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원인
-유발요인
-병태생리
-증상 및 증후
-진단
-치료
-유발요인
-병태생리
-증상 및 증후
-진단
-치료
본문내용
돌연변이균을 다른 약이 억제하도록 한다.
(2)초기 2달은 강한 항결핵제를 사용한다. 질병의 처음 2달간은 집중 치료기로써 강력한 항결핵제를 사용한다. 항결핵제는 서서히 증식하거나 휴직기에 있는 결핵균보다 활발하게 증식하는 결핵균을 더 잘 공격하기 때문이다.
(3)초기 집중치료기 이후에는 유지치료기로써 충분한 기간의 투약이 필요하다.
(4)결핵균은 발육이 늦으므로 하루에 한 번 복용으로도 결핵균을 사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1일 1회, 아침공복시에 약을 복용한다.
(5)항결핵제의 주요 부작용을 고려한다.
-INH(아이나), RMP(리팜피신) - 간기능장애
-EMB(에탐부톨) - 시력장애
-SM(스트렙토마이신) - 과민성쇼크 또는 청력장애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1999). 서문자 외. 수문사
(2)초기 2달은 강한 항결핵제를 사용한다. 질병의 처음 2달간은 집중 치료기로써 강력한 항결핵제를 사용한다. 항결핵제는 서서히 증식하거나 휴직기에 있는 결핵균보다 활발하게 증식하는 결핵균을 더 잘 공격하기 때문이다.
(3)초기 집중치료기 이후에는 유지치료기로써 충분한 기간의 투약이 필요하다.
(4)결핵균은 발육이 늦으므로 하루에 한 번 복용으로도 결핵균을 사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1일 1회, 아침공복시에 약을 복용한다.
(5)항결핵제의 주요 부작용을 고려한다.
-INH(아이나), RMP(리팜피신) - 간기능장애
-EMB(에탐부톨) - 시력장애
-SM(스트렙토마이신) - 과민성쇼크 또는 청력장애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1999). 서문자 외. 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