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포털의 정의
Ⅲ. 포털의 발전배경
Ⅳ. 포털의 미디어화와 수용자 상품론의 변화
1. 이용자 집중과 미디어로서의 지위
2. 이차적 시장의 등장과 이데올로기 시장의 재편
Ⅴ. 포탈의 주요 성공 방안
Ⅵ. 포털의 미래전망
참고문헌
Ⅱ. 포털의 정의
Ⅲ. 포털의 발전배경
Ⅳ. 포털의 미디어화와 수용자 상품론의 변화
1. 이용자 집중과 미디어로서의 지위
2. 이차적 시장의 등장과 이데올로기 시장의 재편
Ⅴ. 포탈의 주요 성공 방안
Ⅵ. 포털의 미래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엇이 있을까?
그 단초를 네오위즈에서 찾고 싶다. 네오위즈는 이미 원 클릭이라는 이름으로 ISP서비스 분야의 니치마켓을 공략해서해서 상당한 수익을 실현해냈고 세이클럽이라는 커뮤니티 포탈을 오픈하고 이 곳에서 정말 기가 막힌 사이버 캐릭터 프러덕트 판매를 통해 월 거의 대부분이 수익인 5억대의 매출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원클릭페이라는 Internet VAN사업에 뛰어들어 \"세이클럽\"의 그간의 신화를 계속 이어가려 하고있다.
네오위즈는 정상적인 Revenue 1곡선이 아니라 독특한 모델을 통해 Revenue 3 이라는 독자적인 Path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기존의 메이저 포탈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시사점이 바로 \"인터넷의 본질인 네트워크\"에 가장 충실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낼 수 있는 사업자만이 Revenue 3과 같은 경로를 탈 수 있을 것이고 결국 요즘 같은 극심한 적자생존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물론 네오위즈가 야후나 다음 혹은 라이코스의 위상을 현실적으로 대신할 것이라고 필자도 생각하지는 않지만 네오위즈는 한국 인터넷의 마지막 승자들이 들어가는 파티에 어떤 형태로든 꼭 들어갈 것이라고 판단된다.
Ⅵ. 포털의 미래전망
포털 사이트 경쟁의 종착점은 어떻게 될 것인가?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포털 사이트 경쟁은 인터넷 발전의 한 국면(Phase)에 불과할 뿐 종착점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즉 포털 사이트는 현 단계에서 인터넷 업계의 최대 이슈일 뿐이며, 곧 또 다른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내다본다.
그렇다면 포털 사이트 다음에는 어떤 조류가 닥쳐 올 것인가? 이에 대해 ZDNet의 칼럼니스트인 짐 라우더백은 \"포털 사이트는 허브와 홈베이스로 발전해야 한다\"라고 단정적으로 예측한다. 허브란 인터넷 검색의 출발점 역할을 하는 사이트를 의미하며, 홈베이스란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의 포털 사이트를 의미한다. 즉, 지금처럼 종합적이고 백화점식인 포털 사이트는 시장 경제의 발전 양상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전문분야별로 분화되면서 결국, 특화된 전문점식 사이트로 발전할 것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이 예측을 뒷받침하듯 이미 익사이트 서비스는 새로운 개념의 포털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특화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인트라넷\' 개념의 서비스인데, 관심 있는 분야의 회원들이 특정한 게시판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상호 관심사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이다.
어쨌든 국내외를 막론하고 포털 서비스의 미래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첫번째는 역시 쇼핑몰이다. 이미 국내에서도 인터넷 쇼핑몰의 이용이 급속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포털 서비스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회원이 확보된다면 그것은 그대로 거대한 시장이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쇼핑몰을 포털 사이트에 구축하느냐가 소비자들을 끌어들이는 관건이 될 것이다.
두 번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다. 이미 해외 포털 사이트들은 인터넷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관련 회사들을 인수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전쟁을 벌일 태세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TV에 익숙한 사용자들을 겨냥한 서비스다. 포털 서비스의 미래에는 네티즌별로 TV 채널을 고르듯이 몇 개의 아이콘만 선택하면 보고 싶고 듣고 싶은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깊이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 있다. \'작년부터 불기 시작한 인터넷 포탈 전쟁이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에 대해서다.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여 인터넷 이용자들의 출발점 역할을 하고 인터넷 웹사이트 중 가장 많은 수입을 거두고 있는 이 포탈이라고 불리는 검색엔진의 미래는 과연 어떻게 변모할 것인가.
