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판기 Finite State Machine Model 소개 (간략한 설명)
2. 자판기 Finite State Machine Model 그림
3. 자판기 상태 설명
4. 자판기 Stimuli 설명
5. 추가된 6-Tuple의 내용
2. 자판기 Finite State Machine Model 그림
3. 자판기 상태 설명
4. 자판기 Stimuli 설명
5. 추가된 6-Tuple의 내용
본문내용
눌렀을 경우 돈이 반환된다.
4. 자판기 Stimuli 설명
- 자판기에 가하는 Stimuli(자극들)에 대해 설명해 보았습니다.
자판기 Stimuli
투입
돈을 자판기에 투입했을 때
인식
투입된 돈을 센서가 인식할 때
확인
점등된 액수를 센서가 확인할 때
감지
점등된 액수를 감지할 때
메뉴
원하는 음료수 메뉴버튼을 눌렀을 때
아웃
선택한 음료수가 자판기에서 나올 때
반환
돈 반환버튼을 눌렀을 때
5. 추가된 6-Tuple의 내용
6-Tuple(J, K, T, S, F, P)로 구성
J는 유한하고 공집합이 아닌 상태들의 집합이다.
- 돈 구분, 점등, 메뉴, 대기, 반환, Out, 메뉴선택 가능여부 등이 된다.
K는 유한하고 공집합이 아닌 입력들의 집합이다.
- 투입, 메뉴, 인식 등이 된다.
T는 (J~K)*K*P에서 J로 가는 전이함수라 부르는 함수이다.
SJ는 초기 상태이다.
- 대기
F는 최종 상태들의 집합으로 F⊆J이다.
- Out
P는 술어이다.
- 동전이 불량주화일 경우, 제대로 된 주화일 경우 등
STD는 FSM과 동일한 정보를 표현한 것이므로 여기선 생략하기로 한다.(과정이 같다.) Reference : 책 336p 11번째 줄 내용
4. 자판기 Stimuli 설명
- 자판기에 가하는 Stimuli(자극들)에 대해 설명해 보았습니다.
자판기 Stimuli
투입
돈을 자판기에 투입했을 때
인식
투입된 돈을 센서가 인식할 때
확인
점등된 액수를 센서가 확인할 때
감지
점등된 액수를 감지할 때
메뉴
원하는 음료수 메뉴버튼을 눌렀을 때
아웃
선택한 음료수가 자판기에서 나올 때
반환
돈 반환버튼을 눌렀을 때
5. 추가된 6-Tuple의 내용
6-Tuple(J, K, T, S, F, P)로 구성
J는 유한하고 공집합이 아닌 상태들의 집합이다.
- 돈 구분, 점등, 메뉴, 대기, 반환, Out, 메뉴선택 가능여부 등이 된다.
K는 유한하고 공집합이 아닌 입력들의 집합이다.
- 투입, 메뉴, 인식 등이 된다.
T는 (J~K)*K*P에서 J로 가는 전이함수라 부르는 함수이다.
SJ는 초기 상태이다.
- 대기
F는 최종 상태들의 집합으로 F⊆J이다.
- Out
P는 술어이다.
- 동전이 불량주화일 경우, 제대로 된 주화일 경우 등
STD는 FSM과 동일한 정보를 표현한 것이므로 여기선 생략하기로 한다.(과정이 같다.) Reference : 책 336p 11번째 줄 내용
추천자료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1-3단원 생활국어 예상문제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1단원 감상하며 읽기 예상문제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2단원 어떻게 읽을까 기출문제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2단원 어떻게 읽을까 예상문제
[과외]중학 수학 2-1학기 중간 05 최종 모의고사 2회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1단원-족보 핵심정리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2단원-족보 유형 기출문제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2단원-족보 핵심정리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2단원-바다가, 소나기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2단원-섬진강 기행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3단원-최종 모의고사 2회
[과외]중학 수학 2-1학기 기말 06 최종 모의고사 2회(교사용)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중간2 친족간의 예절 01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중간2 친족간의 예절 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