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1. 교육과정 사회학
1.1 지배이데올로기의 문제
1.2 도시적 삶의 표준화 및 자본의 논리
1.3 성차별적 교육내용
2. 광고의 사례 및 분석
2.1 아파트 광고
2.1.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아파트 광고
2.2 자동차 광고
2.2.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자동차 광고
2.3 소주 광고
2.3.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소주 광고
2.4 기타 광고
◆ 결론
◆ 본론
1. 교육과정 사회학
1.1 지배이데올로기의 문제
1.2 도시적 삶의 표준화 및 자본의 논리
1.3 성차별적 교육내용
2. 광고의 사례 및 분석
2.1 아파트 광고
2.1.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아파트 광고
2.2 자동차 광고
2.2.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자동차 광고
2.3 소주 광고
2.3.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소주 광고
2.4 기타 광고
◆ 결론
본문내용
이들의 구매를 자극하기 위해 여성 모델이 이용된다. 하지만 술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주 포스터가 그러하듯이 TV광고에서도 여자 주인공의 몸매를 부각시키는 영상과 함께 소주 상품을 광고하는 것은 광고에 그저 비쥬얼이 좋은 여성을 상품화 시키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요즘의 소주광고는 여성 모델의 아름다움과 주류를 연결시키기보다 남녀가 여럿이서 한자리에 모인 술자리를 표현 하는 광고(참이슬 후레쉬)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아마도 사회적인 분위기에 맞추어 광고도 변화해 가는 듯하다.
2.4 기타 광고
KTF - 쇼 광고
- 영상 통화에 관한 광고. 시골에 계신 부모님께서는 도심에 있는 아들에게 영상 통화를 걸어 고장난 TV를 보여준다. 이를 본 아들은 TV를 사서 배달을 해주고, ‘쇼를 하면 효자 된다.’ 라는 문구가 뜬다. 마지막엔 고장난 세탁기를 두고 부모님이 웃는 장면이 나오고 광고는 끝이 난다.
→ 주로 광고에서는 효도라는 주제를 다룰 때, 시골에 계신 부모님이 등장해서 아들을 찾곤 한다. 이 광고에서도 마찬가지로 노부부는 영상통화를 걸어 아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부모님을 도와드린 아들은 효도를 행한 것으로 표현이 된다. 광고에서 비추어지는 이러한 모습들은 아들이라면 당연히 부모님께 도리를 행해야 하고 효도를 하는 것으로 표현이 되고, 부모님들 역시 자녀들 중에서도 유독 아들에게 의지한다는 것이 은연중에 나타나고 있다.
효도 관련 공익 광고
- 대가족의 가정에 있는 노부부는 아들과 며느리에게 무관심을 받아 소외감을 느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녀들은 작은 것이라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 90년대 초에 제작된 이 공익 광고는 그 당시의 일반적인 가정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아들이 부모님을 모시고, 아내는 집안일을 하는 것이 당연함을 이 짧은 광고 속에서도 살펴 볼 수 있다.
결론
교육과정 사회학측면에서 광고를 바라볼 때, 교과서와는 달리 광고는 상업적인 요소가 포함 될 수밖에 없는 점을 배재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상품을 홍보하거나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데 그쳐야 할 광고가 사람들을 이데올로기적으로 동요시킬만한 요소를 지녀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광고가 자주 노출이 되는 만큼, 사람들은 은연중에 광고가 만드는 분위기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이는 교과서 학습에 충실한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자본주의 경제이데올로기를 따르고 도시적인 삶이 표준의 삶이라 여긴다는 통계와 함께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광고에서 보여주는 여성과 남성의 성역할이 교과서에서처럼 자칫 일반화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교과서와는 달리 광고는 제품을 부각시켜야 하는 목적이나 회사 나름의 마케팅 전략이 있기 때문에 주 대상이 되는 소비자층의 성별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비중을 달리 두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한 예로 남성의 능력을 대변해 줄 수 있는 제품을 광고를 제작할 때, 남성에 능력에 따라 여심이 쉽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게다가 피자집을 체인으로 운영하는 M사의 마케팅 전략은 여성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것이기 때문에 광고에서 남자들은 접근 못하는 여성들만의 피자라고 광고한다. 전자는 남성은 사회적으로 일정 지위를 가져야만 성공한 것이고, 여성은 능력 있는 남성에 마음이 뺏기는 수동적인 존재로 여겨질 수 있다. 후자는 실제로 이러한 광고 때문에 여자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는 성공했지만 남자들 끼리 오는 손님이 많이 줄었다고 한다.
이처럼 광고는 자본주의를 바탕에 두고 있고, 기업의 의도나 생산자의 의도가 반영될 수밖에 없으며 특정 소비자층이 정해져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한정된 사람들을 위해 제작 되더라도 광고를 보는 사람들은 특정 사람들뿐만이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사회학측면은 그 기준이 일부분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특정 사회적 분위기를 조장하지 않도록 신중히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Report
교육사회학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광고)
◆ 목 차 ◆
◆ 서론
◆ 본론
1. 교육과정 사회학
1.1 지배이데올로기의 문제
1.2 도시적 삶의 표준화 및 자본의 논리
1.3 성차별적 교육내용
2. 광고의 사례 및 분석
2.1 아파트 광고
2.1.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아파트 광고
2.2 자동차 광고
2.2.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자동차 광고
2.3 소주 광고
2.3.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소주 광고
2.4 기타 광고
◆ 결론
요즘의 소주광고는 여성 모델의 아름다움과 주류를 연결시키기보다 남녀가 여럿이서 한자리에 모인 술자리를 표현 하는 광고(참이슬 후레쉬)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아마도 사회적인 분위기에 맞추어 광고도 변화해 가는 듯하다.
