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문의 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학문의 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저자 조동일 교수

2. 작품 내용 요약 및 분석

3. 한국학의 위기와 전통계승 의지

4. 우리 학문의 길, 우리 학문의 방향

본문내용

럼 철학과 문학의 양상을 하나로 아우르고자 한다.
온고지신이라는 말은 상식으로 알고 있지만 그 의미의 실천은 상식적이지 못한 것 같다. 우리 학문의 깊고 넓은 전통이 바탕이 되지 않는 외국 학문의 수용은 몰상식한 문화 이식에 불과할 것이다.
4. 우리 학문의 길, 우리 학문의 방향
이 책에서는‘우리 것이 좋은 것’이라는 막연함과‘우리 것만’이라는 자격지심에서 나온 발상이 아니라, 여러 가지 인문학적 근거를 가지고 문제점을 다루고 있어 감정적 대응으로 흐르기 쉬운 문제에 대해서는 잘 다루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고 생각하게 된 것이 몇 가지를 옮겨보고자 한다.
첫째, 우리 사상을 학문론으로 접근했다는 점이 놀라웠다. 서양학문의 영향과 주입식 교육의 탓인 듯 한 데, 학문의 근본이 철학이고 이것이 역사발전을 통해 나온 산물이라는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우리철학을 윤리이상으로 대해본 적은 없다. 전통사상으로 학문한다는 것이 아직은 생소하다. 학문방법론으로 접근 한 것이 아니라, 색다른 아이디어 제공정도로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점은 더 많은 공부를 통해 더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둘째, 현재 학문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용어개념이 명확하지 못하고 정리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표현수단인 언어가 뒷받침되지 못하여, 단어가 부족하거나 뜻이 혼동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글쓴이는 한자어를 받아들여 어휘수를 늘리자고 하는데 여기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안는다. 내 입장은 중립적이다. 순수한글을 쓰자니 익숙하지 않아 못쓰고, 한자어를 쓰자니 어려워서 못쓰는 곤란함이 있기 때문이다. 내 생각에는 순수한글을 한글연구기관에서 보급하고, 한글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설명이 늘어지게 되는 경우에 한자어를 쓰는 것이 좋을 듯하다.
셋째, 화학자 르 샤를리에는 평형이동의 법칙에서‘모든 물질은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방향으로 평형 이동한다.’고 했다. 서구에서는 학문의 구심점을 잃자 동양사상에서 길을 찾았고 이미 몇 십 년 전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엘리트들의 학문이 되었다. 서구 사상을 먼저 시작한 이들이 서구 사상의 한계를 깨닫고 방향을 바꾸어 우습게 보던 것을 오히려 높이 평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7,80년대 유학생들이 서구학문을 배우러 갔다가 오히려 동양학으로 돌아서는 경우가 여기에 있는 것 같다. 이제야 우리가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게 된 우리 입장에서는 오히려 우리학문을 역수입해 오는 날을 맞게 되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든다.
인간의 역사는 진리라고 믿었던 것들이 깨져가면서 발전했다. 새로운 진리가 나올 때마다 편협한 감정적 대응으로 흐르거나 줏대없이 일방적 찬성으로 흐르기 마련이다. 출판된 지 10년 가까이 되는 책이라 글쓴이의 주장이 이미 식상해 버린 면도 없잖아 있지만‘왜’라는 질문에 충실했고 생각의 조각들을 연결시켜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었다. 한국학, 그리고 학문의 위기라는 현 상황의 타개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뒤엉켜있던 나의 생각들을 정리하게 해 준 조동일 교수에게 존경을 표하고 싶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8.27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