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하나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하 왕조의 기원
1) 하 왕조의 실재론
2) 이리두 문화

2. 하 왕조의 건국
1) 하 왕조의 활동범위

3. 하 왕조의 정치

4. 하 왕조의 경제
1) 농업
2) 목축업
3) 수공업

5. 하 왕조의 사회와 유물
1) 노비제
2) 제사
3) 유물

6.하의 문화
1) 문자
2) 역법

7.하의 역사와 멸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많은데 자주 보이는 것은 모래 섞은 회도(灰陶)와 진흙질 회도(灰陶)가 있고 이외에도 단단한 무늬 도기, 유도(釉陶: 유약을 바른 도자기)와 조형이 정교한 백도(白陶), 흑도(黑陶) 등이 있다.
특히, 토기로 만들어진 주기(酒氣)가 있는 것으로 보아 술을 마셨다는 고대 문헌과 일치하며, 잉여 농산물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술을 담갔다는 것은 당시 농업 생산도 발전되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이리두 문화의 제1기에서는 관(罐단지), 정(鼎, 세 발 솥), 분(盆, 물동이), 반(盤, 쟁반 또는 대야), 배(杯, 술잔), 호(壺, 주전자), 옹(瓮, 항아리), 화(, 세발 주전자) 등이 출토 되었다. 그런데 이 문화는 남문[藍紋(바구니 무늬)] 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토기의 특징으로 볼 때, 하남 용산문화의 흔적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도 하남 용산문화에서 발견되는 것은 적은 편이어서 확실히 시간적으로 하남 용산문화 보다는 늦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2기에서는 작(爵)과 고()와 같은 청동기의 주기가 출토되고, 가는 줄무늬 모양의 토기가 많이 보이고 있다. 신승하, 전상서,pp.73-74.
6. 하 왕조의 문화
1) 문자
하의 문화에서 비교적 중요한 것은 도기에 그려진 20여 종의 符號文字의 출현을 들 수 있다. 최근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부호문자 중의 몇 개는 갑골문자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문자로 추측되었다. 중국의 문자 탄생은 대략 신석기 시대 말기에 제작된 도기에 새겨있는 부호를 시작으로 청동기 시대의 왕조인 하대에는 이미 존재하였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김영환, 전인서, p.67.
2) 역법
고대사회에서 천문과 역법의 발달은 농업과 목축업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전설에 의하면 요시대에 해와 달 및 별의 운행을 관찰하고 역법을 제정하여 봄·여름·가을·겨울을 구별함으로써 농업과 목축업을 계절변화에 적응시켰다고 한다. 요시대에 사용했던 역법은 음력으로서 1년의 실제 날자수를 달력에 배치하여 넣을 수 없었으므로 일정한 시기에 윤달을 두는 방법으로 그것을 조절하였다고 한다. 요·순시대에는 1년을 366일로 하였다고 하는데 그것은 천체현상과는 부랍되지 않는 것이었다. 그 후의 하역법은 후세 사람들이 훌륭한 역법이었다고 칭송하여 왔다. 윤내현외 편저,《중국사1》(서울,민음사,1995),pp.67-68.
7. 하 왕조의 역사와 멸망
