야키모노), 조림(니모노), 찜이나 튀김의 순서로 낸 다음, 마지막에 식사로 밥, 된장국, 절임 김치를 한꺼번에 낸다. 후식으로는 과일과 차, 단맛의 과자를 낸다.
(3) 일본인의 식사예절
1) 젓가락의 사용방법
젓가락은 대나무로 만든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정에서는 개인젓가락을 정해두고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검정색은 아버지용 빨간색은 어머니용이다.
손님을 대접 할 때는 1회용 나무젓가락을 내놓는다.
1회용이므로 청결할 뿐만 아니라 설거지도 간단하기 때문이다.
2) 젓가락 받침대
식사 중에 젓가락을 잠시 내려놓을 경우 젓가락 받침대가 있으면 젓가락 아래쪽 부분을 그 받침대에 올려놓는다. 젓가락을 놓는 방법도 우리 나라와는 달리 가로로 놓는다.
3) 음식을 덜어 먹을 때
음식이 큰 접시에 담겨 있을 때는 각 개인 접시로 음식을 덜어 먹는데 이때는 전용젓가락을 사용한다. 전용젓가락이 없을 경우에는 개인젓가락의 방향을 거꾸로 바꿔 사용한다.
일본사람들은 자기 입에 닿았던 부분으로 공용음식에 손대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4) 밥을 먹을 때
밥공기는 거의 사기그릇이며 밥공기는 왼손에 들고 먹는다.
일본사람들은 우리 나라처럼 밥공기를 식탁에 놓은 채 먹지 않고 밥공기를 왼손에 들고 먹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다.
엄지손가락을 밥공기 가장자리에 고정시켜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가지런히 모아서 펴서 그 한가운데에 밥공기 바닥이 오도록 쥐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5) 국을 먹을 때
된장국 그릇은 나무로 되어있고 이것은 왼손에 들고 먹는다.
국을 먹을 때에는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국그릇을 입에 갖다 대고 마신다.
6) 국그릇의 뚜껑
향기나 열을 보존하기 위해서 국그릇은 뚜껑을 덮어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뚜껑을 열 때에는 왼손으로 그릇의 테두리를 가볍게 잡고 오른손으로 그릇의 테두리를 가볍게 잡고 오른손으로 뚜껑을 잡은 후 자기 쪽에서 반대방향으로 살짝 열도록 한다.
식사가 끝난 후에는 원래대로 다시 뚜껑을 덮어 놓는다.
7) 그 외의 식사예절
일본사람들은 숟가락을 쓰지 않으나 젓가락으로 집을 수 없는 죽이나 오므라이스, 카레, 볶음밥을 먹을 때에는 숟가락을 사용한다.
일본요리는 그 모양을 중시하는 탓에서 섞어서 먹는 습관이 없으므로 일본음식은 섞어 먹지 말아야 한다.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5.12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5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