물론 늘어나는 인터넷 웹 정보의 양 때문에 뛰어난 기술력으로 이를 가장 넓게 검색해주는 검색기능을 가진 곳이 앞으로의 승부에서도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점점 상업적인 정보를 가지고 폐쇄적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사이트들이 등장하면서 검색엔진도 한계를 갖게 될 것이 분명하다. 게다가 이제 인터넷이 점점 대중화되고 사람들의 인터넷 이용기술이 향상되고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할 때만 인터넷 검색엔진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즉 모든 것을 포탈 사이트에서 끝내 버리는 이용자들보다는 재테크 정보에 관심이 있는 이들은 금융정보 사이트에서, 컴퓨터 정보에 관심이 많은 이들은 컴퓨터 전문정보 사이트에서, 성인물을 즐기는 이들은 성인 사이트를 바로 찾아가 그곳에서 즐기고 끝나는 경향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수치로도 나타나고 있다. 닐슨 넷레이팅사는 최근 99년 3월부터 7월 사이 미국을 중심으로 야후, 익사이트, 디즈니사의 GO 네트워크와 같은 주요 인터넷 포탈 사이트의 이용률이 5퍼센트로 감소하였다는 자료를 공개하기도 하였다.
그동안 인터넷 이용자의 증가와 함께 꾸준히 증가해왔던 포탈 사이트의 환상이 깨져버리고 만 것이다. 최근 2년 동안 인터넷 관련회사의 주식을 천정부지로 치솟게 만들고 인터넷 관련 산업 전체를 장밋빛 꿈으로 가득 채워왔던 이들 포탈 사이트의 이용률 하락은 인터넷 산업과 관련된 사업방향을 상당부분 수정하게 할 수도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최근 국내 기업이 해외의 유명 포탈 사이트를 도입하여 속속 한글 서비스를 개설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강미선 외(2003), 신문의 위기 진단과 처방, 한국언론재단
◇ 곽정호(2000), 포털 사이트 시장의 현황과 향후 전망, 정보통신정책
◇ 구본기(2002), 인터넷 포털사이트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박선희(2004), 인터넷 정치뉴스의 이용 이용 패턴과 이용자 특성, 한국언론학보신윤진·◇ 황용석(2004), 2004 한국의 인터넷 신문, 서울 한국언론재단
◇ 이영렬·이전행(2003), 언론사 인터넷 신문의 경쟁구조, 신문과 방송
◇ 오정숙(2003), 소비자 인터넷 포털, 정보통신산업동향
그 단초를 네오위즈에서 찾고 싶다. 네오위즈는 이미 원 클릭이라는 이름으로 ISP서비스 분야의 니치마켓을 공략해서해서 상당한 수익을 실현해냈고 세이클럽이라는 커뮤니티 포탈을 오픈하고 이 곳에서 정말 기가 막힌 사이버 캐릭터 프러덕트 판매를 통해 월 거의 대부분이 수익인 5억대의 매출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원클릭페이라는 Internet VAN사업에 뛰어들어 \"세이클럽\"의 그간의 신화를 계속 이어가려 하고있다.
네오위즈는 정상적인 Revenue 1곡선이 아니라 독특한 모델을 통해 Revenue 3 이라는 독자적인 Path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기존의 메이저 포탈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시사점이 바로 \"인터넷의 본질인 네트워크\"에 가장 충실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낼 수 있는 사업자만이 Revenue 3과 같은 경로를 탈 수 있을 것이고 결국 요즘 같은 극심한 적자생존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물론 네오위즈가 야후나 다음 혹은 라이코스의 위상을 현실적으로 대신할 것이라고 필자도 생각하지는 않지만 네오위즈는 한국 인터넷의 마지막 승자들이 들어가는 파티에 어떤 형태로든 꼭 들어갈 것이라고 판단된다.
Ⅵ. 포털의 미래전망
포털 사이트 경쟁의 종착점은 어떻게 될 것인가?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포털 사이트 경쟁은 인터넷 발전의 한 국면(Phase)에 불과할 뿐 종착점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즉 포털 사이트는 현 단계에서 인터넷 업계의 최대 이슈일 뿐이며, 곧 또 다른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내다본다.
그렇다면 포털 사이트 다음에는 어떤 조류가 닥쳐 올 것인가? 이에 대해 ZDNet의 칼럼니스트인 짐 라우더백은 \"포털 사이트는 허브와 홈베이스로 발전해야 한다\"라고 단정적으로 예측한다. 허브란 인터넷 검색의 출발점 역할을 하는 사이트를 의미하며, 홈베이스란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의 포털 사이트를 의미한다. 즉, 지금처럼 종합적이고 백화점식인 포털 사이트는 시장 경제의 발전 양상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전문분야별로 분화되면서 결국, 특화된 전문점식 사이트로 발전할 것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이 예측을 뒷받침하듯 이미 익사이트 서비스는 새로운 개념의 포털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특화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인트라넷\' 개념의 서비스인데, 관심 있는 분야의 회원들이 특정한 게시판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상호 관심사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이다.
