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매체 다채널 시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철저히 통제받는 결과를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통합이 점점 어려워지게 된다.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수용자는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편향적으로 매체에 노출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른바 분중화 현상이 가속화 될 것이다. 이 때 각각의 인간들은 사회 전체에 대한 그림을 왜곡하여 인지하거나, 아니면 전체적인 그림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소수의 지배계층이 분화된 국민들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뉴미디어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뉴미디어가 도래 하고 있는 ‘다매체 다채널의 사회’는 이제 개별 수용자에게 마치 대포가 폭격을 하듯이 정보를 내뱉게 될 것이다. 그 와중에서 개인은 다양하게 제공된 정보선택의 폭을 활용하기 보다는 수없이 주어지는 정보와 데이터 스모그 속에서 혼란스럽게, 또 피동적인 삶의 객체로 전락할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개인은 정보사회의 내면적 의미를 분명히 인식하고 비판적 선별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정보기술의 유용한 활용은 기술적 지식에 의해서가 아니라 올바른 철학적 사회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정보사회는 기술만능 주의에 포박된 또 다른 인간소외의 세계가 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미디어와 정보사회(오택섭 강현두 최정호/ (주)나남출판 발행/ 2003년 3월 5일 발행)
현대 미디어의 이해(김학천 김병길 김동규 공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발행)
언론문화론(이상철 지음/ 일지사 발행/ 2002년 2월 25일 발행)
대중매체와 사회(이재호 지음/ 도서출판 양지 발행/ 2000년 8원 28일 발행)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7.10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