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되는 교육적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생각된다. 보르노는 위기가 심하면 심할수록, 그리고 그것이 끝까지 충실하게 관철되면 될수록, 위기가 사라진 다음에 나타나는 어떤 새로운 기분으로부터 오는 신선한 기분은 더욱더 자유로운 것이라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아동의 경우는 자신들만의 힘으로는 새롭게 시작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때에 바로 교사의 선의에 바탕을 둔 충고나 호소 등 올바른 교육적인 조처가 요구된다고 본다. 교사는 단지 위기를 명화하게 직시하고 아동 자신이 이것을 성실하게 대결하여 극복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뿐이다. 보르노는 위기 앞에 선 교육자의 자세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첫째, 교사는 아동으로 하여금 위기를 회피하게 하거나 위기의 심각성을 완화시켜 주지 말아야 한다. 아동은 성장과정에서 당연히 따라오게 되는 장애물과 부딪치는 가운데 때로는 좌절과 시패를 통하여 오히려 그 장애물을 극복하는 방법을 스스로 깨우쳐 보다 성숙한 단계로 성장, 발전해 갈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교사는 위기를 조작하지 말아야 한다. 보르노는 위기를 조작하려는 것은 어리석은 교만이라고 역설한다. 예를 들어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어떤 위기 상황을 조작하여 아동으로 하여금 그 상황을 극복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육효과를 얻으려 한다면, 이는 바로 아동의 무하한 발전 가능성을 저해하는 일 밖에는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위기관리자로서의 교사는 아동이 자기 나름의 목표가 있는 활동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실현하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
셋째, 교사는 도와주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보르노는 위기란 생명체에게 찾아오는 숙명이기 때문에 이 위기가 찾아올 때 아동자신이 위기가 지니는 의의를 파악하도록 끝까지 도와주는 노력을 해야 함을 강조했다.
3. 실존적 만남을 준비하는 교사
보르노는 부버의 만남의 사상을 흡수하여 자신의 교육관으로 발전시키면서 만남과 교육은 어떠한 연관을 이루고 있는가의 문제에 대해 깊은 고찰을 하였다. 그는 만남의 개념을 본질적으로 단속적이고 비연속적이라 보므로, 보르노에게 만남의 개념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사전 계획 될 수 없는 우연성의 성격을 띤다. 따라서 어떠한 교사도 만남을 의도적으로 꾸미거나 조정할 수 없으며, 단지교사는 그의 교육의 장에서 만남을 끌어들이기 위하여 노력할 뿐이다. 보르노가 제시한 만남의 개념은 결국 교사와 아동은 모두 자신의 입장의 차이를 넘어서서 동등하게 마주설 때 일어나는 만남을 뜻하는 것이다. 특히 보르노는 만남의 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간적인 만남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이 너무도 빨리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잇는 아동들은 그들에게 나타나는 문제양식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들이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생각하며, 무엇을 하고 싶어하며, 무엇이 되고 싶고, 어떠한 고민과 문제를 안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현대 아동교육에 있어서 교사와 아동간의 인간적인 만남이 더욱 절실히 요청되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교사는 아동으로 하여금 위기를 회피하게 하거나 위기의 심각성을 완화시켜 주지 말아야 한다. 아동은 성장과정에서 당연히 따라오게 되는 장애물과 부딪치는 가운데 때로는 좌절과 시패를 통하여 오히려 그 장애물을 극복하는 방법을 스스로 깨우쳐 보다 성숙한 단계로 성장, 발전해 갈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교사는 위기를 조작하지 말아야 한다. 보르노는 위기를 조작하려는 것은 어리석은 교만이라고 역설한다. 예를 들어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어떤 위기 상황을 조작하여 아동으로 하여금 그 상황을 극복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육효과를 얻으려 한다면, 이는 바로 아동의 무하한 발전 가능성을 저해하는 일 밖에는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위기관리자로서의 교사는 아동이 자기 나름의 목표가 있는 활동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실현하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
셋째, 교사는 도와주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보르노는 위기란 생명체에게 찾아오는 숙명이기 때문에 이 위기가 찾아올 때 아동자신이 위기가 지니는 의의를 파악하도록 끝까지 도와주는 노력을 해야 함을 강조했다.
3. 실존적 만남을 준비하는 교사
보르노는 부버의 만남의 사상을 흡수하여 자신의 교육관으로 발전시키면서 만남과 교육은 어떠한 연관을 이루고 있는가의 문제에 대해 깊은 고찰을 하였다. 그는 만남의 개념을 본질적으로 단속적이고 비연속적이라 보므로, 보르노에게 만남의 개념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사전 계획 될 수 없는 우연성의 성격을 띤다. 따라서 어떠한 교사도 만남을 의도적으로 꾸미거나 조정할 수 없으며, 단지교사는 그의 교육의 장에서 만남을 끌어들이기 위하여 노력할 뿐이다. 보르노가 제시한 만남의 개념은 결국 교사와 아동은 모두 자신의 입장의 차이를 넘어서서 동등하게 마주설 때 일어나는 만남을 뜻하는 것이다. 특히 보르노는 만남의 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간적인 만남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이 너무도 빨리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잇는 아동들은 그들에게 나타나는 문제양식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들이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생각하며, 무엇을 하고 싶어하며, 무엇이 되고 싶고, 어떠한 고민과 문제를 안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현대 아동교육에 있어서 교사와 아동간의 인간적인 만남이 더욱 절실히 요청되는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세계 각국의 교육철학과 서구 교육철학 및 한국의 교육철학 레포트 (미국, 독일의 교육철학)
현대 교육철학(교육사상) 갈래,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듀이,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
[체육철학][체육철학의 변천][체육철학의 사상][체육철학의 내용][체육철학의 연구 방법][체...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의의와 기본이론, 교육철학(교육사상)의 비판이론과 현상학이론, 분석...
[철학][철학교육][고등학교 철학교육][고등학교 철학교육 사례]철학의 개념, 철학의 방법, 고...
(인간과교육)1)주입식 교육관과 이와 대비되는 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
[기독교철학개론] 기독교철학의 개관 요약 (기독교 철학의 정의와 본질, 기독교철학의 성격 ...
서양사상(서양철학)의 개요, 서양사상(서양철학)과 소피스트, 서양사상(서양철학)과 소크라테...
[철학자, 피타고라스, 베이컨, 데카르트, 칸트,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야스퍼스]철학자 피...
[철학, 철학 의미, 철학 어원, 철학 종류, 철학 대상, 철학 체계, 철학 방법]철학의 의미, 철...
2016 인간과교육)1. 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
[2015인간과교육] 1.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
[인간人間과교육]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자연주의,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인간과 교육 -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