어쨌든 국내외를 막론하고 포털 서비스의 미래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첫번째는 역시 쇼핑몰이다. 이미 국내에서도 인터넷 쇼핑몰의 이용이 급속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포털 서비스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회원이 확보된다면 그것은 그대로 거대한 시장이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쇼핑몰을 포털 사이트에 구축하느냐가 소비자들을 끌어들이는 관건이 될 것이다.
두 번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다. 이미 해외 포털 사이트들은 인터넷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관련 회사들을 인수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전쟁을 벌일 태세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TV에 익숙한 사용자들을 겨냥한 서비스다. 포털 서비스의 미래에는 네티즌별로 TV 채널을 고르듯이 몇 개의 아이콘만 선택하면 보고 싶고 듣고 싶은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깊이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 있다. \'작년부터 불기 시작한 인터넷 포탈 전쟁이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에 대해서다.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여 인터넷 이용자들의 출발점 역할을 하고 인터넷 웹사이트 중 가장 많은 수입을 거두고 있는 이 포탈이라고 불리는 검색엔진의 미래는 과연 어떻게 변모할 것인가.
물론 늘어나는 인터넷 웹 정보의 양 때문에 뛰어난 기술력으로 이를 가장 넓게 검색해주는 검색기능을 가진 곳이 앞으로의 승부에서도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점점 상업적인 정보를 가지고 폐쇄적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사이트들이 등장하면서 검색엔진도 한계를 갖게 될 것이 분명하다. 게다가 이제 인터넷이 점점 대중화되고 사람들의 인터넷 이용기술이 향상되고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할 때만 인터넷 검색엔진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즉 모든 것을 포탈 사이트에서 끝내 버리는 이용자들보다는 재테크 정보에 관심이 있는 이들은 금융정보 사이트에서, 컴퓨터 정보에 관심이 많은 이들은 컴퓨터 전문정보 사이트에서, 성인물을 즐기는 이들은 성인 사이트를 바로 찾아가 그곳에서 즐기고 끝나는 경향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수치로도 나타나고 있다. 닐슨 넷레이팅사는 최근 99년 3월부터 7월 사이 미국을 중심으로 야후, 익사이트, 디즈니사의 GO 네트워크와 같은 주요 인터넷 포탈 사이트의 이용률이 5퍼센트로 감소하였다는 자료를 공개하기도 하였다.
그동안 인터넷 이용자의 증가와 함께 꾸준히 증가해왔던 포탈 사이트의 환상이 깨져버리고 만 것이다. 최근 2년 동안 인터넷 관련회사의 주식을 천정부지로 치솟게 만들고 인터넷 관련 산업 전체를 장밋빛 꿈으로 가득 채워왔던 이들 포탈 사이트의 이용률 하락은 인터넷 산업과 관련된 사업방향을 상당부분 수정하게 할 수도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최근 국내 기업이 해외의 유명 포탈 사이트를 도입하여 속속 한글 서비스를 개설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강미선 외(2003), 신문의 위기 진단과 처방, 한국언론재단
◇ 곽정호(2000), 포털 사이트 시장의 현황과 향후 전망, 정보통신정책
◇ 구본기(2002), 인터넷 포털사이트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박선희(2004), 인터넷 정치뉴스의 이용 이용 패턴과 이용자 특성, 한국언론학보신윤진·◇ 황용석(2004), 2004 한국의 인터넷 신문, 서울 한국언론재단
◇ 이영렬·이전행(2003), 언론사 인터넷 신문의 경쟁구조, 신문과 방송
◇ 오정숙(2003), 소비자 인터넷 포털, 정보통신산업동향
추천자료
광범위 융합망 서비스[VOD, IP-TV]의 정책방향
MegaStudy swot 분석
CJ 경영 전략에 대해서
네이버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경영전략]구글(Google)의 한국 시장 진출 전략
[마케팅] 야후 코리아의 이용률 부진에 대한 분석과 전망
[마케팅] 위키페디아에 대한 마케팅 전략
네이버(Naver)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네이버경영전략]NHN의 소개와 경영전략 및 향후 나아갈 방향 분석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 메가스터디(megastudy)
NHN 네이버(Naver) 마케팅 전략분석 성공실패요인,향후전망및 과제
네이버(NHN) SWOT 분석, 네이버(NHN) STP 분석, 네이버(NHN) 마케팅 믹스 분석, 경쟁사 분석 ...
[금융사이트, 금융, 금융사이트 현황, 금융사이트 성공요인, 금융사이트 사례, 금융사이트 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