하 왕조는 10여개의 크고 작은 근친종족들로 이루어진 것인데 하후씨는 이 종족들 가운데서 지도적지위에 있었다. 일부 원친 종족 및 동방 이인의 일부 종족들도 하 왕조와 동맹을 결성하고 있었다. 전통에 의하여 이와 하가 윤법으로 종족동맹의 두령을 담당하여야 하였다. 우는 종족동맹의 두령으로 있을 적에 홍수를 퇴치하는 면에서 큰 공로를 세웠을 뿐만 아니라 삼묘 종족과의 싸움에서도 큰 승리를 달성하였다. 우 개인의 성망이 높아짐에 따라 씨족성원들을 지배하는 씨족두령들의 권력도 커졌다. 우의 나이가 많아지자 동이종족의 두령 고도가 후계자로 선거되었는데 이 신망 높은 고도는 우보다 먼저 죽었다. 동이의 백익이 고도 대신 우의 후계자로 선거되었다. 우가 죽은 다음 원래 백익이 종족동맹의 두령으로 되었어야 하는데 세력이 강대한 하 종족은 우의 생전의 성망을 이용하여 우의 아들 계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그들은 계를 조현하고 분쟁을 조정하여줄 것을 요구하였으며 계의 공적과 대덕을 찬양하였다. 그들은 재래의 선거제도를 폐하고 아들에게 자리를 물려주는 새로운 세습제도를 내왔다. 옛날의 말을 빈다면 이것은 <<일가가 천하를 독점>>하는 시대의 시작인 것이다. 하 왕조의 수렵은 역사상의 일대 변화로 인정되고 있다. 백수이, 전인서,pp.57-58.
그런데 이에 불복한 유호씨 부락이 감에서 계에게 멸망되어 그 구성원들이 목수가 되었는데, ‘목수’란 노예가 된 씨족집단으로 보고 있다.
계는 왕위에 오른 후, 음주와 가무, 사냥을 좋아했고, 그 뒤를 이은 태강도 정치를 돌보지 않아 동이계의 후예에게 쫓겨났다. 그러나 후예도 그의 신하인 한착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한편, 태강이 왕위에서 쫓겨나 죽게 되자 그 자리를 동생인 중강에게 넘겨주었는데, 중강의 아들 상은 같은 성씨인 짐심씨와 짐관씨에게 의탁하였다. 그러나 모두 한착의 공격을 받아 죽었다. 다행히 임신 중이었던 상의 부인이 간신히 도망하여 친정인 유잉씨에게 돌아가 소강을 낳게 되었다. 그리고 소강이 순의 후예인 유우씨에게 의탁함으로써 결국 한착을 쫓아내고 하 왕조를 회복하고 국력을 튼튼히 하게 하였다.
특히, 소강의 아들 저가 동이와 싸울 때 화살을 막아 내기 위하여 갑옷을 만들었으며, 그가 왕위에 오르자 동쪽으로 원정하여 하의 영토가 크게 확대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동이가 하 왕조에 귀부하여 작위를 받고 신하라고 칭하면서 조공하였다.
하 왕조는 11세기 공갑에 이르러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여 마지막 왕인 걸에 이르러 더욱 극심해졌다. 특히, 걸은 역사상 손꼽히는 폭군으로 유명한데, 동쪽의 여러 부족을 무력으로 위협하고 백성들에게도 잔학하게 굴어 대내외적으로 불만을 초래하였다. 이때, 동쪽의 상족이 일어나 하 왕조를 공격함으로써 멸망하였다. 신승하, 전인서, p.76.
하 왕조는 비록 멸망하였으나 노예제는 결코 멈추지 않고 발전하였으며, 상 왕조에 이르러 더욱 발전되었다.
《참고문헌》
1. 李春植,《中國史序說》,서울,교보문고,1994.
2. 李成珪 서울大學校東洋史學硏究室 編,《講座 中國史Ⅰ》,서울, 지식산업사,2006.
3. 신승하,《세계 각국사 시리즈 중국사(상)》,서울,대한교과서,2005.
4. 徐連達외2명, 중국사연구회 옮김,《중국통사》,서울,청년사,1995.
5. 김민호,《中國常識②역사》,서울,다락원,2003.
6. 백수이,《중국통사요강》,상해,민족문화사,1980.
7. 중국사학회,《중국 역사 박물관1》,서울, 범우사, 2004.
8. 김영환,《中國의 歷史와 文化-舊石器시대부터 後漢까지-》,서울,아이반호,2005.
9. 윤내현,《중국의 原始時代》,서울,단국대학교출판부,1991.
10. 趙春靑,《 문명의새벽》,서울,시공사,2003.
11. 윤내현외 편저,《중국사1》,서울,민음사,1995.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7.22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4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