2.4 기타 광고
KTF - 쇼 광고
- 영상 통화에 관한 광고. 시골에 계신 부모님께서는 도심에 있는 아들에게 영상 통화를 걸어 고장난 TV를 보여준다. 이를 본 아들은 TV를 사서 배달을 해주고, ‘쇼를 하면 효자 된다.’ 라는 문구가 뜬다. 마지막엔 고장난 세탁기를 두고 부모님이 웃는 장면이 나오고 광고는 끝이 난다.
→ 주로 광고에서는 효도라는 주제를 다룰 때, 시골에 계신 부모님이 등장해서 아들을 찾곤 한다. 이 광고에서도 마찬가지로 노부부는 영상통화를 걸어 아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부모님을 도와드린 아들은 효도를 행한 것으로 표현이 된다. 광고에서 비추어지는 이러한 모습들은 아들이라면 당연히 부모님께 도리를 행해야 하고 효도를 하는 것으로 표현이 되고, 부모님들 역시 자녀들 중에서도 유독 아들에게 의지한다는 것이 은연중에 나타나고 있다.
효도 관련 공익 광고
- 대가족의 가정에 있는 노부부는 아들과 며느리에게 무관심을 받아 소외감을 느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녀들은 작은 것이라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 90년대 초에 제작된 이 공익 광고는 그 당시의 일반적인 가정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아들이 부모님을 모시고, 아내는 집안일을 하는 것이 당연함을 이 짧은 광고 속에서도 살펴 볼 수 있다.
결론
교육과정 사회학측면에서 광고를 바라볼 때, 교과서와는 달리 광고는 상업적인 요소가 포함 될 수밖에 없는 점을 배재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상품을 홍보하거나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데 그쳐야 할 광고가 사람들을 이데올로기적으로 동요시킬만한 요소를 지녀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광고가 자주 노출이 되는 만큼, 사람들은 은연중에 광고가 만드는 분위기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이는 교과서 학습에 충실한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자본주의 경제이데올로기를 따르고 도시적인 삶이 표준의 삶이라 여긴다는 통계와 함께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광고에서 보여주는 여성과 남성의 성역할이 교과서에서처럼 자칫 일반화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교과서와는 달리 광고는 제품을 부각시켜야 하는 목적이나 회사 나름의 마케팅 전략이 있기 때문에 주 대상이 되는 소비자층의 성별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비중을 달리 두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한 예로 남성의 능력을 대변해 줄 수 있는 제품을 광고를 제작할 때, 남성에 능력에 따라 여심이 쉽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게다가 피자집을 체인으로 운영하는 M사의 마케팅 전략은 여성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것이기 때문에 광고에서 남자들은 접근 못하는 여성들만의 피자라고 광고한다. 전자는 남성은 사회적으로 일정 지위를 가져야만 성공한 것이고, 여성은 능력 있는 남성에 마음이 뺏기는 수동적인 존재로 여겨질 수 있다. 후자는 실제로 이러한 광고 때문에 여자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는 성공했지만 남자들 끼리 오는 손님이 많이 줄었다고 한다.
이처럼 광고는 자본주의를 바탕에 두고 있고, 기업의 의도나 생산자의 의도가 반영될 수밖에 없으며 특정 소비자층이 정해져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한정된 사람들을 위해 제작 되더라도 광고를 보는 사람들은 특정 사람들뿐만이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사회학측면은 그 기준이 일부분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특정 사회적 분위기를 조장하지 않도록 신중히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Report
교육사회학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광고)
◆ 목 차 ◆
◆ 서론
◆ 본론
1. 교육과정 사회학
1.1 지배이데올로기의 문제
1.2 도시적 삶의 표준화 및 자본의 논리
1.3 성차별적 교육내용
2. 광고의 사례 및 분석
2.1 아파트 광고
2.1.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아파트 광고
2.2 자동차 광고
2.2.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자동차 광고
2.3 소주 광고
2.3.1 교육과정 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본 소주 광고
2.4 기타 광고
◆ 결론
추천자료
교육과정의 개발유형과 장단점 - 합리적 교육과정, 실제적 교육과정, 예술적 교육과정 개발
(교육사회학) 우리 나라의 교육제도의 전개
(교육사회학) 교육현상과 기능론적 설명
[교육사회학] 교육에서의 성 불평등 현상과 대안
[교육사회학 (A+완성)] 교육의 사회적 기능
제7차교육과정 초등학교 도덕과 기본방향과 성격, 제7차교육과정 초등학교 도덕과 목표, 제7...
초등학교교육과정의 방향, 초등학교2학년의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배당, 초등학교2학년의 교과...
[교육사회학]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입장을 설명...
유아교육과정3공통)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 개념 및 배경, 구성, 교수학습방법, ...
유아교육과정3)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구성, 장단점 및 특징 &a...
[교육사회학]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각 주...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인성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하여 (1.경험주의 교육과정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